장미의이름 감상 및 분석 :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이름 - 작품 내용요약 및 분석, 웃음은 진리를 옮긴다, 관용과 포용, 진리라 불리우는 이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미의이름 감상 및 분석 :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이름 - 작품 내용요약 및 분석, 웃음은 진리를 옮긴다, 관용과 포용, 진리라 불리우는 이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미의 이름》의 저자 움베르토 에코

2. 작품 내용요약 및 분석

3. 웃음은 진리를 옮긴다 -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4. 웃음을 통한 관용과 포용, 그리고 소통

5. 진리라 불리우는 이름 - 장미의 이름

6. 맺음말

본문내용

해 항상 논의되고, 확인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만약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썩고, 문드러지고 만다. 마지막 모든 것이 불에 타 없어지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말이다. 그들처럼 진리에 대한 허황된 욕심을 갖는다는 것의 끝은 이제까지 지켜오던 그 모든 것과의 결별이다.
이런 어리석은 자들이 추후 2000여 년 동안이나 이슬람과, 수많은 타 문화권 민족들에 대한 학살과 증오를 주도해 왔고, 히틀러와 파시즘을 낳은 것이다. 이것은 2003년, 신의 은총을 자신 한 몸에 듬뿍 받는 줄 아는 근본주의자 부시의 이라크 침공에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어찌 통탄하지 않으랴. 더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근본주의와 융통성없는 원칙주의의 맹신이 비단 기독교권, 서구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자들은 어디에나 있다. 유시민씨가 평상복으로 등원했을 때, 삿대질하며 \"예의가 없다\"는 둥 \"원칙\"을 따지던 자들도, 저 원칙주의 맹신의 열매들인 것이다.
제목이 왜 \'장미의 이름\'일까? 카톨릭의 묵주가 장미꽃잎을 새기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나처럼 물을 것이다. 왜 하필 장미꽃잎일까? 그리스도는 성경에서 \'샤론의 장미\'로 불리운다. 장미는 바로 그리스도를 뜻한다. 즉, 진리의 상징이다. 하지만 중세 교회에서 진리는 사라지고 이름만 남았다. 요르게 수도사가 그토록 질기게 붙잡고 있던 것은 진리가 아니라 진리라고 불리운 이름이었다. 우리가 일요일이면 옷단장하고 나가 찬송부르고 기도하면서 일주일간의 면죄부를 얻는 곳도 이름에 불과할 뿐.
\"가짜 그리스도는, 그 사자(使者)가 그랬듯이 유대 족속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고, 먼 이방 족속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다. 잘 들어 두어라. 가짜 그리스도는 지나친 믿음에서 나올 수도 있고... (중략)... 인류를 사랑하는 사람의 할 일은, 사람들로 하여금 진리를 비웃게 하고, 진리로 하여금 웃게 하는 것일 듯하구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에서 우리 자신을 해방시키는 일...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좇아야 할 궁극적인 진리가 아니겠느냐?\"
- \'장미의 이름\' (하), 896p~897p, 윌리엄 수도사의 열변 中
6. 맺음말
본업이 기호학자라는 움베르토 에코가 불어넣은 수많은 비유와 기호 그리고 박학다식한 사실과 그 당시 역사에 대한 흥미진진한 서사와 묘사 양쪽 모두를 접해 볼 수 있었으니 그것 참 대단한 일이다. 사실 이윤기 씨도 이 책을 세 번이나 크게 뜯어 고쳐가며 번역한 만큼 에코의 해박함과 진리에 대한 자유로운 그의 사상은 지극히 광활했던 것이었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이 소설에서 등장하는 많은 인물들과 수많은 끔찍한 살인사건과 그를 둘러싸고 펼쳐지는 수도사의 추리를 보면서 종교적 불관용과 독단 그리고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이 어떻게 인간과 진리로 가는 길을 막는지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수많은 지식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이고 있다면 지식과 그의 전파의 자유의 억압이야말로 참 진리를 향한 길이라고 믿었던 중세 시대. 그 어떤 것이 더 좋은지를 생각해 보았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2.2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