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호온전(虎媼傳)>과 한국 <해와 달이 된 오누이>속에 나타난 “호랑이 이야기” 비교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 비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호온전(虎媼傳)>과 한국 <해와 달이 된 오누이>속에 나타난 “호랑이 이야기” 비교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호온전>의 서사구조
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
4.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 비교 분석
5.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속에 나타난 호랑이의 분석
 1) 공통점
 2) 차이점
6. 결론

본문내용

용감함을 돋보이게 하는 것 같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의미로 표현을 한다. 반면 한국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서는 호랑이의 묘사가 아주 활발하게 흉악한 호랑이로 풍자되는 색채를 가지고 있다.
②호랑이의 죽음
<호온전>에서는 지나가는 나무꾼의 도움으로 누나는 목숨을 구했고, 옷을 나무위에 덮으며 호랑이를 속인다. 후에 돌아온 호랑이는 옷을 보고 누나가 아직도 나무위에 있는 줄 알고 같이 온 동료 호랑이들과 나무를 쓰러뜨린다. 하지만 누나는 없고 옷밖에 없자, 화가 난 동료 호랑이들은 외할머니 호랑이를 죽인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두 남매가 기도를 하여 하느님에게 도움을 청하고 하늘로 올라간다. 호랑이가 두 남매를 따라 기도를 하였고 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다 떨어져서 죽는다.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호랑이가 죽는 결말은 똑같지만 죽은 방식과 독자에게 전달하는 의미는 사뭇 다르다.
<호온전>중의 호랑이가 다른 호랑이에게 죽임을 당하는 과정에서 당대 사회 배경으로 같은 민족 사이에 나타나는 갈등을 묘사 되는 것 같다. 그리고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호랑이의 죽음에 대해서는 자신이 파악하지 못하고 솟구치는 야욕을 채우기 위해서 하늘을 이용하려한다. 그리고 하늘은 그에게 헌 줄을 주었다.박정세, 앞의 논문, 206면.
지나친 욕심이 화인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6. 결론
이상으로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해 비교 연구를 하였다. 비슷한 줄거리가 전승되고 있지만 그 속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이미지는 다르다. 그리고 등장하는 배경 인물을 통하여 드러나는 의미도 다른데, 이는 서로 다른 문학배경과 언어를 가지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전되는 구비문학으로써, 각 작품마다 사회적 환경에 따라 창작되어 결론 및 교훈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호랑이’가 표현되는 모습은 악한 인물이지만 다소 엉뚱하고 바보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다른 한국의 구비문학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해학적인 묘사로 ‘호랑이’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중국의 <호온전>에서 ‘호랑이’는 교활하고 비겁한 인물로서 완벽한 악인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런 ‘호랑이’를 지혜롭게 물리치는 주인공 ‘누나’의 여성 해방적 교훈을 나타내기 위해 호랑이가 악인(惡人)적 인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호랑이’가 악인으로 나타나는 중국과 한국의 대표적인 두 가지의 구비문학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악인으로 표현되는 ‘호랑이’의 다른 구비문학과 비교할 때 중국과 한국의 문화 차이에 대한 해석에 따라 결론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는 ‘호랑이’가 나타나는 여러 가지 구비문학 중에서 다소 대표적으로 꼽히는 작품 중 비슷한 유형의 모습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았으며, ‘호랑이’의 다양한 유형이 나타나는 구비문학들과 함께 비교하고 조사하면 결론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문헌
譚達先, 『중국이천년민가고사사』, 甘人民出版社, 2001년
守, 「논중국 민간고사상의 연구」, 『황중사범대학학보』, 1994년 제2기
漆凌云,秋, 「중국 민간고사 논문에 문허 가량 분석」, 『민속연구』, 2012년 제2기
周巍, 「비교중국적<호온전>과서방적<빨간모자>」, 『청춘세월』, 2012년
羅景洙, 「男妹 日月 說話의 神話論적 考察」, 『韓國言語文學』, 第28揖
박정세, 「해와달이 된 오누이」, 『神學思想』, 1996년 가을 94揖
傅國群, 「關於我國民間故事“狼外婆”」, 『文藝究』, 芒種 2012年, 第02期
高貞姬, 중국 민담<虎傳>연구, 석사논문,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년
  • 가격1,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7.22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