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둘째로, 교실행동관리에서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 행동 관리를 소홀히 하고 참여하지 못하고 수업에 관련 없는 행동만 하고 있다. 그리고 지민이는 충민이를 툭 치거나 손으로 밀치는 행동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교사는 전혀 제재하거나 통제하지 않고 있다. 교사는 이러한 행동들을 면밀히 주시하고 관찰하며 즉시 피드백 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실 밖을 나갔는데도 계속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사는 충민이가 밖으로 나갔으면 반장이나 친한 친구가 따라가 보도록 한 뒤 수업을 진행했어야 했으며, 수업이 끝난 후, 충민이와 대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로,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에 대한 지원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일방적으로 바다에 사는 동물의 특징에 대해 수업을 하였으나, 충민이는“물고기를 그리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여기서 교사는 가드너의 다중이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일으키기 위해 다양한 수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바다에 사는 동물의 특징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물고기를 그리는 것도 중요하다. 지능에는 귀천이 없으므로 교사는 다양한 수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수업분석, 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업 설계, 학습목표 진술 방식, 학교교육의 질적 성장, 교실행동 관리, 내현적 동사, 외현적 동사, 명세적 목표 진술, 교육공학, 교사, 수업, 있다,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