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김치의 개요
1) 김치의 일반적 특성
가.김치의 역사
(1)삼국시대 김치
(2)고려시대 김치
(3)조선시대 김치
나.김치의 주재료
다.김치의 종류
라.김치의 영양
마.김치의 효능
2.김치의 문화적특성
가.한국의 대표이미지 김치
나.역사성
다.보편성
라.사회적 가치
마.문화적 가치
바.경제적 가치
3.김치의 현황
참고자료
1) 김치의 일반적 특성
가.김치의 역사
(1)삼국시대 김치
(2)고려시대 김치
(3)조선시대 김치
나.김치의 주재료
다.김치의 종류
라.김치의 영양
마.김치의 효능
2.김치의 문화적특성
가.한국의 대표이미지 김치
나.역사성
다.보편성
라.사회적 가치
마.문화적 가치
바.경제적 가치
3.김치의 현황
참고자료
본문내용
발효음식의 정성적 가치를 지닌다. 김치문화콘텐츠 개발은 먹거리 문화의 재정립과 승화로 가족 공동체의 생활의 회복과 함께 현대사회에 난무하는 서구식(인스턴트, 패스트푸드)음식들로부터 국민건강을 지켜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문화적 가치
한 나라의 먹거리 문화는 단순히 음식의 섭취로 인한 필요 영양분의 공급만이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와 생활습관이 묻어 있다. 농경문화와 정착생활에 익숙한 우리나라는 발효음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패스트푸드와는 대조적으로 발효음식인 슬로우 푸드로서 제조과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이웃과 품앗이를 통해 협력하여 담그고, 만든 김치를 이웃과 서로 나눠먹는다는 것은 서구의 개인중심문화와 대조되는 공동체 문화를 보여준다.
경제적 가치
모차르트의 브랜드가치는 무려 54억 유로(약 6조 4천억 원)로 단순히 200여 년 전에 실존했던 존경받는 위인의 지위를 뛰어 넘어, 문화상품, 캐릭터상품, 각종제품의 모델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 오스트리아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KOTRA 빈 무역관, 2005년)
문화산업은 자국의 문화와 정서를 제품화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 이를 전파, 확산시키는 사회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문화산업은 산업 내 창구효과(窓口效果, window effects)는 물론 전자, 통신 산업 등과의 산업간 시너지 효과도 매우 높다. 김치도 그 자체의 풍부한 소재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세계에 전파 된다면 문화 산업 뿐 아니라 김치제조 산업까지 활성화 될 수 있다. 최은옥, <생활문화콘텐츠의 OSMU(One Source Multi Use)형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론 2003 p.19~22재구성
김치의 현황
2010년 한국관광공사에서 실시한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 관광을 목적으로 방한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중국·동남아·일본의 경우 한식에 대한 관심이나 기대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외국인 여행객은 한국의 대표음식으로 김치(69.7%), 비빔밥(41.8%), 갈비/바비큐(40.9%), 불고기(30.7%)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일본인 여행객은 김치 외에 비빔밥, 찌개, 한정식, 술(막걸리), 중화권은 불고기, 삼계탕, 동남아(아주) 여행객은 갈비/바비큐, 쌀밥, 구미주 여행객은 쌀밥, 술(소주)등을 한국 대표 음식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방한외국인의 한국 방문 시에 먹어보고 싶었던 음식으로는 김치, 갈비/바비큐, 불고기, 비빔밥, 삼계탕, 한정식 등인 것으로 나타나, 한국음식의 대표메뉴로 여전히 김치, 갈비, 불고기 등의 음식이 주로 연상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구분
1순위
전체
김치
25.7
47.9
갈비/바비큐
23.2
39.6
불고기
12.4
34.1
비빔밥
11.6
33.5
삼계탕
4.0
15.1
한정식
2.0
9.7
떡볶이 등 포장마차의 길거리 음식
2.5
9.2
쌀밥
2.2
9.0
찌개
2.0
8.4
냉면, 국수
2.2
8.2
해물탕/찜
1.7
6.7
술(소주)
0.7
6.4
전(해물파전 등)
0.5
6.1
술(막걸리)
0.7
5.7
만두
0.5
3.2
떡
0.4
2.9
신선로
-
2.7
김
-
2.1
사찰음식
0.4
1.6
방한 여행에서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한 여행객이 체험한 테마 음식으로는 김치(61.1%)가 가장 많고, 비빔밥(26.3%), 쌀밥(20.0%)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구분
전체
중화권
동남아(아주)
김치
61.1
58.8
75.0
비빔밥
26.3
29.4
14.3
쌀밥
20.0
23.5
14.3
불고기
20.0
25.5
7.1
삼계탕
18.9
19.6
21.4
갈비/바비큐
12.6
7.8
21.4
찌개
12.6
9.8
14.3
떡
12.6
9.8
17.9
만두
7.4
7.8
7.1
김
7.4
9.8
-
한정식
7.4
11.8
3.6
신선로
7.4
13.7
-
해물탕/찜
6.3
5.9
3.6
술(막걸리)
5.3
7.8
3.6
술(소주)
5.3
5.9
-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별 선호도 평가 결과 ‘시식 프로그램’(55.6%)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요리과정을 체험/견학’(20.1%)하는 방식, ‘한국음식 역사/전통에 대한 학습 강의식 프로그램’(14.9%)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전체
일본
중화권
동남아
구미주
여러 가지 한국음식을 맛보는 시식 프로그램
55.6
56.0
63.8
48.7
53.0
한국음식 요리과정 체험/견학 프로그램
20.1
18.0
21.4
22.5
18.5
한국음식의 역사/전통에 대한 학습 강의식 프로그램
14.9
15.5
9.5
18.3
16.5
한국음식 및 재료 쇼핑 프로그램
7.0
9.5
5.2
8.4
5.0
없다
2.0
-
-
2.1
6.0
모름/무응답
0.5
1.0
-
-
1.0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 테마 음식으로 김치, 갈비/바비큐, 비빔밥, 불고기, 삼계탕 등 한국 대표음식에서 주로 응답된 메뉴가 높은 비율로 언급됐다.
구분
일본
중화권
동남아
구미주
김치
41.5
48.1
58.6
40.0
갈비/바비큐
21.0
29.5
46.6
42.0
비빔밥
29.5
25.2
34.6
31.5
불고기
16.5
37.1
28.8
31.5
삼계탕
21.5
31.0
13.1
11.0
찌개
21.0
11.0
8.4
6.0
한정식
13.0
11.9
5.2
13.0
해물탕/찜
11.0
13.3
6.3
8.0
쌀밥
2.0
4.8
17.3
12.5
술(막걸리)
14.5
6.2
16.5
9.5
참고자료
■ 단행본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 학위논문
조준연 <한국 김치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3
육주현 <한식세계화를 위한 웰김치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양행선 <김치담그기 실태조사 및 시판 김치 요구도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왕송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문화적 가치
한 나라의 먹거리 문화는 단순히 음식의 섭취로 인한 필요 영양분의 공급만이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와 생활습관이 묻어 있다. 농경문화와 정착생활에 익숙한 우리나라는 발효음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패스트푸드와는 대조적으로 발효음식인 슬로우 푸드로서 제조과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이웃과 품앗이를 통해 협력하여 담그고, 만든 김치를 이웃과 서로 나눠먹는다는 것은 서구의 개인중심문화와 대조되는 공동체 문화를 보여준다.
경제적 가치
모차르트의 브랜드가치는 무려 54억 유로(약 6조 4천억 원)로 단순히 200여 년 전에 실존했던 존경받는 위인의 지위를 뛰어 넘어, 문화상품, 캐릭터상품, 각종제품의 모델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 오스트리아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KOTRA 빈 무역관, 2005년)
문화산업은 자국의 문화와 정서를 제품화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 이를 전파, 확산시키는 사회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문화산업은 산업 내 창구효과(窓口效果, window effects)는 물론 전자, 통신 산업 등과의 산업간 시너지 효과도 매우 높다. 김치도 그 자체의 풍부한 소재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세계에 전파 된다면 문화 산업 뿐 아니라 김치제조 산업까지 활성화 될 수 있다. 최은옥, <생활문화콘텐츠의 OSMU(One Source Multi Use)형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론 2003 p.19~22재구성
김치의 현황
2010년 한국관광공사에서 실시한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 관광을 목적으로 방한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중국·동남아·일본의 경우 한식에 대한 관심이나 기대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외국인 여행객은 한국의 대표음식으로 김치(69.7%), 비빔밥(41.8%), 갈비/바비큐(40.9%), 불고기(30.7%)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일본인 여행객은 김치 외에 비빔밥, 찌개, 한정식, 술(막걸리), 중화권은 불고기, 삼계탕, 동남아(아주) 여행객은 갈비/바비큐, 쌀밥, 구미주 여행객은 쌀밥, 술(소주)등을 한국 대표 음식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방한외국인의 한국 방문 시에 먹어보고 싶었던 음식으로는 김치, 갈비/바비큐, 불고기, 비빔밥, 삼계탕, 한정식 등인 것으로 나타나, 한국음식의 대표메뉴로 여전히 김치, 갈비, 불고기 등의 음식이 주로 연상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구분
1순위
전체
김치
25.7
47.9
갈비/바비큐
23.2
39.6
불고기
12.4
34.1
비빔밥
11.6
33.5
삼계탕
4.0
15.1
한정식
2.0
9.7
떡볶이 등 포장마차의 길거리 음식
2.5
9.2
쌀밥
2.2
9.0
찌개
2.0
8.4
냉면, 국수
2.2
8.2
해물탕/찜
1.7
6.7
술(소주)
0.7
6.4
전(해물파전 등)
0.5
6.1
술(막걸리)
0.7
5.7
만두
0.5
3.2
떡
0.4
2.9
신선로
-
2.7
김
-
2.1
사찰음식
0.4
1.6
방한 여행에서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한 여행객이 체험한 테마 음식으로는 김치(61.1%)가 가장 많고, 비빔밥(26.3%), 쌀밥(20.0%)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구분
전체
중화권
동남아(아주)
김치
61.1
58.8
75.0
비빔밥
26.3
29.4
14.3
쌀밥
20.0
23.5
14.3
불고기
20.0
25.5
7.1
삼계탕
18.9
19.6
21.4
갈비/바비큐
12.6
7.8
21.4
찌개
12.6
9.8
14.3
떡
12.6
9.8
17.9
만두
7.4
7.8
7.1
김
7.4
9.8
-
한정식
7.4
11.8
3.6
신선로
7.4
13.7
-
해물탕/찜
6.3
5.9
3.6
술(막걸리)
5.3
7.8
3.6
술(소주)
5.3
5.9
-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별 선호도 평가 결과 ‘시식 프로그램’(55.6%)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요리과정을 체험/견학’(20.1%)하는 방식, ‘한국음식 역사/전통에 대한 학습 강의식 프로그램’(14.9%)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전체
일본
중화권
동남아
구미주
여러 가지 한국음식을 맛보는 시식 프로그램
55.6
56.0
63.8
48.7
53.0
한국음식 요리과정 체험/견학 프로그램
20.1
18.0
21.4
22.5
18.5
한국음식의 역사/전통에 대한 학습 강의식 프로그램
14.9
15.5
9.5
18.3
16.5
한국음식 및 재료 쇼핑 프로그램
7.0
9.5
5.2
8.4
5.0
없다
2.0
-
-
2.1
6.0
모름/무응답
0.5
1.0
-
-
1.0
한국음식 체험 프로그램 테마 음식으로 김치, 갈비/바비큐, 비빔밥, 불고기, 삼계탕 등 한국 대표음식에서 주로 응답된 메뉴가 높은 비율로 언급됐다.
구분
일본
중화권
동남아
구미주
김치
41.5
48.1
58.6
40.0
갈비/바비큐
21.0
29.5
46.6
42.0
비빔밥
29.5
25.2
34.6
31.5
불고기
16.5
37.1
28.8
31.5
삼계탕
21.5
31.0
13.1
11.0
찌개
21.0
11.0
8.4
6.0
한정식
13.0
11.9
5.2
13.0
해물탕/찜
11.0
13.3
6.3
8.0
쌀밥
2.0
4.8
17.3
12.5
술(막걸리)
14.5
6.2
16.5
9.5
참고자료
■ 단행본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 학위논문
조준연 <한국 김치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3
육주현 <한식세계화를 위한 웰김치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양행선 <김치담그기 실태조사 및 시판 김치 요구도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왕송희
추천자료
[김치][김치산업]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김치 어원과 시대별 변천, 역사속 김치, 김치 영양학적 효과, 김치 종류 및 제조방법, 김치산업의 현황, 김치의 우수성)
[사회과학] 김치에 대해서
중국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김치의 세계화
[분석/조사] 김치의 역사
김치 report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의 식품학적 가치 및 기능성
종가집김치의 해외시장 진출 성공사례
[김치][김장][유산균][발효][배추][김치산업][김치 영양][김치 담는법][김치 종류]김치의 역사, 김치의 종류, 김치 주재료들의 영양 가치, 김치의 유산균 효능, 김치의 제조, 김장의 행사와 용어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