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준체중법
◆ 판정
2. 비만도
◆나 자신
3.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4.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5. 허리둘레 비만 판정기준
- 결론
- 올바른 식이요법
- 운동
- 과제를 마치면서
- 출처
◆ 판정
2. 비만도
◆나 자신
3.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4.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5. 허리둘레 비만 판정기준
- 결론
- 올바른 식이요법
- 운동
- 과제를 마치면서
- 출처
본문내용
식을 주로 찾게 되었습니다. 음식을 짜게먹는 버릇이 생겨 저녁에 야식을 먹고 아침에 일어나면 얼굴이 퉁퉁 붓곤하였습니다.
이번기회에 야식을 끊음으로써 더욱 더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식이요법을 하던 중 반복되는 다이어트식단이 질리거나 물린다면 가끔 다이어트용 요리나 간식을 만들어서 먹는 것도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사진은 다이어트용 간식들의 예입니다. 왼쪽은 찐 단호박과 계란으로만 만든 단호박빵, 오른쪽은 버터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오트밀 쿠키입니다.
다이어트식단을 계속 반복하다보면 군것질이 땡길 때가 있습니다. 그 때 이 다이어트용 간식들을 만들어 먹는다면 일반 과자나 빵처럼 다이어트에 해가 되지 않고 식단을 장기적으로 지켜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운동
올바른 식이요법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바로 운동입니다. 저는 다른 부위보다 특히 복부 쪽에 살이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저는 복부 쪽에 효과가 많은 운동인 ‘크런치’를 위주로 운동을 해보려합니다.
크런치는 복직근 중 상부를 강화하는 운동입니다. 허리 부분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싯업과 다른 점이고 근육을 수축시킬 때뿐만 아니라 이완될 때도 복부에 긴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런치 운동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구부리고 발이 바닥과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2. 양손을 귀에 대고 복부에 힘을 주면서 고개를 살짝 듭니다.
3. 어깨가 바닥에서 약 10cm 떨어지도록 등을 둥글게 구부리면서 상복부를 수축합니다.
4. 마지막으로 상복부의 긴장을 느끼면서 천천히 몸통을 바닥으로 눕힙니다. 이때 머리가 완전히 바닥에 닫지 않도록 합니다.
크런치에 이어 하체운동으로는 ‘스쿼트’가 있습니다. 스쿼트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으로, 가장 기본적인 하체 운동입니다.
이제 바벨을 들고 하는 스쿼트의 순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처음으로 선 자세에서 양손에 덤벨을 듭니다.
2. 어깨너비로 서서 발끝이 약간 바깥쪽을 향하도록 합니다.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복근에 힘을 주어 허리를 단단히 조여줍니다.
3. 무릎이 발끝보다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허벅지와 수평이 될 때까지 앉습니다.
4. 마지막으로 발뒤꿈치로 민다는 느낌으로 허벅지에 힘을 주면서 일어섭니다.
앞의 크런치와 스쿼트는 둘 다 무산소 운동이므로 유산소운동도 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저는 평소에도 걷는 것을 좋아해서 유산소운동으로 걷기를 택하였습니다.
걷기운동은 체지방감소, 스트레스해소, 골다공증예방, 심장질환예방 등 좋은 점이 아주많습니다.
걷기운동을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준비운동을 해주어 근육이 놀라지 않게 해주어야합니다. 걸을때는 머리를 세우고 허리를 곧게 핀 자세에서 팔은 옆구리를 스치듯이 자연스럽게 흔들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보폭은 평상시의 걸음보다는 약간 넓게하고 속도는 숨이 차지 않을정도로 약간 빠르게 걷는것이 심장과 폐기능, 체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둘째, 자신의 신장과 체중을 전국 평균치와 비교하고, 신장은 키우고 체중은 줄이는 방법
위의 표는 각각 20대 한국남녀평균신체지수와 20대 여자의 표준신장, 표준체중을 나타낸 표입니다. 위에서 볼수있듯이 여자 20대의 평균신장은 160.3cm정도이고 평균체중은 53.28kg정도입니다. 제 신장은 20대여자 평균신장보다 약 2.7cm정도 더 크고 몸무게는 평균체중보다 약 5kg정도 더 나갑니다.
성인은 아무래도 청소년기 아이들과는 키크는 방법이나 속도면에서 매우 차이가 납니다.
보통 키가 자라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20세 전후까지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24~25세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성장판은 연골이 분화되는 부분이고 성장판이 닫힌다는 것은 이러한 연골이 굳어져 모두 단단한 다른 부분의 뼈와 같이 변화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뼈의 길이 성장이 불가능 합니다. 저 같이 성장판이 닫힌 상태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골세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뼈가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제 나이를 고려했을 때 키 성장은 어렵지만 자세교정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숨은 키와 길이성장의 효과를 볼 수는 있을 것 같기 때문에 매일매일 움츠린 몸을 펴주어 자세를 교정시켜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척추측만증도 가지고 있어서 스트레칭으로 자세를 교정한다면 키가 더 커지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스트레칭은 몸을 곧게 고정시켜주면서 자연히 배에도 힘이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몸매도 좋아지고 살이 빠지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과제를 마치면서
이번 과제를 통해 올바르게 체중을 감량하는 법에 대해 많이 알게된 것 같아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음식을 적게먹으면 살이 빠질것이라 생각해 음식을 거의 먹지 않고 체중의 감량하던 전의 다이어트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번과제를 통하여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전과 달리 이번엔 꼭 위의 예시처럼 올바른 식단을 짜고 매일 식단을 꼬박꼬박 기록하는 등 건강한 다이어트를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식이와 운동을 병행하여 더 건강한 몸을 만들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 출처
http://www.ezday.co.kr/bbs/view_board.html?q_id_info=1067&q_sq_board=3501266
http://cafe.naver.com/bodytech1/146
http://blog.naver.com/oboessun?Redirect=Log&logNo=220122450521
http://blog.naver.com/lovelovebnb?Redirect=Log&logNo=220090601327
http://infowing.tistory.com/434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919&cid=51030&categoryId=5103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933&cid=51030&categoryId=51030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size korea
http://sizekorea.kats.go.kr
이번기회에 야식을 끊음으로써 더욱 더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식이요법을 하던 중 반복되는 다이어트식단이 질리거나 물린다면 가끔 다이어트용 요리나 간식을 만들어서 먹는 것도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사진은 다이어트용 간식들의 예입니다. 왼쪽은 찐 단호박과 계란으로만 만든 단호박빵, 오른쪽은 버터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오트밀 쿠키입니다.
다이어트식단을 계속 반복하다보면 군것질이 땡길 때가 있습니다. 그 때 이 다이어트용 간식들을 만들어 먹는다면 일반 과자나 빵처럼 다이어트에 해가 되지 않고 식단을 장기적으로 지켜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운동
올바른 식이요법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바로 운동입니다. 저는 다른 부위보다 특히 복부 쪽에 살이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저는 복부 쪽에 효과가 많은 운동인 ‘크런치’를 위주로 운동을 해보려합니다.
크런치는 복직근 중 상부를 강화하는 운동입니다. 허리 부분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싯업과 다른 점이고 근육을 수축시킬 때뿐만 아니라 이완될 때도 복부에 긴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런치 운동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구부리고 발이 바닥과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2. 양손을 귀에 대고 복부에 힘을 주면서 고개를 살짝 듭니다.
3. 어깨가 바닥에서 약 10cm 떨어지도록 등을 둥글게 구부리면서 상복부를 수축합니다.
4. 마지막으로 상복부의 긴장을 느끼면서 천천히 몸통을 바닥으로 눕힙니다. 이때 머리가 완전히 바닥에 닫지 않도록 합니다.
크런치에 이어 하체운동으로는 ‘스쿼트’가 있습니다. 스쿼트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으로, 가장 기본적인 하체 운동입니다.
이제 바벨을 들고 하는 스쿼트의 순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처음으로 선 자세에서 양손에 덤벨을 듭니다.
2. 어깨너비로 서서 발끝이 약간 바깥쪽을 향하도록 합니다.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복근에 힘을 주어 허리를 단단히 조여줍니다.
3. 무릎이 발끝보다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허벅지와 수평이 될 때까지 앉습니다.
4. 마지막으로 발뒤꿈치로 민다는 느낌으로 허벅지에 힘을 주면서 일어섭니다.
앞의 크런치와 스쿼트는 둘 다 무산소 운동이므로 유산소운동도 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저는 평소에도 걷는 것을 좋아해서 유산소운동으로 걷기를 택하였습니다.
걷기운동은 체지방감소, 스트레스해소, 골다공증예방, 심장질환예방 등 좋은 점이 아주많습니다.
걷기운동을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준비운동을 해주어 근육이 놀라지 않게 해주어야합니다. 걸을때는 머리를 세우고 허리를 곧게 핀 자세에서 팔은 옆구리를 스치듯이 자연스럽게 흔들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보폭은 평상시의 걸음보다는 약간 넓게하고 속도는 숨이 차지 않을정도로 약간 빠르게 걷는것이 심장과 폐기능, 체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둘째, 자신의 신장과 체중을 전국 평균치와 비교하고, 신장은 키우고 체중은 줄이는 방법
위의 표는 각각 20대 한국남녀평균신체지수와 20대 여자의 표준신장, 표준체중을 나타낸 표입니다. 위에서 볼수있듯이 여자 20대의 평균신장은 160.3cm정도이고 평균체중은 53.28kg정도입니다. 제 신장은 20대여자 평균신장보다 약 2.7cm정도 더 크고 몸무게는 평균체중보다 약 5kg정도 더 나갑니다.
성인은 아무래도 청소년기 아이들과는 키크는 방법이나 속도면에서 매우 차이가 납니다.
보통 키가 자라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20세 전후까지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24~25세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성장판은 연골이 분화되는 부분이고 성장판이 닫힌다는 것은 이러한 연골이 굳어져 모두 단단한 다른 부분의 뼈와 같이 변화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뼈의 길이 성장이 불가능 합니다. 저 같이 성장판이 닫힌 상태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골세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뼈가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제 나이를 고려했을 때 키 성장은 어렵지만 자세교정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숨은 키와 길이성장의 효과를 볼 수는 있을 것 같기 때문에 매일매일 움츠린 몸을 펴주어 자세를 교정시켜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척추측만증도 가지고 있어서 스트레칭으로 자세를 교정한다면 키가 더 커지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스트레칭은 몸을 곧게 고정시켜주면서 자연히 배에도 힘이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몸매도 좋아지고 살이 빠지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과제를 마치면서
이번 과제를 통해 올바르게 체중을 감량하는 법에 대해 많이 알게된 것 같아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음식을 적게먹으면 살이 빠질것이라 생각해 음식을 거의 먹지 않고 체중의 감량하던 전의 다이어트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번과제를 통하여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전과 달리 이번엔 꼭 위의 예시처럼 올바른 식단을 짜고 매일 식단을 꼬박꼬박 기록하는 등 건강한 다이어트를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식이와 운동을 병행하여 더 건강한 몸을 만들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 출처
http://www.ezday.co.kr/bbs/view_board.html?q_id_info=1067&q_sq_board=3501266
http://cafe.naver.com/bodytech1/146
http://blog.naver.com/oboessun?Redirect=Log&logNo=220122450521
http://blog.naver.com/lovelovebnb?Redirect=Log&logNo=220090601327
http://infowing.tistory.com/434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919&cid=51030&categoryId=5103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933&cid=51030&categoryId=51030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size korea
http://sizekorea.kats.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