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협조적인 학부모
2. 빠른 변화를 원하는 학부모
3. 자기 자식에게만 신경 써줄 것을 요구하는 학부모
4. 소문에 대해 민감한 학부모
5. 무리한 것을 요구하는 학부모
6. 자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학부모
2. 빠른 변화를 원하는 학부모
3. 자기 자식에게만 신경 써줄 것을 요구하는 학부모
4. 소문에 대해 민감한 학부모
5. 무리한 것을 요구하는 학부모
6. 자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학부모
본문내용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사와 학부모가 친밀하고 서로 믿을 수 있을 때 가정에서의 부모의 협조도 구할 수 있다.
교사는 갑작스럽게 한꺼번에 아동의 문제행동을 언급하기보다는 평소에 학생을 매개로 자주 대화를 나누고 학생의 상황을 학부모와 자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이의 문제점이나 단점을 이야기할 때는 반드시 장점을 함께 이야기함으로써 학부모의 거부감을 해소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교사 자신의 경험과 인상에 의지하기보다는 심리검사나 전문가의 평가와 같은 권위에 의지해서 아이의 문제를 부모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아이의 문제와 관련된 소책자나 책을 읽어보라고 알려주거나 직접 건네줄 필요가 있으며, 자녀교육과 관련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해줌으로써 학부모가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교사는 갑작스럽게 한꺼번에 아동의 문제행동을 언급하기보다는 평소에 학생을 매개로 자주 대화를 나누고 학생의 상황을 학부모와 자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이의 문제점이나 단점을 이야기할 때는 반드시 장점을 함께 이야기함으로써 학부모의 거부감을 해소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교사 자신의 경험과 인상에 의지하기보다는 심리검사나 전문가의 평가와 같은 권위에 의지해서 아이의 문제를 부모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아이의 문제와 관련된 소책자나 책을 읽어보라고 알려주거나 직접 건네줄 필요가 있으며, 자녀교육과 관련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해줌으로써 학부모가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