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예술의 이해 중간고사 대체 과제 : 1주차~7주차 & 선택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예술의 이해 중간고사 대체 과제 : 1주차~7주차 & 선택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필수 과제>

< 1주차 강의 >…………………………………………2p
(문화, 대중, 대중문화)
1.1문화란 무엇인가?
1.2대중문화
1.3대중문화 개념의 변화

< 2주차 강의 >…………………………………………3p
(문화코드)
2.1문화코드를 알아야 하는 이유란 무엇인가?
2.2문화코드란 무엇인가?
2.3문화코드를 형성하는 요인
2.4한중일의 문화코드

< 3주차 강의 >…………………………………………5p
(욕망)
3.1현대인간은 호모 디자이어런스
3.2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3.3욕구, 욕망, 소원

< 4주차 강의 >…………………………………………6p
(재미)
4.1대중문화와 재미
4.2재미를 추구하는 현대인간

< 5주차 강의 >…………………………………………6p
(스토리텔링)
5.1대중문화와 스토리텔링
5.2대중문화 속 스토리텔링

< 6주차 강의 >…………………………………………7p
(문화콘텐츠)
6.1대중문화와 문화콘텐츠

< 7주차 강의 >…………………………………………8p
(드라마)
7.1대중문화와 드라마
7.2드라마 컨벤션의 이해




<선택 과제>…………………………………………10p

1.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1개 이상 쓰고, 그것을 왜 문화유전자라고 생각하는지 쓰세요.

2. 재미와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대중문화콘텐츠의 사례를 1개 이상 조사해보세요.(사진, 동영상, 링크 첨부)

3. 쾌락과 욕망의 차이에 대해서 쓰세요.

본문내용

중간 과제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B113112 조경석
<필수 과제>
< 1주차 강의 >
(문화, 대중, 대중문화)
1.1문화란 무엇인가?
1)문화의 어원 - 라틴어 동사 colore에서 유래됨.
2)문화의 정의
(1)인류학 분야
(2)문화 사회학분야
3)문화의 분류
(1)윤리나 도덕개념의 문화 - 교통문화, 화장실 문화 등
(2)심미적 취향, 교양의 문화 - 음악, 미술 등
(3)사회계층적 차원의 문화 - 대중 문화, 여성문화 등
(4)삶의 양식의 문화 - 일상적 삶의 규칙들
4)문화 인식의 변화
윤리나 도덕개념의 문화, 심미적 취향, 교양의 문화중시 -> 윤리나 도덕개념의 문화, 심미적 취향, 교양의 문화, 사회계층적차원의 문화, 삶의 양식의 문화 모두 중시
1.2대중문화
1)대중사회의 출현
시기 - 19세기 말
중심지 - 영국의 멘체스터
출현 이유 - 방적기계의 발달로 인한 공업화, 산업화. 농업 쇠퇴로 인한 농노의
도시 이주화
2)대중의 출현
(1)대중이란?
새롭게 도시에 군집한 산업 노동자들을 칭함
(2)대중에 대한 인식
아나키(무질서)한 존재, 쓰레기 같은 존재, 사회 불안적이고 공포적 존재, 무식한 존재, 비이성적인 존재, 개인성이 상실된 집단의 존재 -> 즉 통제가 필요한 존재
(3)아놀드 주의와 리비스 주의
①아놀드 주의 : 지식인 매튜 아놀드의 주의. 대중문화의 저급성 지적. 대중문화를
교화시키려 함. 대중문화로부터 고급문화를 지키려 함.
②리비스 주의 : 지식인 F.R. 리비스의 주의. 문화는 소수만이 향유하는 것.
대중문화는 현실도피적, 문화적 퇴행, 사회적 무질서 야기
대중문화는 나쁜 문화라고 지적함.
(4)대중문화의 대한 인식
①고급문화 : 클래식 음악, 시, 소설, 수필, 유명화가의 그림, 발레
②대중문화 : 대중음악,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낙서, 비보이
1.3대중문화 개념의 변화
1)mass culture와 popular culture
부정적 의미의 mass culture와 긍정적 의미의 popular culture
2)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1)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
①2차 세계 대전이후에 등장.
②19세기 리얼리즘, 20세기 초반 모더니즘, 20세기 후반 포스트 모더니즘
③예술적, 지적, 사상적 경향을 지칭
(2)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
①해체 및 반형식 : 정해진 형식의 부재
②혼란 : 애매모호, 현실과 허구의 혼합
③분산 : 파편화 및 단편화
④침투 : 상호모방, 독자 및 관객의 참여
< 2주차 강의 >
(문화코드)
2.1문화코드를 알아야 하는 이유란 무엇인가?
1)한 국가, 집단, 조직, 시대의 관습을 이해
2)한 국가, 집단, 조직, 시대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이해
3)한 국가, 집단, 조직, 시대의 고유성 및 정체성을 이해
4)국가의 대중문화 및 문화콘텐츠의 특징을 이해
2.2문화코드란 무엇인가?
1)문화코드의 정의
사회 통념적으로 자연스럽게 쓰이는 표현
2.3문화코드를 형성하는 요인
1)meme
meme - 모방과 같은 비유전적 방법을 통해 전달된다고 여겨지는 문화전달 요소
2)아비투스
일정하게 체계화된 개인의 성향체계
3)문화코드 형성 요인
meme(내재화)+아비투스(외재화) -> 문화코드 형성
2.4한중일의 문화코드
1)한국의 문화코드
(1)유교 - 권선징악적, 이분법적
(2)불교 - 자비와 윤회 사상적 패턴
(3)도교 - 애미니즘, 혈연지향적 가치관
2)일본의 문화코드
(1)와(和)
①이치난마에 - 자신의 몫을 다한다
②온 - 은혜를 갚는다
③메이와쿠 - 폐를 끼치지 않는다
④기쿠바리 - 상대방을 배려한다
3)중국의 문화코드
(1)중화 : 중국인의 공동체 의식, 자신이 중심
(2)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1.04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