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P(Teaching by Principles) Chapter.13. (제13장) 교실에서 상호작용 시작하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BP(Teaching by Principles) Chapter.13. (제13장) 교실에서 상호작용 시작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3장 교실에서 상호작용 시작하기
13.1 상호작용이란 무엇인가?
13.2 상호작용적 원리
13.3 상호작용적 교사의 역할
13.4 외국어 상호작용 분석
13.5 상호작용적 학습을 위한 질문 책략

본문내용

nt out, label, reproduce. Who? What? Where? When? Answer\"yes\"or\"no.\"
2. 이해형 질문: 해석하기, 추정하기
흔한 질문의 말: state in your own words, explain, define, locate, select, indicate, summarize, outline, match.
3. 적용형 질문: 듣거나 읽어서 얻은 정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기
흔한 질문의 말: demonstrate how, use the data to solve, illustrate how, show how, apply, construct, explain. What is _______ used for? What should result? What would happen?
4. 추론형 질문: 교수 자료에 직접 언급되지 않은 결론짓기
흔한 질문의 말: How? Why? What did _____ mean by? What does _____ believe? What conclusions can you draw from ...?
5. 분석형 질문: 부분으로 나누기, 부분을 전체와 관련짓기
흔한 질문의 말: distinguish, diagram, chart, plan, deduce, arrange, separate, outline, classify, contrast, compare, differentiate, categoriz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is the function of? what motive? What conclusions? what is the main idea?
6. 종합형 질문: 요소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패턴을 구성하기
흔한 질문의 말: compose, combine, estimate, invent, choose, hypothesize, build, solve, design, develop. what if? How would you test? what would you have done in this situation? what would you happen if ...? How can you improve ...? How else would you ...?
7. 평가형 질문: 특정한 한 세트의 기준에 따라 선악과 시비를 판단하고 이유를 들기
흔한 질문의 말: evaluate, rate, defend, dispute, decide which, select, judge, grade, verify, choose why. Which is best? Which is more important? Which do you think is more appropriate?
질문을 남발하는 것이 절대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촉진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실은 상호작용적 학습을 저해하는 유형의 질문도 있다. 다음을 주의하라(Kinsella, 1991에서 각색).
전시형 질문에 수업시간을 과도하게 소비하는 경우-진짜로 정보를 찾는 활동이 없는 인위적 상황에서 학생들이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다.
굳이 대답하는 것이 바보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분명한 질문을 하여 학생의 지적능력을 모욕하는 질문.
추상적이거나 애매모호한 표현을 하여 질문 의도가 흐려지는 경우(예: Do you pretty much understand more or less what to do?)
너무 복잡하고 길어서 듣고 이해하기 어려운 질문. (예: “Given today\'s discussion, and also considering your previous experienc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hat would you say are the ramifications of, or the potential developmental impacts on, children functioning in an educational system in which assessment procedures largely consist of multiple-choice, paper-and-pencil instrumentation?\").
(여러분이 스스로 대답하려는 의도로 질문하는데) 학생들은 여러분이 자신들의 답을 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수사적 질문이 너무 많은 경우. 그렇게 되면 여러분이 답을 주면 학생들은 혼란에 빠진다.
논리성이 결여되고 잘 개획되지 못한 순서로 질문을 마구잡이로 던져 학습자들의 사고패턴을 혼란에 빠뜨리는 경우.
물론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교사의 책략은 이외에도 많다. 짝 활동과 모둠 활동도 상호작용을 유도한다. 교사의 지시(“Open your books.\" \"Do the following exercise.\")가 상호작용을 자극할 수도 있다. 학생들을 조직하는 말(\"Get into small groups.\")도 중요하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반응(칭찬, 인정, 혹은 단지 ”Uh-huh\"라고 하는 것)도 없어서는 안 된다. 학생이 제기하는 질문에 진정으로 답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책략을 개발하도록 격려하는 것도 상호작용의 도구를 개발하도록 자극하는 탁월한 방법이다. 심지어 “강의”(그리고 그 밖의 구두 정보 제공)를 하고 학생들에게 텍스트를 읽도록 요구하는 것도 상호작용적인 교실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과정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들 책략의 대부분은 차후에 적절한 시점에 다루어지고, 짝 활동과 모둠 활동은 다음 장에서 폭넓게 다루어진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상호작용적 수업을 연출하기 위한 도구를 구축함에 있어 질문 책략을 여러분이 숙지해야 할 가장 중요한 교수 행동의 하나로 간주하라.
본 장은 상호작용적 교실을 만드는 첫 단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들이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하고, 그들에게 준비를 시키고, 그들이 더 많은 의사소통을 하도록 자극하기 위하여 여러분이 어떤 행동을 하고 무슨 말을 하는가라는 문제는 상호작용적 교수 기법의 성공 여부에 결정적이다. 이제 우리는 상호작용적 언어 수업의 특징으로 알려져 있는 모둠활동을 관리하는 복잡한 과정에 눈을 돌린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1.1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