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관삽입 및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흉관삽입 및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hest tube 관리
1. 흉관 삽입 목적
2. 흉관 삽입 적응증
3. 흉관 삽입 삽입위치
4. 흉관 삽입 준비사항
5. 흉곽배액의 원리 & 구조
6. 흉관 삽입 절차
7. 흉관 삽입 후 관리 및 간호
8. 흉관 removal의 원칙
9. 응급상황시 대처상황

본문내용

흉관 removal의 원칙
- 흉막강 내의 공기나 체액이 완전히 배출되면 폐는 재팽창 되므로 흉부 밀봉 배액 기구는 제거한다.
1) air leak 이 없고(늑막강 내 공기나 체액의 배출이 완전히 되었을 때 제거배액병 속의 긴 튜브에서 물의 진동이 소실된다.)
2) 배액량이 감소하고(2ml/kg/day 이하)
3) 폐 팽창이 되어 있으면 tube를 제거한다. c-tube removal 후 1시간이내에 chest x-ray를 f/u한다. (상황에 따라 익일 아침chest x-ray를 f/u 하기도 한다.)
4) removal 후 일주일후 s/o 여부 확인하도록 한다. 그때까지는 dressing 챙김.
9. 응급상황시 대처상황
- 의사 호출과 동시에 chest AP check
1) chest tube 가 완전히 빠진 경우
즉시 손이나 거즈등으로 그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누른다. v/s측정 및 의사를 호출한다. (튜브가 빠진 곳을 통해 공기가 늑막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연결된 줄이 빠진 경우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그고, v/s측정, 의사에게 알린다.
3) chest bottle 이 쓰러진 경우
대기에 노출되어 늑막강내로 공기가 들어가게 되므로 병을 일으켜 세워 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시켜 공기를 배출시칸다.
- 배익병의 물기둥 높이를 확인하고 채워 놓는다.
4) 병이 깨진 경우
병이 깨지면 대기는 흉막강 내로 들어간다. 이때 흉곽튜브를 잠가 기흉을 방지한다. 공기가 나오고 있지 않던 대상자는 즉시 튜브를 잠그고 배액기구가 준비되면 튜브 끝을 소독수로 닦은 후 연결시킨다.
공기가 나오던 대상자는 튜브를 잠근 후 다른 배액기구가 준비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대상자의 상태를 잘 살펴서 긴장성 기흉이 생기는지 봐야 한다. 튜브를 잠근 후 대상자가 숨을 가쁘고 얕게 쉬며 불안해하고, 청색증이 생기면 긴장성 기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시 잠갔던 튜브를 풀어주어야 한다. 튜브를 풀어 생기는 개방성 기흉보다는 긴장성 기흉이 훨씬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5) chest tube oozing 시
- c-tube site oozing 이 있을때 PA or intern call --> dressing을 다시 시행
- c-tube insert 후 12시간지나 tube site 관찰후 dressing 여부를 확인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18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