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장의 ‘지방의 주목투쟁’
8장 ‘지방문화의 현재와 미래’
9장 '지역주의와 연고주의'
8장 ‘지방문화의 현재와 미래’
9장 '지역주의와 연고주의'
본문내용
참여하고 지방이 주도하는 아래서 위로 올라가는 bottom-up 방식을 도입해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지방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지방은 식민지다’를 읽음으로서 이제라도 내가 살고 있는 지방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고, 지방 식민지화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서는 지방 서울 할 것 없이 우리나라 안에서 어디서든 살기 좋은 곳이 되기를 기원한다.
‘지방은 식민지다’를 읽음으로서 이제라도 내가 살고 있는 지방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고, 지방 식민지화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서는 지방 서울 할 것 없이 우리나라 안에서 어디서든 살기 좋은 곳이 되기를 기원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문장의 이해와 표현 : 문이표] 지방은 식민지다 [독후감] _ 강준만 저
[서평]강준만 교수의 ‘지방은 식민지다’를 읽고 - 지방, 제 3세계, 그 내면으로부터의 개혁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Colonial Modernity in Korea)』 _ 신기욱 & 마이클 로빈슨 저 [독후감/서평]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 담배,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문화, 하멜표류기, 담배의 상업적 재배, 일제의 연초세
백석에 관한 종합자료
탈식민지시대지식인의글읽기와삶읽기 독후감
『식민지 소년』에 나타나는 식민지의 고통과 삶
『상처 입은 치유자 (The Wounded Healer)』의 [줄거리 및 서평·독후감] _ 헨리 나우웬 (Henri Jozef Machiel Nouwen) 저
후보생 권장도서 독후감 (15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