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방 예술과 풍류집단 [논문형식] (연행의 ‘장’과 문학집단, ‘풍류방’ ‘풍류방예술’ ‘풍류집단’,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시대적 변모, 시가사적 맥락에서의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류방 예술과 풍류집단 [논문형식] (연행의 ‘장’과 문학집단, ‘풍류방’ ‘풍류방예술’ ‘풍류집단’,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시대적 변모, 시가사적 맥락에서의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풍류방 예술과 풍류집단



Ⅰ. 연행의 ‘장’과 문학집단

Ⅱ. ‘풍류방’ ‘풍류방예술’ ‘풍류집단’

Ⅲ.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시대적 변모
 1. 의사擬似 풍류방예술
  1.1 제천의식, 화랑도, 팔관회, 무당굿, 탈놀이
  1.2 고려조의 ‘궁중연회’
 2. 채홍철의 ‘중화당’과 고려조의 ‘기로회’
 3. 조선 전기의 풍류회
 4. 조선 후기의 풍류회

Ⅳ. 시가사적 맥락에서의 풍류방예술, 풍류집단의 의미

본문내용

한 사람인 이총을 중심으로 한 풍류회에서 무풍부정을 지닌 이총이 별서를 짓고 시인들을 불러모아 시를 엄청나게 많이 지었는데, 이러한 사실로 보면 그들이 얼마나 자주 그런 모임을 가졌는지 짐작할 수 있다. 선조 때의 이항시인 집단인 ‘풍월향도’는 북촌 정업원 근처에 ‘침류대’를 마련하고 유희경이 백대붕, 박계강, 최기남, 박지화, 정옥서, 박인수,권천동, 공억건 등과 같이 모여 주작시금하면서 풍류를 즐겼다. ‘향도’란 서류들의 모임이란 뜻이지만, 여기 침류대에서는 차천로, 신흠, 성여학 등 사대부 시인도 모여들었고, 함께 부시주창했다. 이 ‘풍월향도’는 ‘객사’ ‘송석원 시사’ ‘칠송정 시사’ ‘죽란시사’ 등 시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조선 후기 풍류회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들 풍류회는 모두 창작자, 실기인, 향수인 3자가 일치하는 연행패턴을 보이며, 시회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드물게 정두경, 홍만종, 임유후, 김득신, 홍역기의 풍류회와 같이 시와 가악이 동일한 창에서 거의 같은 비중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전혀 없지는 않았다. 홍만종이 정두경의 시조작품 뒤서 서序한 글 중 홍만종의 ‘정가’에 정두경이 ‘창’하고 뒤를 이어 김득신, 홍역기가 춤을 추었다는 내용으로 보아 순수한 시회는 아니었고, 시와 가악과 무가 어우러진 풍류놀음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기녀를 부른 것으로 보아 정두경의 시조는 기녀의 관현반주에 실어 부르는 가곡창이었다는 점도 아울러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정두경은 시조 두 편을 지어 불렀는데, 그의 역할이 ‘창작자’와 ‘실제 연주자’를 겸하는 양상이었음을 통해 한사람이 양자의 역할을 겸하지 않는 조선 전기 풍류상에서 드문 예 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해 음악적 관심이 전문화, 집단화로 나아가지 않고 여기나 취미 차원으로 머물고 말았다는 것이 조선 전기 풍류상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4. 조선 후기의 풍류회
조선후기의 풍류방예술 및 풍류집단은 ‘시회’ 성격의 풍류회와 ‘음악회’성격의 풍류회 양 쪽 모두 활발한 활동을 보인다. 전자는 ‘시사時仕’의 조직을 통해, 후자는 ‘가단歌壇’을 주축으로 전개된다. 특히 가단은 풍류방예술의 전형적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시가사의 전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풍류집단’이 풍류회에서 행하는 역할을 ‘창작자’ ‘실제 연주인’ ‘향유자’로 구체화하여, 가악활동을 중심으로 한 풍류집단의 풍류상을 살펴보려 할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0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