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처리수준모형(Levels of Processing Theory)
2. 이중부호이론(Dual Code Theory)
3. 병렬분산처리모형(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Model)
4. 연결주의모형(신경망모형, Connectionism)
5. 부호화 특수성 원리(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6. 상태의존학습(State Dependent Learning)
7. 자동성(Automaticity)
8. 집행통제과정이론
2. 이중부호이론(Dual Code Theory)
3. 병렬분산처리모형(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Model)
4. 연결주의모형(신경망모형, Connectionism)
5. 부호화 특수성 원리(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6. 상태의존학습(State Dependent Learning)
7. 자동성(Automaticity)
8. 집행통제과정이론
본문내용
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처음에는 상당한 주의집중과 노력이 필요한 활동이라고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자동화되어 특별한 노력이 없이도 처리할 수 있다. 자동화가 되면, 우리가 걸으면서도 말하고 들을 수 있는 것처럼 능수능란하게 무의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자동화된 조작은 신속하게 수행되고 의식적인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며 자동적이고 일관성이 있으며 의식적으로 통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하다.
8. 집행통제과정이론
상위인지(초인지 또는 메타인지)는 정보의 집행통제과정을 관장한다. 그래서 상위인지가 발달된 사람일수록 정보처리능력이 발달되어 있다. 물론 사람마다 상위인지 기술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얼마나 잘 학습하고 얼마나 빨리 학습하는지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8. 집행통제과정이론
상위인지(초인지 또는 메타인지)는 정보의 집행통제과정을 관장한다. 그래서 상위인지가 발달된 사람일수록 정보처리능력이 발달되어 있다. 물론 사람마다 상위인지 기술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얼마나 잘 학습하고 얼마나 빨리 학습하는지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제6차 교과서내용과 검정기준에 의한 정보산업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분석
인지주의 학습이론(정보처리이론)
피아제(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과 정보처리이론
[교통신호]교통신호(교통신호등)의 종류, 기능과 설치기준, 교통신호(교통신호등)와 LED교통...
[도서관문헌][도서관][디지털화]도서관문헌의 기본구성, 도서관문헌의 신청방법, 도서관문헌...
[정보처리이론] 정보처리이론의 발달배경, 정보처리과정의 모형, 정보처리의 인지발달, 교육...
정보봉사sub_130526
[사회인지의 영역] 아동의 사회인지발달(유아-아동의 감정발달 자아발달 친구관계발
정보처리이론 [사회과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