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2. 대한민국청소년헌장에 나타난 청소년의 권리
3. 청소년들이 권리를 침해받는 사례
4. 아동권리협약과 청소년헌장에 비춰볼 때 한국 청소년의 권리상황과 이의 증진 방안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2. 대한민국청소년헌장에 나타난 청소년의 권리
3. 청소년들이 권리를 침해받는 사례
4. 아동권리협약과 청소년헌장에 비춰볼 때 한국 청소년의 권리상황과 이의 증진 방안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났다. 이와 함께 중도에 학업을 중단하는 고교생의 비율도 전국에서 4번째로 많았다.
21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일 의원(새누리당·비례)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서 올해 충남지역의 고교 재적학생수는 7만5837명인데 이중 1282명(1.69%)이 중도에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자퇴가 117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퇴학은 72명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퇴학당한 학생중 21명이 학교폭력으로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 19명, 전남 13명, 경남 12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4. 아동권리협약과 청소년헌장에 비춰볼 때 한국 청소년의 권리상황과 이의 증진 방안
가. 처벌적 징계 보단 치료적 징계 강화
일선 학교에서는 학교폭력을 단행한 청소년들에 대한 퇴학이나 정학을 단행함으로서 처벌적으로 다스리고 있다. 이러한 기성 학교의 행동은 청소년이 우리사회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는 기회 자체를 박탈하는 것이다. 즉, 학교폭력 학생에 대한 퇴학이나 정학과 같은 처벌적 행위보다는 청소년들이 그들의 과오를 깨닫고 사회구성원으로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학교 입학을 권유하는 방법이나 검정고시를 치룰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돕는 방법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학업만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
청소년헌장에서는 청소년의 여가문화생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을 둘러싼 우리사회 환경은 그들에게 학업만을 강조함으로서 성적지상주의를 부추기고 나아가 그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이는 명백한 청소년 권리에 대한 침해이며, 청소년들에게 학업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인격적으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열린 교육을 지향해야 될 것이라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엔권리협약의 개념 및 우리나라 청소년 헌장의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 권리증진 방안에 대하여 나름대로 나의 의견을 기술해 보았다. 청소년은 우리 미래사회 주역임을 자각하고 그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 사회적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한울 | 2008.09.01.
한국의 아동 청소년 권리 이용교, 황옥경 외 3명 저 | 인간과복지 | 2005.11.23.
21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일 의원(새누리당·비례)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서 올해 충남지역의 고교 재적학생수는 7만5837명인데 이중 1282명(1.69%)이 중도에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자퇴가 117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퇴학은 72명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퇴학당한 학생중 21명이 학교폭력으로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 19명, 전남 13명, 경남 12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4. 아동권리협약과 청소년헌장에 비춰볼 때 한국 청소년의 권리상황과 이의 증진 방안
가. 처벌적 징계 보단 치료적 징계 강화
일선 학교에서는 학교폭력을 단행한 청소년들에 대한 퇴학이나 정학을 단행함으로서 처벌적으로 다스리고 있다. 이러한 기성 학교의 행동은 청소년이 우리사회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는 기회 자체를 박탈하는 것이다. 즉, 학교폭력 학생에 대한 퇴학이나 정학과 같은 처벌적 행위보다는 청소년들이 그들의 과오를 깨닫고 사회구성원으로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학교 입학을 권유하는 방법이나 검정고시를 치룰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돕는 방법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학업만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
청소년헌장에서는 청소년의 여가문화생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을 둘러싼 우리사회 환경은 그들에게 학업만을 강조함으로서 성적지상주의를 부추기고 나아가 그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이는 명백한 청소년 권리에 대한 침해이며, 청소년들에게 학업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인격적으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열린 교육을 지향해야 될 것이라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엔권리협약의 개념 및 우리나라 청소년 헌장의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 권리증진 방안에 대하여 나름대로 나의 의견을 기술해 보았다. 청소년은 우리 미래사회 주역임을 자각하고 그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 사회적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한울 | 2008.09.01.
한국의 아동 청소년 권리 이용교, 황옥경 외 3명 저 | 인간과복지 | 2005.11.23.
추천자료
아동의 권리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우리의 과제
청소년복지의 관한 고찰
UN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아동의 권리에 대해서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대한민국청소년헌장의 주요 내용, 한국 청소년의 권리 상황 [...
[아동복지 공통] 1. 아동복지의 정의와 이념을 설명하고, 아동복지 발달의 세계적 추세에 비...
[아동복지 공통] 2.아동권리 이념의 발달과정을 기술하고, UN의 아동권리협약이 우리나라 아...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원칙을 기술하고 성인 및 아동중심관점에서의 아동의 권리를 논하시...
아동권리의 개념과 아동권리의 내용 UN의 아동권리협약상의 4개 권리를 설명하고 4대 아동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