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양반의 일생
1. 공부 및 과거를 보는 과정
2. 관료와 양반으로서의 활동
Ⅱ. 전통 시대 의례 생활
1. 혼례
2. 출산의례
3. 관례
4. 상장례
5. 문중과 시제, 절사
참고문헌
1. 공부 및 과거를 보는 과정
2. 관료와 양반으로서의 활동
Ⅱ. 전통 시대 의례 생활
1. 혼례
2. 출산의례
3. 관례
4. 상장례
5. 문중과 시제, 절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집었다. 미래에 용감한 무관으로 성장할 손자를 상상하며 어느 때보다 기쁜 하루를 보냈다.
3. 관례
성인이 된 둘째 아들의 관례를 준비하였다. 관례란 머리에 갓을 씌워주며 이제는 어린이가 아닌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의례이다. 나는 아들에게 갓을 씌어주며 이제는 성인사회의 일원이 되었다고 이야기해주었다. 또한 성인으로서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하며 살아갈 것을 당부하였다.
4. 상장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장자이자 상속자였던 나는 상주가 되었다. 아버지의 임종은 평상시에 거처하시던 정침에서 이루어졌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영혼을 불러들이는 초혼을 하고 시신은 시상판 위에 모셨다. 그 앞에는 병풍을 쳤고 나를 비롯한 상제들이 옆을 지키며 조문객을 맞이했다. 초종 이후에는 습, 소렴, 대렴 등을 행했다. 이후 장지와 장일을 정하고 광중을 팠으며 신주를 만들었다. 운구 시에는 평소 아버지께서 즐겨 찾으셨던 곳에 잠시 멈춰 노제를 지냈다. 아버지의 시신을 매장한 후 신주를 영여로 모셔왔다. 아버지의 혼이 방황하지 않도록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를 지내며 혼을 위안하였다. 초상 이후 1년이 시간 시점에 소상을 지냈다. 2주기에는 대상을 지냈으며 초상으로부터 27개월째 되는 달 정일에 사당에서 담제를 지냈다.
5. 문중과 시제, 절사
매년 음력 2월과 5월, 8월과 11월에는 길일을 택해 부모님부터 고조부모까지 제사를 지내는 시제를 지냈다. 시제는 문중의 대표적인 의례이었으며 부계의 남자 후손들만 참여할 수 있었다. 문중의 일원으로서 나는 족보를 편찬하는 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충절이나 효열을 나타낼 수 있는 선조들의 행적을 찾아 나섰고 이를 모아 편찬하는 작업에도 참여하였다. 족보의 목적은 나의 집안의 신분을 대외적으로 표방하는 것이었다. 가문의 위세를 과시하고자 입신출세한 내외손을 모두 수록하였다. 우리 집안은 고조가 같은 후손끼리 모여 당내를 결성했다. 당내의 주요한 의례로서 절사는 직계조상에 대해 사상이나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설, 한식, 단오, 추석마다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제사를 지냈다. 설에는 날씨가 워낙 추워 묘제를 지내기가 어려웠기에 집에서 차례를 지냈다. 제례는 장자봉사로 이루어졌다. 과거에는 아들뿐만 아니라 사위까지 제사를 지내는 윤회봉사가 일반적이었으나 우리 집안에서는 적장자가 제사를 주관하였다.
참고문헌
-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3. 관례
성인이 된 둘째 아들의 관례를 준비하였다. 관례란 머리에 갓을 씌워주며 이제는 어린이가 아닌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의례이다. 나는 아들에게 갓을 씌어주며 이제는 성인사회의 일원이 되었다고 이야기해주었다. 또한 성인으로서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하며 살아갈 것을 당부하였다.
4. 상장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장자이자 상속자였던 나는 상주가 되었다. 아버지의 임종은 평상시에 거처하시던 정침에서 이루어졌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영혼을 불러들이는 초혼을 하고 시신은 시상판 위에 모셨다. 그 앞에는 병풍을 쳤고 나를 비롯한 상제들이 옆을 지키며 조문객을 맞이했다. 초종 이후에는 습, 소렴, 대렴 등을 행했다. 이후 장지와 장일을 정하고 광중을 팠으며 신주를 만들었다. 운구 시에는 평소 아버지께서 즐겨 찾으셨던 곳에 잠시 멈춰 노제를 지냈다. 아버지의 시신을 매장한 후 신주를 영여로 모셔왔다. 아버지의 혼이 방황하지 않도록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를 지내며 혼을 위안하였다. 초상 이후 1년이 시간 시점에 소상을 지냈다. 2주기에는 대상을 지냈으며 초상으로부터 27개월째 되는 달 정일에 사당에서 담제를 지냈다.
5. 문중과 시제, 절사
매년 음력 2월과 5월, 8월과 11월에는 길일을 택해 부모님부터 고조부모까지 제사를 지내는 시제를 지냈다. 시제는 문중의 대표적인 의례이었으며 부계의 남자 후손들만 참여할 수 있었다. 문중의 일원으로서 나는 족보를 편찬하는 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충절이나 효열을 나타낼 수 있는 선조들의 행적을 찾아 나섰고 이를 모아 편찬하는 작업에도 참여하였다. 족보의 목적은 나의 집안의 신분을 대외적으로 표방하는 것이었다. 가문의 위세를 과시하고자 입신출세한 내외손을 모두 수록하였다. 우리 집안은 고조가 같은 후손끼리 모여 당내를 결성했다. 당내의 주요한 의례로서 절사는 직계조상에 대해 사상이나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설, 한식, 단오, 추석마다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제사를 지냈다. 설에는 날씨가 워낙 추워 묘제를 지내기가 어려웠기에 집에서 차례를 지냈다. 제례는 장자봉사로 이루어졌다. 과거에는 아들뿐만 아니라 사위까지 제사를 지내는 윤회봉사가 일반적이었으나 우리 집안에서는 적장자가 제사를 주관하였다.
참고문헌
-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2023학년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2023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과제물)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전통사회와생활문화 2023년 기말] 1.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 자신이 조선시대에 살았던 한 집안의 가장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 나의 생각
방송대 23[방송통신대학교][전통사회와생활문화]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해주세요학년도2학기 기말시험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2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 2023] 1.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에 대해 서술, 2.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 자신이 조선시대에 살았던 한 집안의 가장이라고 가정하고,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 나의 생각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양반의 일생, 전통시대 의례생활
2023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시대 여러 의례생활, 양반의 일생)
2023년 2학기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시험 과제물(전통시대 여러 의례생활, 양반의 일생)
전통사회와생활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