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 및 예시
1. 역량중심 교육
2. 학습자중심 교육
3. 놀이중심 교육
4. 디지털 활용 교육
1) 원격교육
2) 메타버스
3)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4) 디지털 역량
Ⅱ.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및 예시
1. 영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2. 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참고문헌
1. 역량중심 교육
2. 학습자중심 교육
3. 놀이중심 교육
4. 디지털 활용 교육
1) 원격교육
2) 메타버스
3)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4) 디지털 역량
Ⅱ.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및 예시
1. 영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2. 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를 통해 유아가 패턴을 이해하고 다음 패턴을 예측할 수 있도록 놀이를 지원할 수 있으며, 2가지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패턴을 만들어보도록 할 수 있다. 유아가 만든 패턴에 대해 다른 친구들이 패턴을 추측해보는 놀이도 할 수 있으며, 패턴을 만들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유아가 어려움을 느낄 때에는 교사가 도움을 제공하여 좌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패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패턴이라는 수학적 개념을 유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다섯째, 미술놀이이다. 미술놀이는 주변 사물이나 자연, 환경 등의 일상에서 미술적 요소를 탐색 및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다양한 재료를 제공해주는 것이 좋다. 교사는 유아의 창의적 표현을 격려하고 유아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결과보단 과정에 초점을 맞춰서 지도해야 한다. 미술놀이 후에는 유아가 남은 재료들을 정리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완성된 자품에 대해서는 유아가 설명하는 의미를 기록해주어야 한다. 미술놀이는 개별 활동으로도 진행할 수 있고 소그룹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접시를 활용한 가면 만들기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동물 모양으로 자른 접시를 유아들에게 나누어주고, 색연필로 자유롭게 색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유아들이 색칠한 접시에 고무줄을 달아서 동물 가면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교사는 유아가 동물을 선택한 이유와 색칠한 이유 등에 대해 묻고 답하며 유아의 창의적 표현을 격려할 수 있다.
여섯째, 과학놀이이다. 과학놀이 시 교사는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유아가 생각할 충분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과학놀이와 관련한 도서를 함께 제공하여 유아가 궁금한 점을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실험활동을 하는 동아 유아들이 함께 토의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풍선을 이용한 정전기 놀이를 할 수 있다. 풍선을 머리에 비빈 후 풍선을 떼면 정전기로 인해 머리카락이 뜨는 모습을 실제 체험할 수 있으며, 이후 정전기를 이용하여 종이조작을 풍선에 붙여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놀이를 위한 도서로 『전기야 어디까지 왔니』 등의 책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일곱째, 음률놀이이다. 노래 부르기, 동작표현, 음악감상, 악기 탐색 및 연주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음률놀이를 구성할 수 있다. 교사는 유아가 음악활동을 즐기며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생활 속 다양한 소리를 활동과 연결시켜 경험토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지휘자 놀이를 할 수 있다. 유아들에게 다양한 소리가 나는 악기를 나눠주고 지휘자 역할을 하는 유아가 다른 유아를 지목하면 그 유아가 악기 소리를 내도록 함으로써 지휘에 맞춰 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모든 유아들이 지휘자 역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지휘를 할 때마다 배경음악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음악에 맞춰 악기를 연주해보는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영애, 유준호(2024). 영유아교수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김안나 외(2023). 미래사회에 필요한 유아의 핵심역량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30호, pp.24-47
- 채도연 외(2024).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과 놀이성, 교수몰입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44권제1호, pp.69-89
- 김정주(2024). 예비유아교사가 학교현장실습에서 경험한 유아·놀이중심교육과정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권제4호, pp.453-468
- 안영혜(2022).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 인문사회21 제13권제5호, pp.1329-1344
- 장수임 외(2023).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43권제2호, pp.129-146
- 이조은 외(2024). 메타버스를 활용한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 방향 모색. 교양학연구 제11권제1호, pp.29-51
- 오정숙 외(2024).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 원리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4권제2호, pp.1-19
- 장문수 외(2024).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재난안전 교육콘텐츠 활용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제5호, pp.307-318
다섯째, 미술놀이이다. 미술놀이는 주변 사물이나 자연, 환경 등의 일상에서 미술적 요소를 탐색 및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다양한 재료를 제공해주는 것이 좋다. 교사는 유아의 창의적 표현을 격려하고 유아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결과보단 과정에 초점을 맞춰서 지도해야 한다. 미술놀이 후에는 유아가 남은 재료들을 정리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완성된 자품에 대해서는 유아가 설명하는 의미를 기록해주어야 한다. 미술놀이는 개별 활동으로도 진행할 수 있고 소그룹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접시를 활용한 가면 만들기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동물 모양으로 자른 접시를 유아들에게 나누어주고, 색연필로 자유롭게 색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유아들이 색칠한 접시에 고무줄을 달아서 동물 가면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교사는 유아가 동물을 선택한 이유와 색칠한 이유 등에 대해 묻고 답하며 유아의 창의적 표현을 격려할 수 있다.
여섯째, 과학놀이이다. 과학놀이 시 교사는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유아가 생각할 충분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과학놀이와 관련한 도서를 함께 제공하여 유아가 궁금한 점을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실험활동을 하는 동아 유아들이 함께 토의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풍선을 이용한 정전기 놀이를 할 수 있다. 풍선을 머리에 비빈 후 풍선을 떼면 정전기로 인해 머리카락이 뜨는 모습을 실제 체험할 수 있으며, 이후 정전기를 이용하여 종이조작을 풍선에 붙여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놀이를 위한 도서로 『전기야 어디까지 왔니』 등의 책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일곱째, 음률놀이이다. 노래 부르기, 동작표현, 음악감상, 악기 탐색 및 연주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음률놀이를 구성할 수 있다. 교사는 유아가 음악활동을 즐기며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생활 속 다양한 소리를 활동과 연결시켜 경험토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지휘자 놀이를 할 수 있다. 유아들에게 다양한 소리가 나는 악기를 나눠주고 지휘자 역할을 하는 유아가 다른 유아를 지목하면 그 유아가 악기 소리를 내도록 함으로써 지휘에 맞춰 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모든 유아들이 지휘자 역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지휘를 할 때마다 배경음악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음악에 맞춰 악기를 연주해보는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영애, 유준호(2024). 영유아교수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김안나 외(2023). 미래사회에 필요한 유아의 핵심역량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30호, pp.24-47
- 채도연 외(2024).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과 놀이성, 교수몰입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44권제1호, pp.69-89
- 김정주(2024). 예비유아교사가 학교현장실습에서 경험한 유아·놀이중심교육과정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권제4호, pp.453-468
- 안영혜(2022).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 인문사회21 제13권제5호, pp.1329-1344
- 장수임 외(2023).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43권제2호, pp.129-146
- 이조은 외(2024). 메타버스를 활용한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 방향 모색. 교양학연구 제11권제1호, pp.29-51
- 오정숙 외(2024).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 원리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4권제2호, pp.1-19
- 장문수 외(2024).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재난안전 교육콘텐츠 활용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제5호, pp.307-318
추천자료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영유아교수방법론, 공통형) 다음 (1), (2)번 문제를 모두 작...
(영유아교수방법론 3학년)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영유아교수방법론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
영유아교수방법론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
[영유아교수방법론 2024학년도 2학기 중간]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영유아교수방법론 2024]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2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
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 영유아 실내 자...
[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영유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