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시오.
① 역량 중심 교육
② 학습자 중심 교육
③ 놀이 중심 교육
④ 디지털 활용 교육
(2) 영유아 실내 자유놀이 지원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하시오.
① 영아 실내 자유놀이(쌓기놀이)
② 유아 실내 자유놀이(수·조작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때 교사는 유아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고리의 길이를 비교해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리를 모두 연결하면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고리로 선생님 키를 재려면 몇 개가 필요할까? 등의 질문을 통해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놀이과정에서 유아 사이의 갈등이 생길 경우 이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하며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놀이를 진행하다보면 고리로 길이를 측정하거나 고리의 수를 세는 놀이에 관심을 갖는 유아도 있는 반면 수·조작놀이에는 관심이 없는 유아도 있을 수 있다. 이때 교사는 유아가 고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신구(머리띠, 귀걸이, 목걸이 등)도 만들 수 있음을 알려주고 유아들이 만든 장신구를 판매하는 역할놀이도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사는 모든 유아들이 자신의 관심에 따라 자유롭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고리를 이용한 수·조작놀이는 수 세기, 측정하기 외에도 다른 수학적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가 여러 가지 색깔로 이루어져 있다면 유아들은 고리를 연결하며 자신만의 패턴을 만들 수도 있다. AB패턴, ABC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색깔을 배치하여 패턴을 만들고 그 다음에 올 색깔이 무엇인지를 추론해보는 것도 수·조작놀이에 해당한다. 동일한 재료로 수·조작놀이를 하는 상황에서도 유아들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동일한 교구로도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음을 깨닫고 창의력을 발휘하여 자신만의 놀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이영애·유준호(2024). 영유아교수방법론. KNOUPRESS.
- 이진숙(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핵심역량의 반영 양상. 아동교육 제30권 제2호, pp. 207∼224
- 류혜숙·김정주(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인문사회21 제11권 제6호, pp. 1743∼1758
- 서혜지·이정화(2024).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 439∼457
- 강현경(2023).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의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제27권 제1호, pp. 61∼86
- 류승희·이정욱(2023).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유아교사의 시도와 변화: 「2019 개정 누리과정」 1,2차년도 실행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연구 제43권 제1호, pp. 315∼345
- 이정아·양연숙(2022).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따른 만3세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 251∼267
- 홍지명(2020). 놀이중심 개정 누리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갈등과 변화. 인문사회21 제11권 제6호, pp. 1667∼1682
- 김동례·박부숙·송명숙(2024).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 탐색. 사회과학리뷰 제9권 제1호, pp. 27∼46
- 김정은(2024).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진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 327∼339
- 조혜진·최지혜(2023).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22권 제4호, pp. 313∼334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5.02.01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3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