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매체의 효과
2. 대중매체의 효과 이론으로 본 SNS 메시지 효과
1) 탄환이론
2) 약효과 이론
3) 선별효과이론
4) 해석과 수용에 있어서의 개인차 및 집단차
5) 문화계발효과론
6) 의제설정효과
7) 점화효과
8) 틀짓기 효과
참고문헌
2. 대중매체의 효과 이론으로 본 SNS 메시지 효과
1) 탄환이론
2) 약효과 이론
3) 선별효과이론
4) 해석과 수용에 있어서의 개인차 및 집단차
5) 문화계발효과론
6) 의제설정효과
7) 점화효과
8) 틀짓기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대중매체의 효과가 이러한 수준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는 반면 점화효과는 그에 대한 사회적 판단을 내리는 데에도 대중매체가 영향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앞서 제시한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SNS에서 확산되는 메시지는 이용자들이 사회적 판단을 내리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점화효과의 설명과 부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 틀짓기 효과
틀짓기 효과는 대중매체에서 어떠한 사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서 수용자가 사건에 대해 갖는 이미지가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대표 신문사는 보수, 진보, 중도 중 하나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보수 입장을 대변하는 신문을 읽는 사람들은 모든 사건에 대해 보수적인 견해를 갖는 반면 진보 입장을 대변하는 신문을 읽는 사람들은 진보적인 견해를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SNS에서 확산되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SNS에서도 언론사와 마찬가지로 한 쪽 견해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사건을 해석하여 메시지를 공유하는 이용자들이 있다. SNS의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서 이용자들은 자신의 견해와 일치하는 메시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틀짓기 효과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즉 틀짓기 효과가 말하는 대중매체의 효과처럼 SNS에서 확산되는 메시지도 동일한 효과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정준영 외(2021). 인간과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언론진흥재단. [보도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주요 결과 발표
- 박경만. 퍼지고, 또 퍼지는 SNS 역사독립운동. 한겨레, 2014년 4월 16일자.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633221.html (검색일: 2024.9.22.)
- 김영현. 페이스북 알고리즘 바꿔도 정치적 양극화 해결 안돼. 연합뉴스, 2023년 7월 28일자.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8050000009 (검색일: 2024.9.22.)
- 최혜승. 빠니보틀, 욕설DM 논란에 난 공인 아냐...방송 미련 없어. 조선일보, 2024년 9월 21일자.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4/09/21/JLTBHVLCVREEFEC2EP3DAXXZOE/ (검색일: 2024.9.22.)
8) 틀짓기 효과
틀짓기 효과는 대중매체에서 어떠한 사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서 수용자가 사건에 대해 갖는 이미지가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대표 신문사는 보수, 진보, 중도 중 하나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보수 입장을 대변하는 신문을 읽는 사람들은 모든 사건에 대해 보수적인 견해를 갖는 반면 진보 입장을 대변하는 신문을 읽는 사람들은 진보적인 견해를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SNS에서 확산되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SNS에서도 언론사와 마찬가지로 한 쪽 견해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사건을 해석하여 메시지를 공유하는 이용자들이 있다. SNS의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서 이용자들은 자신의 견해와 일치하는 메시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틀짓기 효과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즉 틀짓기 효과가 말하는 대중매체의 효과처럼 SNS에서 확산되는 메시지도 동일한 효과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정준영 외(2021). 인간과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언론진흥재단. [보도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주요 결과 발표
- 박경만. 퍼지고, 또 퍼지는 SNS 역사독립운동. 한겨레, 2014년 4월 16일자.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633221.html (검색일: 2024.9.22.)
- 김영현. 페이스북 알고리즘 바꿔도 정치적 양극화 해결 안돼. 연합뉴스, 2023년 7월 28일자.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8050000009 (검색일: 2024.9.22.)
- 최혜승. 빠니보틀, 욕설DM 논란에 난 공인 아냐...방송 미련 없어. 조선일보, 2024년 9월 21일자.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4/09/21/JLTBHVLCVREEFEC2EP3DAXXZOE/ (검색일: 2024.9.22.)
추천자료
코로나19의 특성, 위드 코로나(with corona) 대책방안
인간과사회 - 최근 전세계적으로 많은 정보들이 SNS를 중심으로 생산되고 공유되고 있습니다....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커뮤니케이션, 문...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인간과사회, 공통형) 최근 전세계적으로 많은 정보들이 SNS...
[인간과사회] 2024년 중간과제물, 1)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
(인간과사회 1학년) 최근 전세계적으로 많은 정보들이 SNS를 중심으로 생산되고 공유되고 있...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대중매체의 효과, SNS를 중심으로 확산)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
[인간과사회] 2024년 중간과제물, 1.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을 읽은 후, 대중매체의 효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