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3
1. 문헌고찰 3
Ⅱ. 일반사정도구 5
1. 일반적 정보 5
2. 현재의 투약상태 12
3. 일반검사, 특수검사 13
Ⅲ. 간호과정 14
Ⅳ. 참고문헌, 수정한 내용 23
1. 문헌고찰 3
Ⅱ. 일반사정도구 5
1. 일반적 정보 5
2. 현재의 투약상태 12
3. 일반검사, 특수검사 13
Ⅲ. 간호과정 14
Ⅳ. 참고문헌, 수정한 내용 23
본문내용
사이 고위험군) 상태였다.
4/12
4/13
4/19
4/20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
75점
75점
75점
75점
주 2회 간격으로 재평가 계획을 세우고 주기적으로 사정했다.
0-24: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No risk)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Low risk)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2. 근무번마다 순회하며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했다. 의식 수준 drowsy하고 사람에 대한 지남력있고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없는 상태이다.
3 근무번마다 자주 순회하며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침상 바퀴가 잠그어져 있는지, 조명이 적절한지, 적절한 신발을 사용하는지, 주변이 잘 정돈되고 바닥에는 장애물이나 물기가 없는지 등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적 요인과 관련하여 사정했다.
4. 5.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중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약물이 있는지 사정했다.
현재 투여되는 약물이 5가지 종류 이상이며 혈압강하제(Labesin, Tenormin), 항전간제등 종류의 약물이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약물 투여 시 대상자 상태를 가까이서 살피고 투여 시 적어도 30분간 더욱 주의 깊게 관찰했다. 낙상 위험과 관련된 유의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6. 대상자에게 낙상고위험군 식별 손목밴드를 채우고 침상, 병실, 전자의무기록에 잘 눈에 띄는 낙상 고위험 표식을 사용하여 직원과 주변 사람들이 쉽게 낙상 위험이 높은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했다.
7. 대상자가 침상 안에 있을 때는 항상 침상 난간을 올려두었다. 급성기 침상 안정 중에는 대개 침상 내 머물렀으므로 항상 침상 난간을 올려두고 처치나 간호 수행을 위해 난간을 내려야 하는 경우 중재 수행 후 반드시 난간을 올리고 확인했다. 대상자가 재활 운동 및 거동을 시작하면서 침상에서 내려올 경우 반드시 간호사, 일차간호제공자의 도움을 받아 내려오도록 하고 대상자, 보호자에게도 이 점을 강조하여 설명했다.
8 병실과 병동 바닥에 장애물, 물기가 없는지 순회하며 자주 확인했다. 바닥에 왁스칠을 하지 않도록 했으며 바닥이 깨끗하고 주변이 정돈된 환경을 유지했다.
9 대상자는 drowsy 의식 상태를 유지했고 혼돈 증상은 나타나고 반응이 조금 느리고 drowsy한 의식 상태로 인해 낙상 예방, 돌봄과 관련된 도움이 필요하여 24시간 보호자 또는 일차간호제공자(간병인)이 상주하여 대상자를 관찰하고 도움을 제공했다.
10. 창문으로 자연광이 잘 들어오게 하고 병실 조명을 확인하여 낮동안 병실과 병동이 어둡지 않게 충분한 조명을 유지했다. 야간에는 침상 옆에 은은한 취침등을 켜 두었다.
11. 더 이상 침상 안정하지 않고 재활치료 시작하면서 대상자, 보호자(배우자)에게 설명하여 잘 맞고 미끄럼방지 처리가 된 양말, 신발을 신도록 했으며 잘 협조했다.
12. 항상 침상, 휠체어의 잠금장치를 잠궈두고, 순회하면서 잠금 상태를 항상 확인했다. 대상자가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도 침상과 휠체어가 적절한 위치에서 잘 잠긴 상태에서 시행하여 미끌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했다.
13. 첫 보행 시에는 대상자에게 낙상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처음 재활 훈련을 시작하는 일정기간동안 절대 혼자 일어서면 안된다고 설명하고 물리치료사와 일차간호제공자가 함께 보조하여 휠체어에 앉는 것부터 천천히 일어나 보조 난간을 붙잡고 걷는 것부터 시작했다.
14. 대상자에게 콜벨 위치를 알려주고 도움이 필요할 때 혼자 나오지 않고 반드시 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도록 설명했다. 교육시 콜벨 사용을 시범보이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해 보도록 하여 이해했는지 확실히 확인했다.
15. 16. 대상자, 보호자(배우자)에게 대상자가 운동기능저하, 편마비, 약물 치료로 인해 낙상 위험성이 높음을 설명하고 주의하도록 안내했다. 낙상 발생 시 타박상, 부상, 골절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치료 기간과 부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회복이 어렵거나 심할 경우 심부정맥 혈전증, 폐렴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안전에 유의하고 낙상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도했다. 낙상 예방 방법 유인물을 제공하고 미끄럽지 않고 잘 맞는 신발 착용, 침상에서 안전하게 내려오는 법, 적절한 조명, 주변 환경 정돈, 반드시 보조자 동반하는 것, 도움 필요시 스스로 하기보다 꼭 호출할 것 등 낙상 예방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교육을 시행했다.
평가
단기목표:
① 1주 동안(4/12~4/19) 낙상이 발생하지 않음 -달성
②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낙상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함: 대상자- 도움받아 침상 내려오기, 침상난간 올리기/ 보호자- 침상난간 올리기, 미끄럼방지 처리된 신발 신기 달성
③ 교육 후 대상자는 도움 필요 시 호출벨을 사용/ 보호자가 대상자를 보조하여 함께 보행함/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져 있음 -달성
장기목표:
①3개월 후(7/12) 대상자의 Morse 낙상 위험 도구 점수 50점 이하이다 -미달성
②입원기간동안(4/12-4/25)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음 -달성
참고문헌
-현문사 성인간호학 교재
-서울아산병원 뇌경색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이은희 외 공저.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NANDA 2021-2023 (제2판). 고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학 I (개정판).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학 II (개정판).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개정판). 수문사
-유양숙 외 공저.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 8판). 현문사.유양숙 외 공저. (2022). -성인간호학 하권 (제 8판). 현문사.약학정보원 - 의약품상세검색
-서울아산병원. (n.d.). 파킨슨병,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수정한 내용
-동공 크기, 대광반사, 근력
-일반적 외모
-가족력
-잘못된 인식, 알고자 하는 정보, 의료인과의 관계 및 기대
4/12
4/13
4/19
4/20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
75점
75점
75점
75점
주 2회 간격으로 재평가 계획을 세우고 주기적으로 사정했다.
0-24: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No risk)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Low risk)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2. 근무번마다 순회하며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했다. 의식 수준 drowsy하고 사람에 대한 지남력있고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없는 상태이다.
3 근무번마다 자주 순회하며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침상 바퀴가 잠그어져 있는지, 조명이 적절한지, 적절한 신발을 사용하는지, 주변이 잘 정돈되고 바닥에는 장애물이나 물기가 없는지 등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적 요인과 관련하여 사정했다.
4. 5.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약물 중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약물이 있는지 사정했다.
현재 투여되는 약물이 5가지 종류 이상이며 혈압강하제(Labesin, Tenormin), 항전간제등 종류의 약물이 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약물 투여 시 대상자 상태를 가까이서 살피고 투여 시 적어도 30분간 더욱 주의 깊게 관찰했다. 낙상 위험과 관련된 유의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6. 대상자에게 낙상고위험군 식별 손목밴드를 채우고 침상, 병실, 전자의무기록에 잘 눈에 띄는 낙상 고위험 표식을 사용하여 직원과 주변 사람들이 쉽게 낙상 위험이 높은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했다.
7. 대상자가 침상 안에 있을 때는 항상 침상 난간을 올려두었다. 급성기 침상 안정 중에는 대개 침상 내 머물렀으므로 항상 침상 난간을 올려두고 처치나 간호 수행을 위해 난간을 내려야 하는 경우 중재 수행 후 반드시 난간을 올리고 확인했다. 대상자가 재활 운동 및 거동을 시작하면서 침상에서 내려올 경우 반드시 간호사, 일차간호제공자의 도움을 받아 내려오도록 하고 대상자, 보호자에게도 이 점을 강조하여 설명했다.
8 병실과 병동 바닥에 장애물, 물기가 없는지 순회하며 자주 확인했다. 바닥에 왁스칠을 하지 않도록 했으며 바닥이 깨끗하고 주변이 정돈된 환경을 유지했다.
9 대상자는 drowsy 의식 상태를 유지했고 혼돈 증상은 나타나고 반응이 조금 느리고 drowsy한 의식 상태로 인해 낙상 예방, 돌봄과 관련된 도움이 필요하여 24시간 보호자 또는 일차간호제공자(간병인)이 상주하여 대상자를 관찰하고 도움을 제공했다.
10. 창문으로 자연광이 잘 들어오게 하고 병실 조명을 확인하여 낮동안 병실과 병동이 어둡지 않게 충분한 조명을 유지했다. 야간에는 침상 옆에 은은한 취침등을 켜 두었다.
11. 더 이상 침상 안정하지 않고 재활치료 시작하면서 대상자, 보호자(배우자)에게 설명하여 잘 맞고 미끄럼방지 처리가 된 양말, 신발을 신도록 했으며 잘 협조했다.
12. 항상 침상, 휠체어의 잠금장치를 잠궈두고, 순회하면서 잠금 상태를 항상 확인했다. 대상자가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도 침상과 휠체어가 적절한 위치에서 잘 잠긴 상태에서 시행하여 미끌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했다.
13. 첫 보행 시에는 대상자에게 낙상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처음 재활 훈련을 시작하는 일정기간동안 절대 혼자 일어서면 안된다고 설명하고 물리치료사와 일차간호제공자가 함께 보조하여 휠체어에 앉는 것부터 천천히 일어나 보조 난간을 붙잡고 걷는 것부터 시작했다.
14. 대상자에게 콜벨 위치를 알려주고 도움이 필요할 때 혼자 나오지 않고 반드시 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도록 설명했다. 교육시 콜벨 사용을 시범보이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해 보도록 하여 이해했는지 확실히 확인했다.
15. 16. 대상자, 보호자(배우자)에게 대상자가 운동기능저하, 편마비, 약물 치료로 인해 낙상 위험성이 높음을 설명하고 주의하도록 안내했다. 낙상 발생 시 타박상, 부상, 골절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치료 기간과 부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회복이 어렵거나 심할 경우 심부정맥 혈전증, 폐렴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안전에 유의하고 낙상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도했다. 낙상 예방 방법 유인물을 제공하고 미끄럽지 않고 잘 맞는 신발 착용, 침상에서 안전하게 내려오는 법, 적절한 조명, 주변 환경 정돈, 반드시 보조자 동반하는 것, 도움 필요시 스스로 하기보다 꼭 호출할 것 등 낙상 예방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교육을 시행했다.
평가
단기목표:
① 1주 동안(4/12~4/19) 낙상이 발생하지 않음 -달성
②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낙상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함: 대상자- 도움받아 침상 내려오기, 침상난간 올리기/ 보호자- 침상난간 올리기, 미끄럼방지 처리된 신발 신기 달성
③ 교육 후 대상자는 도움 필요 시 호출벨을 사용/ 보호자가 대상자를 보조하여 함께 보행함/ 침상 난간이 항상 올려져 있음 -달성
장기목표:
①3개월 후(7/12) 대상자의 Morse 낙상 위험 도구 점수 50점 이하이다 -미달성
②입원기간동안(4/12-4/25)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음 -달성
참고문헌
-현문사 성인간호학 교재
-서울아산병원 뇌경색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이은희 외 공저.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NANDA 2021-2023 (제2판). 고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학 I (개정판).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학 II (개정판).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개정판). 수문사
-유양숙 외 공저.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 8판). 현문사.유양숙 외 공저. (2022). -성인간호학 하권 (제 8판). 현문사.약학정보원 - 의약품상세검색
-서울아산병원. (n.d.). 파킨슨병,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수정한 내용
-동공 크기, 대광반사, 근력
-일반적 외모
-가족력
-잘못된 인식, 알고자 하는 정보, 의료인과의 관계 및 기대
추천자료
노인간호학 케이스
노인간호학케이스
(노인 간호학) 파킨슨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치매사례연구case
[노인간호학]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케이스 스터디
노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경화 (Liver Cirrhosis. LC) , 저알부민...
A+ 노인간호학실습 직장암 케이스 A+ rectal cancer case 간호진단3 간호과정2 욕창 와상
노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뇌경색, 치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A+ 칭찬받은 신부전 케이스/ 낙상위험성 케이스 , 심박출량 감소 케이스 / 간호과정 2개, 간...
노인간호학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