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_우리나라 음악 정가에 대해 쓰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교육_우리나라 음악 정가에 대해 쓰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정가의 개요
2. 정가의 특징
3. 가곡
4. 여담
5. 가사
6. 시조
7. 정가의 창법
① 선율
② 발성
③ 모음의 변화
④ 가곡의 풍도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겨 내리는 가창법으로 부른다. 이러한 창법에 요성과 전성, 추성, 퇴성은 숙련이 필요하다. 그래서 도도하게 살아 움직이는 선율 음악의 묘를 다하도록 한다.
② 발성
단정히 앉으며 척추에 힘을 주어 단전호흡의 예를 따라서 하복부까지 숨을 많이 마시지만, 들이 쉰 숨을 뽐아 내는 경우에 고루고 천천히 강약을 안배해 누에 실을 뽑는 것처럼 한다. 복부에 힘을 주지 않도록 하고, 들이 쉬며 나오는 복부는 척추로 천천히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힘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복부와 몸 전체에는 늠름하며 단정하게 앉아 노래하고, 기(氣)는 들어가면서 힘은 들어가지 않는 자세로 하기 때문에 숙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창가곡은 육성(肉聲)과 가성(假聲)이 사용된다. 두성(頭聲)과 흉성(胸聲)은 피한다. 발성에서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이다. 그것은 몸 전체가 기(氣)를 넘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으므로 늘 편안한 몸가짐과 마음가짐이 중요한 것이다. 결국, 기능적인 예술이 안라 집중과 기수련, 마음공부를 가능하도록 하며, 도리(道理)를 지향하는 음악이 되고자 한다. 만대엽은 임진왜란이후 사라지게 되어 아쉬운 점을 많이 남긴다.
높은 소리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속 소리, 속청 또는 세청이라 하는 가성(假聲)의 사용이다. 가성은 몸 전체 무게를 아래쪽으로 갈 수 있도록 한다. 또 골반과 괄약근을 오므려 긴장하며 조여서 곧고 힘 있는 성음(聲音)을 서서히 밀어내기도 하고, 톡 쏘아서 뽑아내 듯 해야 한다.
③ 모음의 변화
모음이 길어질 때 미묘하게 변화를 시켜 부른다. 단모음이 변화할 때 아:아으, 어:어으, 오:오우, 의:으이으로 하고, 애:아으이, 에:어으이, 외:오우이로 부른다.
복모음의 변화는 야:야으, 여:여으, 요:요우, 유:유으로 하며, 얘:야으이, 예:여으이, 왜:와으이, 워:우어이다. 이때 모음의 변화는 노래에 섬세한 예술적인 묘미와 유연성을 주고, 여운을 남겨 전체적인 조화에 보탬이 된다.
④ 가곡의 풍도
노래를 부르는 경우 중요한 점은 악상(樂想)과 풍도(風度)를 생각하고 여유롭게 실감나도록 불러야 한다. 여창 계면조 이수대엽의 경우 \'버들은\'을 부르면 푸른 버들 축축 늘어지고 꾀꼬리 노래하는 화창한 봄날, 님 기다리는 여심(女心)을 생각하고, 분위기 있도록 부르면 좋다. 결국, 정가의 품위를 지키며 곡 풍에 맞는 감정을 넣어 표현한다.
현재까지 불리는 가곡의 주요 곡 풍을 들어보면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의 내용을 절충해 소개가 가능하다. 언락의 경우는 청구영언의 용례에 나온다. 다른 두 책에 언락을 별도로 내세우지 않으며 계, 우, 언락 모두 요풍탕일 화란춘성의 풍도로 노래하도로 한다. 언락의 편안하며 화려한 연주는 \'요풍탕일 화란춘성\'이 제 격이라 여겨져 가곡원류의 표현이 적절하다. 또는 간결한 4 언 양구(兩句)로 해당 노래의 기상과 풍모를 잘 나타내었고, 맛과 멋을 겸한 문학적인 표현으로 나타내었다
8. 참고문헌
1) (사)한국정가진흥회
2) 국악용어사전, 2010. 7. 국립국악원 정가
3) 국립국악원 풀어쓴 정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2.08
  • 저작시기202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