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니체의 주장
2) 자연의 인간화
3) 인간의 자연화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니체의 주장
2) 자연의 인간화
3) 인간의 자연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의 주장을 니체의 입장에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고대그리스의 엘레아학파에서부터 시작이 된 현실세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즉, 경험세계를 가상의 세계로 간주하려고 하는 태도이며, 자연의 의미를 왜곡시키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사물 자체가 우리이게 그대로 나타난다고 보는 실재론자의 확신은 본인의 관점을 세계에 투영시킨 결과이다.
셋째, 자연에 대한 왜곡이 된 이해를 제공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배경은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믿음, 각각에 대한 오해와 종교적 인간이 설정해 놓은 목적론적 세계관과 자유의지개념, 도덕개념이다 홍일희. 인간과 자연의 관계정립의 문제 , 철학논총. 37권. 새한철학회.2004. 242쪽
. 이를 통해 자연의 탈자연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넷째, 자연의 인간화가 야기하는 형태는 인간이 자연에 대해서 자연법칙을 설정한다는 사실이며, 퇴화된 심리학에 근거한 인간이해가 자연현상에서 인과해석을 적용시켜 결국 자연을인간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의 인간화에 의해서 야기된 탈자연화를 극복하기 위해 자연으로의 회귀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루소적인 의미에서 단순하게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상승을 하는 것이고, 고양을 의미한다. 이는 이제 인간의 자연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인간의 자연화는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 스토아적인 자연과의 합일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편에서는 변화하면서 힘에의 의지를 드러내는 자연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본질을 회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회복은 휴머니즘으로의 회복이 아닌, 극복을 의미하고 있다.
니체는 인간의 육체성에 대한 성찰에서 인간의 자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의 생각에 인간의 육체성에 깃든 자연에 대한 상기이고, 동화, 거리두기를 수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자연화가 인간의 종속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Friedrich Nietzsche, Uber Wahrheit und Luge im aussermoralischen Sinne, inKritische Studienausgabe, Bd. 1(Berlin/New York, 1988), 875쪽.
2. 김주휘. 니체의 ‘자연’ 사유에 대한 소고 , 니체연구. 19집. 한국니체학회. 2011
3. 홍일희. 인간과 자연의 관계정립의 문제 , 철학논총. 37권. 새한철학회.2004.
첫째, 고대그리스의 엘레아학파에서부터 시작이 된 현실세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즉, 경험세계를 가상의 세계로 간주하려고 하는 태도이며, 자연의 의미를 왜곡시키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사물 자체가 우리이게 그대로 나타난다고 보는 실재론자의 확신은 본인의 관점을 세계에 투영시킨 결과이다.
셋째, 자연에 대한 왜곡이 된 이해를 제공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배경은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믿음, 각각에 대한 오해와 종교적 인간이 설정해 놓은 목적론적 세계관과 자유의지개념, 도덕개념이다 홍일희. 인간과 자연의 관계정립의 문제 , 철학논총. 37권. 새한철학회.2004. 242쪽
. 이를 통해 자연의 탈자연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넷째, 자연의 인간화가 야기하는 형태는 인간이 자연에 대해서 자연법칙을 설정한다는 사실이며, 퇴화된 심리학에 근거한 인간이해가 자연현상에서 인과해석을 적용시켜 결국 자연을인간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의 인간화에 의해서 야기된 탈자연화를 극복하기 위해 자연으로의 회귀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루소적인 의미에서 단순하게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상승을 하는 것이고, 고양을 의미한다. 이는 이제 인간의 자연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인간의 자연화는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 스토아적인 자연과의 합일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편에서는 변화하면서 힘에의 의지를 드러내는 자연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본질을 회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회복은 휴머니즘으로의 회복이 아닌, 극복을 의미하고 있다.
니체는 인간의 육체성에 대한 성찰에서 인간의 자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의 생각에 인간의 육체성에 깃든 자연에 대한 상기이고, 동화, 거리두기를 수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자연화가 인간의 종속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Friedrich Nietzsche, Uber Wahrheit und Luge im aussermoralischen Sinne, inKritische Studienausgabe, Bd. 1(Berlin/New York, 1988), 875쪽.
2. 김주휘. 니체의 ‘자연’ 사유에 대한 소고 , 니체연구. 19집. 한국니체학회. 2011
3. 홍일희. 인간과 자연의 관계정립의 문제 , 철학논총. 37권. 새한철학회.2004.
추천자료
논술의 기초전략
심리학의 기독교적 이해
[교육학과]평생교육방법론 자기주도학습 - 독서하는 방법- 학습지도안
[토의][토론][토의의 종류][토의의 특징][토의의 목적][토의의 집단조직][토의의 훈련][토의...
본 교재 5장 “서구와 비서구 세계” 부분의 참고문헌들 중 한 권을 참고하여, 발전과 저발전, ...
2021 세상읽기와논술-교재와 강의 1, 2, 3장을 공부하고, 그 중 두 강의를 골라 핵심적인 내...
철학의이해
세상 읽기와논술 =) 교재와 강의 1, 2, 3장을 공부하고, 그 중 두 강의를 골라 핵심적인 내용...
독후감_쌍전_저자 류짜이푸
논술과 비판적 사고와 분석적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