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과제명]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
1) 습관과 건강
2) 내 생활습관 점검
3)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1) 부분기도폐쇄의 경우
2) 완전기도폐쇄의 경우
3) 심폐소생술
Ⅳ. 참고문헌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
1) 습관과 건강
2) 내 생활습관 점검
3)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1) 부분기도폐쇄의 경우
2) 완전기도폐쇄의 경우
3) 심폐소생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박씨의 배꼽과 명치 사이 중앙에 한 손을 얹고 손가락을 위로 젖혀 손꿈치가 중앙에 오도록 한다. 다른 한 손을 손 위에 포개어 배를 위쪽으로 강하게 쳐올리기를 4~5회 실시한 후 입안에서 이물질을 꺼낸다. 이때 손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3) 심폐소생술
부분기도폐쇄나 완전기도폐쇄 때문에 박씨의 의식이 없을 때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은 가슴 중앙의 가슴뼈 주변을 반복해서 압박함으로써 혈액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심정지가 왔거나 호흡이 없을 때 시행되는 응급처치방법이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전에 호흡과 맥박을 먼저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가슴압박을 시작해야 한다. 먼저 쓰러진 박씨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눕히거나 등 쪽에 단단한 판을 깔아 압박에도 밀리지 않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후 응급처치자는 박씨의 가슴 옆에 다리를 벌려 무릎을 꿇는 자세를 만들고 한쪽 손바닥을 흉골 아래 절반, 가슴뼈 부근에 대고 다른 손을 위로 깍지를 끼듯 겹친 후 압박한다. 이때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손목을 뒤로 꺾어 손꿈치로 압박하는 것이 좋다. 팔꿈치는 쭉 펴서 바닥과 팔이 수직이 되게 하고 응급처치자의 체중을 실어 강하고 규칙적이며 빠르게 압박해야 한다. 속도는 분당 100~120회로 시행하고 흉부압박을 중단하는 시간은 10초를 넘치 않도록 해야 하며 약 5cm 깊이로 압박하되 가슴 압박 후 충분히 이완시켜 정맥 환류를 시켜주어야 혈류가 심장으로 충분치 채워질 수 있다. 만약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함께 시도한다면 가슴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를 한 세트로 하여 연속하는 것이 좋다.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전에는 머리를 기울이거나 턱을 들어 올려 기도를 유지하고 박씨의 코를 막은 상태에서 입을 밀착 후 숨을 강하게 불어넣어야 한다. 이때, 숨을 불어넣는 동안 박씨의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확인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정성희, 박영숙 공저(2020). 생활과 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2. 유튜브 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https://www.youtube.com/watch?v=q7J2T6MFA9g&t=7s
3. [문화뉴스]응급처치, 이것만 알고가자... 심폐소생술, 하임리히법
- 박한나 기자, 2020.12.30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627
3) 심폐소생술
부분기도폐쇄나 완전기도폐쇄 때문에 박씨의 의식이 없을 때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은 가슴 중앙의 가슴뼈 주변을 반복해서 압박함으로써 혈액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심정지가 왔거나 호흡이 없을 때 시행되는 응급처치방법이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전에 호흡과 맥박을 먼저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가슴압박을 시작해야 한다. 먼저 쓰러진 박씨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눕히거나 등 쪽에 단단한 판을 깔아 압박에도 밀리지 않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후 응급처치자는 박씨의 가슴 옆에 다리를 벌려 무릎을 꿇는 자세를 만들고 한쪽 손바닥을 흉골 아래 절반, 가슴뼈 부근에 대고 다른 손을 위로 깍지를 끼듯 겹친 후 압박한다. 이때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손목을 뒤로 꺾어 손꿈치로 압박하는 것이 좋다. 팔꿈치는 쭉 펴서 바닥과 팔이 수직이 되게 하고 응급처치자의 체중을 실어 강하고 규칙적이며 빠르게 압박해야 한다. 속도는 분당 100~120회로 시행하고 흉부압박을 중단하는 시간은 10초를 넘치 않도록 해야 하며 약 5cm 깊이로 압박하되 가슴 압박 후 충분히 이완시켜 정맥 환류를 시켜주어야 혈류가 심장으로 충분치 채워질 수 있다. 만약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함께 시도한다면 가슴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를 한 세트로 하여 연속하는 것이 좋다.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전에는 머리를 기울이거나 턱을 들어 올려 기도를 유지하고 박씨의 코를 막은 상태에서 입을 밀착 후 숨을 강하게 불어넣어야 한다. 이때, 숨을 불어넣는 동안 박씨의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확인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정성희, 박영숙 공저(2020). 생활과 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2. 유튜브 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https://www.youtube.com/watch?v=q7J2T6MFA9g&t=7s
3. [문화뉴스]응급처치, 이것만 알고가자... 심폐소생술, 하임리히법
- 박한나 기자, 2020.12.30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627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공통 2023년)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생활과건강 대사증후군 예방 ...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생활과 건강, 공통)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
[2023 생활과건강]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
생활과건강 2023)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2.75...
2023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과제물 1)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생활과건강(공통)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
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건강 ) 일상생활 속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