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지도방법론_생태학적 체계모형의 관점에서 청소년 1명을 면담하여 그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미시체계의 구체적인 요인들의 특성을 기술한 후 이 요인들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지도방법론_생태학적 체계모형의 관점에서 청소년 1명을 면담하여 그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미시체계의 구체적인 요인들의 특성을 기술한 후 이 요인들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면담 청소년의 특성과 면담 절차
2. 생태학적 체계모형의 개요
3. 면담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미시체계 요인들의 특성
4. 미시체계 요인들 각각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는 미시체계를 가정, 또래, 꿈 드림센터, 종교시설로 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요인 특성을 기술하고, 이 요인이 선영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선영이 경험하는 미시체계인 가정은 아버지와 오빠가 발달장애를 지니고 있고, 어머니가 생계를 꾸려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편이지만, 아버지와 오빠의 선영에 대한 무조건적 정서적 지지는 선영에게 여러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는 내면의 단단함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이러한 가정 상황이 학교생활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래 관계를 잘 맺지 못하였으나, 꿈 드림센터에서 비슷한 상황의 언니 오빠들이 자신을 수용해주고 지지해주면서 언니 오빠들이 자신의 꿈을 찾는 모습에서 자신의 마음도 치유되고 자신의 진로도 결정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꿈 드림센터에서의 상담과 검정고시 등의 지원으로 구체적 진학 준비와 사회적응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다닌 교회의 교인들의 친척과 같은 든든함으로 잠시 경제적 도움이 부끄러워 방황했지만, 지금은 교회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어 선영의 건강한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청소년이 경험하는 미시체계는 가장 가깝고 가장 많은 시간과 맞닿아 있기에 자신의 성장 과정에 따라 상호작용하면서 가장 많은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 환경과 상호작용이 부정적일 수 있는 선영의 가정환경은 아버지와 오빠의 긍정적인 지지로 선영의 밝음과 단단함으로 전환되었고, 학교에서의 부적응으로 중단된 학업과 또래 관계가 꿈 드림센터에서 새로운 또래 관계와 학업을 잇는 것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선영이 경험하는 미시체계를 면담하는 과정에서 한 사람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우리 사회 모두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을 적극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청소년인 선영과 같은 아이들에게 우리는 생태학적 체계모형에서 미시체계나 중간체계, 외 체계나 거시체계, 시간체계 안에 존재할 수 있다. 우리는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간다면 보다 건강한 청소년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기의 발달은 생태학적 모형의 각 체계 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과 가장 밀접한 미시체계의 요인의 특성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은 청소년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V. 참고문헌
김영인(2022). 「청소년지도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청소년지도방법론 2강 청소년지도의 이론적 토대 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 및 강의자료.
이명순(2007). 청소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Bronfenbrenner(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MA:Harvard University Press.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2.15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5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