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 이론적 배경과 개념
2) 여덟 종류의 지능 소개
3) 특징
4) 비판점
2.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시사점
1) 교육적 적용
2) 교육적 시사점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1) 전인습수준
2) 인습수준
3) 후인습수준
4) 비판점
5)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 이론적 배경과 개념
2) 여덟 종류의 지능 소개
3) 특징
4) 비판점
2.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시사점
1) 교육적 적용
2) 교육적 시사점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1) 전인습수준
2) 인습수준
3) 후인습수준
4) 비판점
5)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육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회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콜버그의 딜레마 토의식 수업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자신의 도덕적 견해를 재정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 과정에서 학생의 도덕성이 발달할 수 있고 자신의 도덕적 견해를 타인에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된다고 주장하였다.
콜버그의 이론을 통해 도덕성 발달교육, 특히나 딜레마 토의수업을 하게 되면 학생들은 가상의 딜레마 상황에 빠지게 되고 판단을 요구받게 된다. 이를 통해 판단력이 증진되고 능동성이 올라가게 되며 자신의 도덕적·윤리적 가치에 대한 재정립을 할 수 있게 된다. 사회에 나가서 경험하게 될 여러 가지 도덕적·윤리적 상황에 대해 미리 훈련하는 것이며, 당당한 사회인이 될 준비를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비판점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과거에 비해 최근 부모들과 청소년들은 개인의 개성과 잠재력을 개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공부를 특출나게 잘하지 않으면 특생이라도 갖춰야한다는 것이 요즘 분위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공부를 애매한 수준으로 하게 된다면 애매한 수준의 대학교에 들어가게 되고 졸업해봤자 취업도 잘 안되기 때문에 일부 부모와 청소년들의 내린 판단일 것이라 생각한다. 내 주변만 봐도 여러 가지를 평범하게 하는 것보다 1~2가지를 특출난 수준으로 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람(성인)들이 많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앞서 말했듯, 최근 아이들은 과거와 달리 형제가 없이 자란 경우가 많고 개인주의가 강하다. 그로 인해 과거에 비해 주변을 고려하여 생각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최근에 발생한 학생 딥페이크 사건이나 n번방 사건에 가담한 수많은 청소년들만 봐도 학생들에게 윤리·도덕교육이 얼마나 필요한지 잘 알려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현실감을 높여주기 위해 윤리·도덕교육은 이론적 교육은 기본으로 하되 실제상황에 가까운 윤리·도덕적 딜레마 훈련을 학교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과 토의식 수업이 효과적이라 보고 있다.
청소년은 나라의 미래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청소년이 가면 갈수록 줄어드는 현실 속에서 그들의 재능을 만개시키고 그들이 충분한 윤리·도덕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학교, 더 나아가 사회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논문
이지혜, 201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수업과 언어지능 중심 수업의 어휘력 향상도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보라, 2012, 『콜버그(L. Kohlberg)의 인지적 도덕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 2005,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교육적 적용』,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사이트
뉴시스(https://www.newsis.com).
콜버그의 이론을 통해 도덕성 발달교육, 특히나 딜레마 토의수업을 하게 되면 학생들은 가상의 딜레마 상황에 빠지게 되고 판단을 요구받게 된다. 이를 통해 판단력이 증진되고 능동성이 올라가게 되며 자신의 도덕적·윤리적 가치에 대한 재정립을 할 수 있게 된다. 사회에 나가서 경험하게 될 여러 가지 도덕적·윤리적 상황에 대해 미리 훈련하는 것이며, 당당한 사회인이 될 준비를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비판점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과거에 비해 최근 부모들과 청소년들은 개인의 개성과 잠재력을 개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공부를 특출나게 잘하지 않으면 특생이라도 갖춰야한다는 것이 요즘 분위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공부를 애매한 수준으로 하게 된다면 애매한 수준의 대학교에 들어가게 되고 졸업해봤자 취업도 잘 안되기 때문에 일부 부모와 청소년들의 내린 판단일 것이라 생각한다. 내 주변만 봐도 여러 가지를 평범하게 하는 것보다 1~2가지를 특출난 수준으로 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람(성인)들이 많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앞서 말했듯, 최근 아이들은 과거와 달리 형제가 없이 자란 경우가 많고 개인주의가 강하다. 그로 인해 과거에 비해 주변을 고려하여 생각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최근에 발생한 학생 딥페이크 사건이나 n번방 사건에 가담한 수많은 청소년들만 봐도 학생들에게 윤리·도덕교육이 얼마나 필요한지 잘 알려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현실감을 높여주기 위해 윤리·도덕교육은 이론적 교육은 기본으로 하되 실제상황에 가까운 윤리·도덕적 딜레마 훈련을 학교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과 토의식 수업이 효과적이라 보고 있다.
청소년은 나라의 미래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청소년이 가면 갈수록 줄어드는 현실 속에서 그들의 재능을 만개시키고 그들이 충분한 윤리·도덕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학교, 더 나아가 사회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1. 논문
이지혜, 201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수업과 언어지능 중심 수업의 어휘력 향상도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보라, 2012, 『콜버그(L. Kohlberg)의 인지적 도덕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 2005,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교육적 적용』,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사이트
뉴시스(https://www.newsis.com).
추천자료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교육심리학 중간과제물)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 -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육심리학, 공통형)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
교육심리학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
[교육심리학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
[교육심리학 2024년]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2024년]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2024]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2024년 2학기[교육심리학 2024년]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
[교육심리학 2024년]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