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직무중심 접근방식의 정의
(2)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
(3)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및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직무중심 접근방식의 정의
(2)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
(3)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및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적으로는 “희생”에 동참할 정도의 “사랑”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희생”이라는 것을 진정으로 행복해하는 사람들은 인류 중에 많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래서 기독교의 주장대로 예수처럼 희생에 동참을 실제 속마음으로 자청할 정도의 사랑을 가진 사람은 없을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그 대신 행복이라는 것을 예수보다 낮은 단계에 머무는 대신 선택할 수밖에 없는 선택지가 아닐까?라는 어렵고 논란이 많을 수 있지만 조심스럽게 주장해본다. 이 외에 동양의 철학으로는 대표적으로 불교, 이단이라는 오해를 받기는 하지만 최근 어느정도 실험을 거친 끝에 기독교를 부인하는 것만 의문점으로 남겨진 리얼리티 트랜서핑에 대해서도 언급해보고자 한다. 불교의 경우 “사랑”보다는 “무소유”를 주장한다. 소유를 버리고 행복해지는 것을 주장하는 불교의 경우 예수의 경우도 소유가 없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연관지을 때 예수는 소유가 없다는 점에서 겉으로는 자신 외에는 다 진리가 아니다를 선포하면서도 부처의 상황을 존중해주었다는 생각도 어렴풋이 하게 된다. 대신 둘이 주장하고 강조하고 싶은 부분의 초점이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부처는 소유를 버리고 행복, 예수는 사랑이 깊어져서 희생까지 자청할 수준이라는 것에서 비교가 되는데 개인적으로는 행복이란 인간들이 예수만큼 높아질 수 없어서 머물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따질 때에도 기독교에 대해서 더 지지를 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을 하고 싶다. 사람들이 싫어하는건 그런 예수를 따라하기는커녕 종교라는 이름으로 이용하거나 남의 행복을 해치거나 하는 등의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한다. 리얼리티 트랜서핑에서는 기독교가 아닌 불교에서 주장했던 균형의 문제에 대해서 가장 심각하게 다룬다. 에너지의 균형, 우주, 자연의 균형이 인간의 삶에서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는 데 유리하다는 주장인데 이러한 부분은 본질적인 부분보다는 종교에서 잡아내지 못하는 부분을 매뉴얼화 하고 가이드라인을 잡아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러한 실험을 통해 삶에서 소소한 부분을 이익화하는 데에는 좋은 개념서 정도라는 생각이 든다.
4. 참고문헌
트루포뮬러,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 네이버 블로그,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 (tistory.com) 2023.05.17.
이종환, 『플라톤 국가 강의 (정의롭고 좋은 삶에 관한 이야기)』, 김영사, 2019, 2면
4. 참고문헌
트루포뮬러,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 네이버 블로그,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 (tistory.com) 2023.05.17.
이종환, 『플라톤 국가 강의 (정의롭고 좋은 삶에 관한 이야기)』, 김영사, 2019, 2면
추천자료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연구
제2장 청년발달의 이론
집단상담 [논문]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 사회문화적 접근과 의의,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 성격과 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론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하시오.
산업심리학-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하시오
[청소년인성교육 3학년] 청소년 인성교육 교과서를 바탕으로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정의 및...
A+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하시오
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