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품사의 분류기준
(2)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분류의 차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품사의 분류기준
(2)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분류의 차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훨씬 많지만 영어의 전치사는 명사가 대명사 앞에 사용되어 제한적으로 쓰인다. 넷째, 한국어의 형용사는‘-어떠하다’로 표현할 수 있지만 영어는‘-한’으로 표현되며,형용사로 서술을 마무리 지을 수 없다. 다섯째, 한국어에는 관형사가 있으며, 이러한 관형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언으로‘새,헌,첫,옛’이 있다. 여섯째, 한국어의 관형사는 영어의 형용사와 비슷하여 체언을 꾸미며, 일곱째, 한국어에서 접속사는 별도로 분류되지 않고 조사와 부사에 포함되지만, 영어의 품사 중에서 접속사는 별도로 분류된다.
3. 결론
앞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어 품사의 분류는 기능론적, 형태론적, 의미론적 특징에 의거하여 분류되며, 이에 한국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어 품사의 분류기준에 대해서 숙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의 품사 분류는 영어의 품사 분류와 그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품사를 나눈 분류의 개수부터 수사,조사,관형사,형용사,접속사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교수하는 교원으로서 한국어 품사의 분류 기준을 비롯하여 외국어이면서 전세계 공통 언어인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 차이점을 고려하여 의사소통을 하는데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만약 이를 알지 못하고 교수-학습을 지도한다면 학습자의 오류와 실수를 이해하지 못하며, 한국어를 교수자의 방식으로만 가르쳐서 한국어 교수-학습활동에 혼란을 빚을 수도 있어 이를 주의해야 한다.
4. 참고문헌
·허용 저, 「언어학개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서울, 2016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언어학개론 강의안
3. 결론
앞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어 품사의 분류는 기능론적, 형태론적, 의미론적 특징에 의거하여 분류되며, 이에 한국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어 품사의 분류기준에 대해서 숙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의 품사 분류는 영어의 품사 분류와 그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품사를 나눈 분류의 개수부터 수사,조사,관형사,형용사,접속사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교수하는 교원으로서 한국어 품사의 분류 기준을 비롯하여 외국어이면서 전세계 공통 언어인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 차이점을 고려하여 의사소통을 하는데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만약 이를 알지 못하고 교수-학습을 지도한다면 학습자의 오류와 실수를 이해하지 못하며, 한국어를 교수자의 방식으로만 가르쳐서 한국어 교수-학습활동에 혼란을 빚을 수도 있어 이를 주의해야 한다.
4. 참고문헌
·허용 저, 「언어학개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서울, 2016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언어학개론 강의안
추천자료
현대 프랑스어의 특징 및 올바른 용법과 규범 - 프랑스어 자음의 일반적 특성, 생활 속의 프...
구절구조 규칙에 의한 문장의 구조형성유형과 접속문·내포문의 경계에 대한 고찰
[사전][국어사전][전자백과사전][동사활용사전][전문용어]사전의 역사(중국의 사전, 서양의 ...
[동사][품사][국어][프랑스어][불어][영어]국어 품사 동사의 유형, 국어 품사 동사의 기준, ...
문법 교육
[언어학개론] Q.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품사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언어학개론-임혜은
품사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