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목차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문헌고찰 ••••••••••••••••••••••••••••••••••• 4
1) 조기진통의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증상
4) 진단
5) 산부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6) 치료
7) 간호중재
Ⅱ. 본론 •••••••••••••••••••••••••••••••••••• 9
1.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검진
(3) 임상 검사
(4) 활력징후
(5) 현 건강상태
(6) 자궁수축 검사
(7) 사용 약물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4. 대상자 교육 계획서
Ⅲ. 결론•••••••••••••••••••••••••••••••••••• 37
Ⅳ. 참고문헌•••••••••••••••••••••••••••••••••• 39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문헌고찰 ••••••••••••••••••••••••••••••••••• 4
1) 조기진통의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증상
4) 진단
5) 산부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6) 치료
7) 간호중재
Ⅱ. 본론 •••••••••••••••••••••••••••••••••••• 9
1.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검진
(3) 임상 검사
(4) 활력징후
(5) 현 건강상태
(6) 자궁수축 검사
(7) 사용 약물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4. 대상자 교육 계획서
Ⅲ. 결론•••••••••••••••••••••••••••••••••••• 37
Ⅳ. 참고문헌•••••••••••••••••••••••••••••••••• 39
본문내용
검사로 여성 Ⅱ 32p를 참고하니 이미 배웠지만 막상 차트를 보니 기억나지 않은 것도 있었다.
TAS로 태아 움직임, 양수의 양, 태아머리직경, 태아복부둘레, 대퇴골, 태아예상체중, 자세 등 여러 TAS 결과를 볼 수 있었다. TAS를 확인하는 동안에는 교수님께서 얘기해 주신 태아가 빨리 자라는 34~36주가 되지 않아 29주에 1248g 정도 나가 생각했던 것보다 29주나 배에 있었는데 태아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는 3월 25일에 31주 3일차 자궁 내 임신으로 입원하였고 외래에서 피검사, 심전도를 체크하고 22G IV line start으로 H/S 1L를 주입하고 라보파를 처음 1@ 5% D/W 500mL와 mix 하여 4gtt로 주입하였다. 대상자에게 라보파주의 부작용도 설명하였고 자각증상 있을 시 간호사실로 알리도록 교육하는 등 차트에 그 상황 상황을 자세하게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라보파주의 성분명인 리토드린은 투약시 빈맥, 저혈압, 불안 등 부작용이 있어 HR을 체크한 것도 볼 수 있었다. 화장실 이외에 bed rest keep on이 처방된 것으로 처음에는 산모라 낙상 때문인 줄만 알았는데 침상안정을 통해 자궁수축을 활성화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조기진통으로 인한 출산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조기진통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트를 보면서 다른 정보가 없는데 파제론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한 기록과 항생제가 주기적으로 투여되고 있어 이유가 궁금했는데, 실습을 하는 중 차트를 볼 수 있어 간호사 선생님께 물어볼 수 있었다. 조기진통이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이미 산모가 감염이 되었다고 생각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한다고 한다. 조기진통 자체의 원인을 정확하게 몰라 감염 방지를 위해서라고 한다.
그다음으로 주치의 덱사메타손 1a IM vid 2일 처방하여 주사함을 볼 수 있는데, 3학년 2학기에 배운 글루코르티코이드제로 조산아의 폐 성숙을 도와 호흡곤란 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약물이 나와 반갑기도 했다.
NST checked를 보면 (Ut cont: 35 torr 1#, 20 torr 1#, 10 torr 1# / FHR: 120-180화/min) 처음 검사 결과를 보고 1#이 어느 정도 기간에 수축이 어느 정도 강도인지 또 수축기 압인지 이완기 압인지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 배운 것으로만 판단하기 어려워 당황스러웠다. 실습의 중요성은 직접 보고 많은 것을 물어볼 수 있는 것이라 느꼈다. 수간호사 선생님께 설명을 들을 기회가 있었고. 현재 대상자는 라보파를 투여 중인데 이 정도면 수축이 강한 편이고 또 간격이 안 나와있지만 심평원에 넘기는 시간이 보통 한 시간이라 한 시간에 측정되는 수축이라 설명해 주셨다. 조기진통일 경우 수축, 이완 때로 안 보고 진진통, 가진통을 볼 때 수축기, 이완기를 본다고 하셨다. 또한 조기 진통은 10 torr든 압력이 낮게 나오더라도 수축 자체가 있는 것을 주로 문제로 본다고 설명해 주셨다.
4/1 차트를 보면 라보파주로 자궁수축이 호전되지 않아 tractocile로 교체 투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런 것 하나하나 다 이유가 있었다. 트렉토실은 조산방지제로 최소 30초간 유지되는 주기적인 자궁수축이 30분당 4회 이상의 빈도를 발생하는 경우 사용하는데, 현실적으로 봤을 때 보통 효과가 트렉토실이 더 좋은 경우가 많지만 보험이 되지 않아 한 번 투여하는데 가격이 30만 원이 넘어 라보파주가 제대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 의사선생님이 권하고 처방을 내리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
4/6일 경에는 질초음파를 통해 자궁경부 길이를 봤을 때 자궁경부 길이가 4.3cm로 짧지 않았고 수축이 많이 줄어 대상자는 퇴원 조치를 하였다.
실습을 하는 동안 지도 교수님께 많은 감사를 드린다. 3학년이 아닌 4학년이 올라가는 입장에서 실습도 절반 넘게 진행되었고 처음에는 시키는 대로 주어진 과제와 실습지에 익숙해지기 바빴지만 익숙해지고 지나고 보니 실습 전에 얘기해 주신 것들도 하나하나 다 중요한 내용이었고 의학용어, 약물 시험 등 실습지에서 많이 쓰고 꼭 필요한 것들로 실습을 잘할 수 있게끔 이끌어 주신 것에 대해 많은 감사함을 느꼈다. 특히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에 대해 질문하실 때 교수님께서 말씀해 주신 옥시토신, 에르빈, 푸로스타몬, 나라돌, 라보파주 같은 경우 잘 알고 있어 간호사 선생님의 질문에 답할 수 있었고 자신감도 생겼었다.
Ⅳ. 참고문헌
[1] 정은자. 2023. 『여성건강간호학 실습2 지침서』. 현문사
[2]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 5 판. 현문사
[3]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 5 판. 현문사
[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5]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 기본간호학 Ⅱ』, 경기:수문사
[6] 송경애 외 공저. 2022.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Ⅰ』. 경기:수문사
[7] 성미혜 외 공저. 2022.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수문사
[8] 김성태. 2023.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9] 하이닥. (2023.04.06.). 조산율 10년 새 1.5배 늘어…주수에 맞게 건강하게 출산하려면?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81585
[그림1] 삼성서울병원. Preterm labor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CMS&CONT_SRC_ID=09a4727a8000f330&CONT_CLS_CD=001020001007&CONT_ID=3285
[그림2] 서울아산병원. Preterm labour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TAS로 태아 움직임, 양수의 양, 태아머리직경, 태아복부둘레, 대퇴골, 태아예상체중, 자세 등 여러 TAS 결과를 볼 수 있었다. TAS를 확인하는 동안에는 교수님께서 얘기해 주신 태아가 빨리 자라는 34~36주가 되지 않아 29주에 1248g 정도 나가 생각했던 것보다 29주나 배에 있었는데 태아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는 3월 25일에 31주 3일차 자궁 내 임신으로 입원하였고 외래에서 피검사, 심전도를 체크하고 22G IV line start으로 H/S 1L를 주입하고 라보파를 처음 1@ 5% D/W 500mL와 mix 하여 4gtt로 주입하였다. 대상자에게 라보파주의 부작용도 설명하였고 자각증상 있을 시 간호사실로 알리도록 교육하는 등 차트에 그 상황 상황을 자세하게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라보파주의 성분명인 리토드린은 투약시 빈맥, 저혈압, 불안 등 부작용이 있어 HR을 체크한 것도 볼 수 있었다. 화장실 이외에 bed rest keep on이 처방된 것으로 처음에는 산모라 낙상 때문인 줄만 알았는데 침상안정을 통해 자궁수축을 활성화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조기진통으로 인한 출산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조기진통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트를 보면서 다른 정보가 없는데 파제론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한 기록과 항생제가 주기적으로 투여되고 있어 이유가 궁금했는데, 실습을 하는 중 차트를 볼 수 있어 간호사 선생님께 물어볼 수 있었다. 조기진통이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이미 산모가 감염이 되었다고 생각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한다고 한다. 조기진통 자체의 원인을 정확하게 몰라 감염 방지를 위해서라고 한다.
그다음으로 주치의 덱사메타손 1a IM vid 2일 처방하여 주사함을 볼 수 있는데, 3학년 2학기에 배운 글루코르티코이드제로 조산아의 폐 성숙을 도와 호흡곤란 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약물이 나와 반갑기도 했다.
NST checked를 보면 (Ut cont: 35 torr 1#, 20 torr 1#, 10 torr 1# / FHR: 120-180화/min) 처음 검사 결과를 보고 1#이 어느 정도 기간에 수축이 어느 정도 강도인지 또 수축기 압인지 이완기 압인지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 배운 것으로만 판단하기 어려워 당황스러웠다. 실습의 중요성은 직접 보고 많은 것을 물어볼 수 있는 것이라 느꼈다. 수간호사 선생님께 설명을 들을 기회가 있었고. 현재 대상자는 라보파를 투여 중인데 이 정도면 수축이 강한 편이고 또 간격이 안 나와있지만 심평원에 넘기는 시간이 보통 한 시간이라 한 시간에 측정되는 수축이라 설명해 주셨다. 조기진통일 경우 수축, 이완 때로 안 보고 진진통, 가진통을 볼 때 수축기, 이완기를 본다고 하셨다. 또한 조기 진통은 10 torr든 압력이 낮게 나오더라도 수축 자체가 있는 것을 주로 문제로 본다고 설명해 주셨다.
4/1 차트를 보면 라보파주로 자궁수축이 호전되지 않아 tractocile로 교체 투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런 것 하나하나 다 이유가 있었다. 트렉토실은 조산방지제로 최소 30초간 유지되는 주기적인 자궁수축이 30분당 4회 이상의 빈도를 발생하는 경우 사용하는데, 현실적으로 봤을 때 보통 효과가 트렉토실이 더 좋은 경우가 많지만 보험이 되지 않아 한 번 투여하는데 가격이 30만 원이 넘어 라보파주가 제대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 의사선생님이 권하고 처방을 내리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
4/6일 경에는 질초음파를 통해 자궁경부 길이를 봤을 때 자궁경부 길이가 4.3cm로 짧지 않았고 수축이 많이 줄어 대상자는 퇴원 조치를 하였다.
실습을 하는 동안 지도 교수님께 많은 감사를 드린다. 3학년이 아닌 4학년이 올라가는 입장에서 실습도 절반 넘게 진행되었고 처음에는 시키는 대로 주어진 과제와 실습지에 익숙해지기 바빴지만 익숙해지고 지나고 보니 실습 전에 얘기해 주신 것들도 하나하나 다 중요한 내용이었고 의학용어, 약물 시험 등 실습지에서 많이 쓰고 꼭 필요한 것들로 실습을 잘할 수 있게끔 이끌어 주신 것에 대해 많은 감사함을 느꼈다. 특히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에 대해 질문하실 때 교수님께서 말씀해 주신 옥시토신, 에르빈, 푸로스타몬, 나라돌, 라보파주 같은 경우 잘 알고 있어 간호사 선생님의 질문에 답할 수 있었고 자신감도 생겼었다.
Ⅳ. 참고문헌
[1] 정은자. 2023. 『여성건강간호학 실습2 지침서』. 현문사
[2]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 5 판. 현문사
[3]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Ⅱ』 제 5 판. 현문사
[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5]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 기본간호학 Ⅱ』, 경기:수문사
[6] 송경애 외 공저. 2022.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Ⅰ』. 경기:수문사
[7] 성미혜 외 공저. 2022.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수문사
[8] 김성태. 2023.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9] 하이닥. (2023.04.06.). 조산율 10년 새 1.5배 늘어…주수에 맞게 건강하게 출산하려면?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81585
[그림1] 삼성서울병원. Preterm labor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CMS&CONT_SRC_ID=09a4727a8000f330&CONT_CLS_CD=001020001007&CONT_ID=3285
[그림2] 서울아산병원. Preterm labour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