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르칠 문법 항목: 상대높임법
(2) 적용할 교수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3) 수업 시 고려해야 할 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가르칠 문법 항목: 상대높임법
(2) 적용할 교수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3) 수업 시 고려해야 할 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습할 수 있도록 한 뒤 활용의 측면에서 본 방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문법구조보다 기능이 우선되어 학습자들이 문법구조를 혼동하는 문제를 겪게 되면 오히려 학습량이 늘어 이에 대한 부담만 가중될 뿐이기 때문이다.
둘째,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할 때는 교수자의 명확한 상황, 역할, 화제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예측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학습자가 본인의 역할, 화제, 상황 등에 대해 예측하여 발화해야 하므로 이 역시 학업 부담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셋째, 반드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일대일 간의 의사소통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학습환경은 대부분이 하나 혹은 두 명의 교수자와 다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경우 이러한 구분 없이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학습자 개인의 의사소통 필요성과 능력을 증진시키고 확인하는 과정이 사라진다. 학습자의 성격적 특성에 의해 나서는 것을 꺼리기라도 한다면, 결국 개개인의 학업적 역량의 증진은 고사하고 한국어를 말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만 안겨주어 두려움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가르치고 싶은 어문 규범인 ‘상대높임법’과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내용을 통해 어떤 내용이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에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그중에서도 의사소통의 방법을 통해 교수하고 싶은 이유와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필자는 의사소통 방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점과 특징을 잘 살려 문법 내용에 대한 학업적 교수가 선행된 이후 활동의 영역에서 해당 방법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다양한 표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릴 뿐만 아니라 등급에 따른 체계적 문법 학습의 어려움이라고 하는 단점을 함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4. 참고문헌
한소범. 국민 세 명 중 한 명 “한글 띄어쓰기 어렵다”. 한국일보. (2020.10.09.).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00911200001181?did=NA
강수. (2018). 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의 상대높임법 연구. 한국언어문화, 66(0), 5-29.
김성희. 2007. 『한국어 교수법과 국어 교수ㆍ학습 방법의 통섭적 관계 - 의사소통식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제4권 제2호, 1~20쪽.
둘째,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할 때는 교수자의 명확한 상황, 역할, 화제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예측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학습자가 본인의 역할, 화제, 상황 등에 대해 예측하여 발화해야 하므로 이 역시 학업 부담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셋째, 반드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일대일 간의 의사소통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학습환경은 대부분이 하나 혹은 두 명의 교수자와 다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경우 이러한 구분 없이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학습자 개인의 의사소통 필요성과 능력을 증진시키고 확인하는 과정이 사라진다. 학습자의 성격적 특성에 의해 나서는 것을 꺼리기라도 한다면, 결국 개개인의 학업적 역량의 증진은 고사하고 한국어를 말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만 안겨주어 두려움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가르치고 싶은 어문 규범인 ‘상대높임법’과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내용을 통해 어떤 내용이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에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그중에서도 의사소통의 방법을 통해 교수하고 싶은 이유와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필자는 의사소통 방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점과 특징을 잘 살려 문법 내용에 대한 학업적 교수가 선행된 이후 활동의 영역에서 해당 방법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다양한 표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릴 뿐만 아니라 등급에 따른 체계적 문법 학습의 어려움이라고 하는 단점을 함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4. 참고문헌
한소범. 국민 세 명 중 한 명 “한글 띄어쓰기 어렵다”. 한국일보. (2020.10.09.).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00911200001181?did=NA
강수. (2018). 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의 상대높임법 연구. 한국언어문화, 66(0), 5-29.
김성희. 2007. 『한국어 교수법과 국어 교수ㆍ학습 방법의 통섭적 관계 - 의사소통식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제4권 제2호, 1~20쪽.
추천자료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교육과정변천,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일반선택과목(중국어Ⅰ)과 심화...
국어과교육(국어교육) 협력학습과 소집단토의학습, 국어과교육(국어교육) 창의적교수학습과 ...
[외국인을위한 한국어 교육방법론] 언어교수법의 역사
[국어교육]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 과제 유형 및 난이도, 효과적인 의사소...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포르투갈어 학습법(언어 학습법)
한국어 말하기에서의 TTT 교수법 활용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교육을 가르칠 때, 예상되는 효과와 어려움을 기술하고, ‘나의 관점...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교육을 가르칠 때, 예상되는 효과와 어려움을 기술하고, 나의 관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_한국어교육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