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 과제 유형 및 난이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자 양성을 위한 교실 수업, 교수 모형의 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육]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 과제 유형 및 난이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자 양성을 위한 교실 수업, 교수 모형의 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제 유형 및 난이도

2. 효과적인 의사소통자 양성을 위한 교실 수업

3. 교수 모형의 예

본문내용

87)는 구어 대화의 더 큰 특징은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의미를 절충하고, 누가 무엇을 말하는지, 누구에게, 언제, 무엇에 관한 것인지에 대한 상호작용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어 교재 또한 다양한 정보 유형을 담보하면서 대화참여자와 관련한 변수를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대화는 청자와 화자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된다는 사실에 유의하면서 대화의 지속을 위하여 청자는 동의를 나타내거나, 주의 깊게 듣고 있음을 확인하거나, 이해가 어려운 내용을 거듭해서 묻기도 하면서 화자에게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교수 모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제시
1. 학습자의 나라에서는 대화가 매우 흥미롭다는 것을 나타낼 때 어떤 표현들을 쓰는지 질문하고 그 답을 서로 나눈다. 이 때 한국어의 관련 표현도 몇 가지 알려준다.
2. 한국어 대화에서 상대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할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을 설명한다.
네, 뭐라고요?
다시 한 번만 더 말씀해 주시겠어요?
잘 못 알아듣겠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데요.
무슨 말을 하는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네? 네?
연습
다음의 대화를 읽고 연습한다. 특히 학습자가 평서문, 의문문 등의 억양에 유의하도록 강조하면서 지도한다.
데릭 : 미경 씨는 어떤 사람이 좋은데요?
미경 : 키 크고, 직업 좋고, 유머 감각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데릭 : 키 크고, 직업 좋고, 유머 감각까지 있어야 한다고요?
미경 씨, 너무 눈이 높은 거 아니에요?
미경 : 네? 제가 눈이 높다고요?
데릭 : 네. 세상에 그렇게 완벽한 남자가 어디 있어요?
산출
과제① : 학습자의 나라에서는 결혼 상대자를 주로 어떻게 만나는지 서로 묻고 답하여 알아낸다.
과제② : 결혼을 준비할 때 필수품이라고 생각되는 것 다섯 가지를 말하고 왜 그것이 필수품인지에 대해서 이유를 설명한다.
셋째, 반복, 탈락, 머뭇거림, 말줄임이나 간투사, 휴지, 수정 등 언어 외적 기제들의 교육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제성을 담보한 구어 문법을 교육하기 위한 이들 항목들을 대화문에 적극 반영하고 강조해서 가르칠 필요가 크다. 또한 말하기듣기 등의 교재를 개발할 때에도 다양한 간투사의 유형들을 제시하고 이들 간투사를 맥락을 주 교육해야 하겠다.
제시
1. 학습자의 나라에는 어떤 감탄 표현들이 있는지 질문하고 공유한다.
2. 한국어의 감탄 표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을 설명한다.
앗! : 급하거나 놀랐을 때 내는 소리
쉿! : 소리를 내지 말라고 할 때 내는 소리. 둘째 손가락을 입에 대고 말하기도 한다.
와! : 멋있거나 놀라운 광경을 보았을 때 내는 소리
그 외 ‘어머나’, ‘에구머니나’, ‘허걱’ 등도 있다.
연습
다음의 대화를 반복적으로 읽고 연습한다. 특히 억양에 유의해서 지도한다.
(실수로 컵을 상대의 옷에 쏟는 그림)
A : 앗, 죄송합니다.
B : 어머나, 나 몰라.
산출
과제① : 짝활동 - 상황 제시용 카드를 주고 사과하는 대화를 즉흥적으로 만들어 본다.
예) 지하철:발을 밟다, 영화관앞:지각하다, 대화중:말이 겹치다, 길을 묻다:모르다
과제② : 만든 대화를 가지고 앞에 나와서 역할극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과제 기반 교수법에 기반을 둔 한국어 구어 문법 교수 모형을 제안해 보았다. 물론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자의 구어 문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교재를 기반으로 한 교실 활동이 우리 삶의 실제적인 모습을 온전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교사의 자발적이고 성실한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