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1. 조기진통의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산부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6. 치료
7. 간호중재
Ⅱ. 본론
2)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검진
(3) 임상 검사
(4) 사용 약물
(5) 분만 과정
3)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침상안정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간호진단 2. 자궁조기수축과 관련된 지식부족
4) 대상자 교육 계획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문헌고찰
1. 조기진통의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산부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6. 치료
7. 간호중재
Ⅱ. 본론
2)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검진
(3) 임상 검사
(4) 사용 약물
(5) 분만 과정
3)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침상안정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간호진단 2. 자궁조기수축과 관련된 지식부족
4) 대상자 교육 계획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by RN)
→ 좌측위 및 심즈위 : 자궁혈류와 안정을 증진시켜 태아가 하강할 때 경부에 대한 선진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다.
→ 적절한 수분공급 : 하루 2500ml 이상의 수분을 공급한다.
: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를 통해 자궁 수축을 증가시키는 옥시토신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
→ 안위 증진 : TV 시청, 좋아하는 책 읽기, 라마즈 호흡법
연상법 : 기분 좋은 상황을 머릿속에 그려 엔톨핀이 증가하게 만들어 통증을 줄이는 방법(예 : 신혼여행, 행복했던 순간 등 - 구체적으로 연상하는 것이 좋다)
이완법 : 온몸의 힘을 빼는 것 (자궁수축이나 진통이 있을 시 통증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온몸이 경직되기 때문)
호흡법 : 불규칙적인 호흡을 바로 잡아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해주고 근육의 피로도를 낮춰준다.
3-4. 대상자의 교육에 보호자를 함께 참여시켜 조기진통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 보호자 내원 시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설명 및 조기진통에 대해 교육
→ 분만 직전까지 조기진통이 오지 않도록 유지해야한다고 교육
3-5. 조기진통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by RN)
날짜
시간
증상
3/26
06: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을 느낀다고 함 (Dr. notified)
08: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15: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3/27
13: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15: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4/1
06: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배뭉침 한 번 있으나 통증은 없었다고 함 (Dr. known and obs.)
08:00
배뭉침 있을 때 마다 호흡, 흉부 불편감 있음.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있음 (tractocile 사용)
22:00
배뭉침 호전
4/2
06:00
2번 배뭉침 느꼈으며 평소와 강도는 비슷하다 함.
08: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0: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2: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4/3
06:00
배뭉침 한 번 느꼈다 함.
08: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0: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4/8
03:45
배뭉침 간간이 있다 함 가슴답답함 여전하다 함. 배뭉침 3-4번 느꼈다 함.
4/10
06:00
2~3번 배뭉침 느꼈다 함.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조기진통에 대한 적절한 대처로 조산 하지 않는다. (추후관찰)
- 대상자는 현재 preg 33+6wks로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을 하지 않고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의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생리통 같은 통증, 소변과 같은 따뜻한 물이 속옷을 축축하게 적시는 양수파수가 있을 수 있음을 말하였다.
2.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의 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조기진통의 위험요인인 피로, 장시간의 근무, 심리적 스트레스 등을 말하였다.
3.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이 있을 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하고 실천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자궁수축이나 진통이 있을 시 침상안정(좌측위, 심즈위), 수분섭취 증진, 안위도모를 위한 활동을 말하고 실천하였다.
Ⅲ. 결론
조기진통은 특별한 원인이 없고 조산과 이어지는 결과를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예방법은 무엇일까. 조기 진통 중 일부에서는 적절한 치료를 하면 진통을 없앨 수 있으므로 진통이 진행되어 치료에 효과가 없는 상태까지 가기 전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치료할수록 치료 성공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과거에 조기 진통 경험이 있거나 자궁 경부 상태 등으로 보아 조기 진통이 올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산모에서 자궁 수축 감지 장치로 자궁 수축 빈도와 자궁 경부 상태를 임신 28-32주 사이에 보거나 매주 보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별한 증상 없이 자궁 입구만 조금 벌어지는 환자도 있다. 임신 말기의 시작부터 자궁 경관이 1-2 cm 벌어져 있는 산모도 대개 만삭까지 가지만 그렇지 않은 산모보다는 조기 진통이나 조기 양막 파열이 더 잘 생긴다.
따라서 자궁 경부의 길이, 부드러운 정도, 자궁 경관이 열린 정도를 빨리 알기 위해 1주에 한 번씩 병원에 가서 내진을 하고 그 변화에 따라 진단하고 자궁 수축제를 쓰면 진단도 빠르고 조산율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조산으로 가는 길을 막기 위해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조기진통으로 인해 입원한 산모 케이스를 보지 못하여 모르는 것이 많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관련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원인, 정의, 치료 등 많은 것을 공부할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박영주 외 공저. 2021.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 현문사.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 5 판, 현문사
정은자, 2023, 『여성건강간호학 실습2 지침서』, 현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 기본간호학 Ⅱ』, 경기: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2022.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수문사
김성태. 2023.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조기 진통(Preterm labou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조기 진통 (차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1796&cid=63166&categoryId=51024
→ 좌측위 및 심즈위 : 자궁혈류와 안정을 증진시켜 태아가 하강할 때 경부에 대한 선진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다.
→ 적절한 수분공급 : 하루 2500ml 이상의 수분을 공급한다.
: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를 통해 자궁 수축을 증가시키는 옥시토신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
→ 안위 증진 : TV 시청, 좋아하는 책 읽기, 라마즈 호흡법
연상법 : 기분 좋은 상황을 머릿속에 그려 엔톨핀이 증가하게 만들어 통증을 줄이는 방법(예 : 신혼여행, 행복했던 순간 등 - 구체적으로 연상하는 것이 좋다)
이완법 : 온몸의 힘을 빼는 것 (자궁수축이나 진통이 있을 시 통증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온몸이 경직되기 때문)
호흡법 : 불규칙적인 호흡을 바로 잡아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해주고 근육의 피로도를 낮춰준다.
3-4. 대상자의 교육에 보호자를 함께 참여시켜 조기진통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 보호자 내원 시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설명 및 조기진통에 대해 교육
→ 분만 직전까지 조기진통이 오지 않도록 유지해야한다고 교육
3-5. 조기진통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by RN)
날짜
시간
증상
3/26
06: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을 느낀다고 함 (Dr. notified)
08: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15: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3/27
13: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15: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손 떨리는 증상, 배뭉침 (Dr. known and obs.)
4/1
06:00
간간이 가슴두근거림, 배뭉침 한 번 있으나 통증은 없었다고 함 (Dr. known and obs.)
08:00
배뭉침 있을 때 마다 호흡, 흉부 불편감 있음.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있음 (tractocile 사용)
22:00
배뭉침 호전
4/2
06:00
2번 배뭉침 느꼈으며 평소와 강도는 비슷하다 함.
08: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0: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2: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4/3
06:00
배뭉침 한 번 느꼈다 함.
08: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13: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14:00
배뭉침 간간이 있음.
20:00
배뭉침 간간이 있으나 호흡 및 흉부 불편감 없다함.
4/8
03:45
배뭉침 간간이 있다 함 가슴답답함 여전하다 함. 배뭉침 3-4번 느꼈다 함.
4/10
06:00
2~3번 배뭉침 느꼈다 함.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조기진통에 대한 적절한 대처로 조산 하지 않는다. (추후관찰)
- 대상자는 현재 preg 33+6wks로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을 하지 않고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의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생리통 같은 통증, 소변과 같은 따뜻한 물이 속옷을 축축하게 적시는 양수파수가 있을 수 있음을 말하였다.
2.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의 위험요인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조기진통의 위험요인인 피로, 장시간의 근무, 심리적 스트레스 등을 말하였다.
3.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조기진통이 있을 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하고 실천할 수 있다. (완전달성)
- 대상자는 자궁수축이나 진통이 있을 시 침상안정(좌측위, 심즈위), 수분섭취 증진, 안위도모를 위한 활동을 말하고 실천하였다.
Ⅲ. 결론
조기진통은 특별한 원인이 없고 조산과 이어지는 결과를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예방법은 무엇일까. 조기 진통 중 일부에서는 적절한 치료를 하면 진통을 없앨 수 있으므로 진통이 진행되어 치료에 효과가 없는 상태까지 가기 전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치료할수록 치료 성공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과거에 조기 진통 경험이 있거나 자궁 경부 상태 등으로 보아 조기 진통이 올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산모에서 자궁 수축 감지 장치로 자궁 수축 빈도와 자궁 경부 상태를 임신 28-32주 사이에 보거나 매주 보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별한 증상 없이 자궁 입구만 조금 벌어지는 환자도 있다. 임신 말기의 시작부터 자궁 경관이 1-2 cm 벌어져 있는 산모도 대개 만삭까지 가지만 그렇지 않은 산모보다는 조기 진통이나 조기 양막 파열이 더 잘 생긴다.
따라서 자궁 경부의 길이, 부드러운 정도, 자궁 경관이 열린 정도를 빨리 알기 위해 1주에 한 번씩 병원에 가서 내진을 하고 그 변화에 따라 진단하고 자궁 수축제를 쓰면 진단도 빠르고 조산율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조산으로 가는 길을 막기 위해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조기진통으로 인해 입원한 산모 케이스를 보지 못하여 모르는 것이 많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관련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원인, 정의, 치료 등 많은 것을 공부할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박영주 외 공저. 2021.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 현문사.
박영주 외 공저, 2023,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 5 판, 현문사
정은자, 2023, 『여성건강간호학 실습2 지침서』, 현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2, 『최신 기본간호학 Ⅱ』, 경기: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2022.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수문사
김성태. 2023.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조기 진통(Preterm labou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조기 진통 (차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1796&cid=63166&categoryId=5102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