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궁 출혈이 있는 자, 분만이 필요한 자간전증 및 중증의 전자간증 환자, 자궁 내 태아사망, 자궁내 감염 의증 환자, 전치태반 환자, 태반박리 환자, 기타 모체 또는 태아에게 임신의 유지가 해로운 경우, 본제 주성분에 과민증 환자.
② 하트만덱스
약효 분류: Parenteral Nutritional Products
효능/효과: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아시도시스(산증)의 보정, 에너지보급.
용법/용량: 1회 500~1000ml IV infusion
금기: 젖산혈증 환자
주의: 신부전환자, 심부전환자, 고장성탈수증환자, 폐쇄성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하고 있는 환자, 심한 간장애환자
부작용: (대량. 급속투여)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③ Normal Saline
효능/효과
수분, 전해질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부작용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전해질 이상
주의
수유부, 임부 신중투여
저장- heat, freezing을 피한다.
4) 고위험 간호 ( 산전 )
입원
9/11
9/12
9/13
9/14
9/15
9/16
활
력
징
후
혈압
110/60
110/70
100/60
100/50
100/60
100/60
맥박
72
76
68
70
78
78
호흡
20
20
20
20
20
20
체온
36.7
37.0
37.0
36.7
36.8
37.1
자궁수축
있음
있음
(배가 가끔뭉친다고 표현하심)
없음
있음
없음
없음
배뇨
O
O
O
O
O
O
배변
N
O
N
N
N
O
FHT
145(LLQ)
152(RLQ)
147(RLQ)
149(RLQ)
158(RLQ)
NST
O
O
O
O
O
O
투약 및 처치
Tractocile6.75mg #1 IV
H/D1000ml
Normal saline 투약
infucon infusion set
new plus rall 7*10
Tractocile , H/D1000ml*3
infucon infusion set
H/D1000ml*2
infucon infusion set
H/D1000ml*3
H/D1000ml
H/D1000ml
IV catether 22G
new plus rall 7*10
H/D1000ml
H/D1000ml
3. 간호진단 목록
간호진단 번호
간호진단
#1
조기진통에 대한 대처 능력과 관련된 지식 부족
#2
제한된 침상안정과 관련된 전환 활동의 부족
#3
자궁수축과 관련된 동통
#4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5
질병의 진행과정과 관련된 정보 부족
#6
퇴원 후 조기진통에 대한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진단 1- 조기진통에 대한 대처 능력과 관련된 지식 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언제 애가 나올지도 모르겠고, 주수가 아직 다 안 차서 아기가 작아요. 뱃속에 아기가 2kg만 넘었으면 조금이라도 마음이 편하겠어요.”
객관적 자료:
NST 측정 후 자궁수축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묻고 분만의 가능성을 자주 물어본다.
아기의 몸무게 1.5kg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NST검사 후 태아에 대해 불안해하지 않을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조기분만과 관련된 불안을 해소하고 임신의 결과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① 태아와 자궁 수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② 대상자와 태아의 상태에 대한 질문에 대답한다.
③ 조기진통증상을 사정한다.
④ 조기진통의 긍정적 사례를 알려준다.
⑤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합리적 근거
-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산모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 조기진통의 증상을 알아 스스로 증상을 발견하고 대처하면 조산을 예방 할 가능성이 높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전보다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간호진단 2 -제한된 침상안정과 관련된 전환 활동의 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병원에서 침대 안에서만 누웠다가 일어났다가 그러니까, 배변도 잘 못보고 배가 답답한 느낌이고”
객관적 자료: 배변을 3일째 못하심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배변을 볼 수 있도록함
장기목표: 대상자는 배변활동에 도움이 되는 행동이나 음식을 잘 알고 실천하며, 안정된 범위에서 능동적인 활동을 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1. 수분섭취량을 많이 하여 배변활동을 촉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제한된 범위 안에서 최대한의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침대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교육함. 누워서 다리를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는 하지 유연운동이나 똑바로 다리를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하지강화법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하였다)
합리적근거
- 임산부가 변비가 있으면 노폐물이 쌓여 불쾌감 속에 하루하루를 지내게 되고, 변비가 지속되면 대장 속에 숙변이 쌓이게 되므로 모체의 저항력이 떨어지는데 모체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감기몸살을 비롯한 자질구레한 질병에 시달리게 되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된다.
-변비해소를 위해서는 과일과 야채, 우유나 쥬스를 섭취 하는 것이 좋고, 물은 3L이상 먹도록 하며,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임산부에게 강한 변비약은 유산을 초래 할 수도 있으므로 약을 먹는다면 자연식품을 먹도록 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배변을 원활히 볼 수 있었다.(9월16일)
간호진단 3-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숨이차서 어제 밤에 잠을 잘 못잤어요,
객관적 자료: fowler position을 취하고 계심, 얼굴에 졸린 표정이 나타남.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합리적근거
맥박 105
간호평가
◈ 참고자료 ◈
사이트 : www.druginfor.co.kr
www.nurscape.net
www.kimsonline.co.kr
도 서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6) 여성건강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김인순(2003) 모성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서울: 현문사
박영숙 외(2003) 모성/여성간호학 임상실습교재 서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3),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② 하트만덱스
약효 분류: Parenteral Nutritional Products
효능/효과: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아시도시스(산증)의 보정, 에너지보급.
용법/용량: 1회 500~1000ml IV infusion
금기: 젖산혈증 환자
주의: 신부전환자, 심부전환자, 고장성탈수증환자, 폐쇄성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하고 있는 환자, 심한 간장애환자
부작용: (대량. 급속투여)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③ Normal Saline
효능/효과
수분, 전해질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부작용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전해질 이상
주의
수유부, 임부 신중투여
저장- heat, freezing을 피한다.
4) 고위험 간호 ( 산전 )
입원
9/11
9/12
9/13
9/14
9/15
9/16
활
력
징
후
혈압
110/60
110/70
100/60
100/50
100/60
100/60
맥박
72
76
68
70
78
78
호흡
20
20
20
20
20
20
체온
36.7
37.0
37.0
36.7
36.8
37.1
자궁수축
있음
있음
(배가 가끔뭉친다고 표현하심)
없음
있음
없음
없음
배뇨
O
O
O
O
O
O
배변
N
O
N
N
N
O
FHT
145(LLQ)
152(RLQ)
147(RLQ)
149(RLQ)
158(RLQ)
NST
O
O
O
O
O
O
투약 및 처치
Tractocile6.75mg #1 IV
H/D1000ml
Normal saline 투약
infucon infusion set
new plus rall 7*10
Tractocile , H/D1000ml*3
infucon infusion set
H/D1000ml*2
infucon infusion set
H/D1000ml*3
H/D1000ml
H/D1000ml
IV catether 22G
new plus rall 7*10
H/D1000ml
H/D1000ml
3. 간호진단 목록
간호진단 번호
간호진단
#1
조기진통에 대한 대처 능력과 관련된 지식 부족
#2
제한된 침상안정과 관련된 전환 활동의 부족
#3
자궁수축과 관련된 동통
#4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5
질병의 진행과정과 관련된 정보 부족
#6
퇴원 후 조기진통에 대한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진단 1- 조기진통에 대한 대처 능력과 관련된 지식 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언제 애가 나올지도 모르겠고, 주수가 아직 다 안 차서 아기가 작아요. 뱃속에 아기가 2kg만 넘었으면 조금이라도 마음이 편하겠어요.”
객관적 자료:
NST 측정 후 자궁수축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묻고 분만의 가능성을 자주 물어본다.
아기의 몸무게 1.5kg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NST검사 후 태아에 대해 불안해하지 않을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조기분만과 관련된 불안을 해소하고 임신의 결과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것이다.
<간호계획 및 수행>
① 태아와 자궁 수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② 대상자와 태아의 상태에 대한 질문에 대답한다.
③ 조기진통증상을 사정한다.
④ 조기진통의 긍정적 사례를 알려준다.
⑤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합리적 근거
-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산모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 조기진통의 증상을 알아 스스로 증상을 발견하고 대처하면 조산을 예방 할 가능성이 높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전보다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간호진단 2 -제한된 침상안정과 관련된 전환 활동의 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병원에서 침대 안에서만 누웠다가 일어났다가 그러니까, 배변도 잘 못보고 배가 답답한 느낌이고”
객관적 자료: 배변을 3일째 못하심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배변을 볼 수 있도록함
장기목표: 대상자는 배변활동에 도움이 되는 행동이나 음식을 잘 알고 실천하며, 안정된 범위에서 능동적인 활동을 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1. 수분섭취량을 많이 하여 배변활동을 촉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제한된 범위 안에서 최대한의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침대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교육함. 누워서 다리를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는 하지 유연운동이나 똑바로 다리를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하지강화법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하였다)
합리적근거
- 임산부가 변비가 있으면 노폐물이 쌓여 불쾌감 속에 하루하루를 지내게 되고, 변비가 지속되면 대장 속에 숙변이 쌓이게 되므로 모체의 저항력이 떨어지는데 모체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감기몸살을 비롯한 자질구레한 질병에 시달리게 되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된다.
-변비해소를 위해서는 과일과 야채, 우유나 쥬스를 섭취 하는 것이 좋고, 물은 3L이상 먹도록 하며,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임산부에게 강한 변비약은 유산을 초래 할 수도 있으므로 약을 먹는다면 자연식품을 먹도록 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배변을 원활히 볼 수 있었다.(9월16일)
간호진단 3-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숨이차서 어제 밤에 잠을 잘 못잤어요,
객관적 자료: fowler position을 취하고 계심, 얼굴에 졸린 표정이 나타남.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 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합리적근거
맥박 105
간호평가
◈ 참고자료 ◈
사이트 : www.druginfor.co.kr
www.nurscape.net
www.kimsonline.co.kr
도 서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6) 여성건강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김인순(2003) 모성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서울: 현문사
박영숙 외(2003) 모성/여성간호학 임상실습교재 서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3),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