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여할 수 있다는 기대를 확립)
⇒ 학습자에게 교수 목표를 제시하는 것은 여행자에게 여행의 목적지를 미리 설명해 주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대단히 중요.
셋째, 선행 지식의 재생 자극이다.
학습자가 이미 배워서 가지고 있는 선행 학습을 회상하게 하는 일은 교수 활동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것임. 새로운 학습은 대부분 아이디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구성 요소가 되는 아이디어들이 미리 학습되어야만 새로운 학습이 용이.
넷째, 자극 자료의 제시는 학습할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체로 교과서의 자료들을 제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다양한 보조 자료도 함께 제시할 수 있음.
다섯째, 학습 안내 제공이다.
수업에서 사고와 탐구를 자극하기 위해 수행되는 질문과 단서의 제시, 암시와 시사 등이 사용.
여섯째, 성취 수행의 유도이다.
이 단계는 학습이 이루어진 후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의 결과를 실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함. (예: “실제로 해 볼까?”와 같은 언어적 요청의 형태를 취함)
일곱째, 성취 수행의 정오에 대한 피드백 제공으로, 이 단계는 학습자의 수행을 보고 그것의 결과를 판단하는 일을 말함.
특히 학습 사건의 잔여 효과와 학습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가름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사건을 인지해야 함.
여덟째, 수행에 대한 평가로, 이것은 예상해 온 학습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아홉 번째, 기억의 조장과 전이의 촉진이다.
이것은 교사와 학습의 유지와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특히 개념, 원리, 문제 해결 등을 잘 파지하기 위한 수업설계는 몇 주 또는 수개월 간이라는 시간 간격을 두고 분산적으로 행하여지는 체계적인 복습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
전이를 높이는 방법은 실제적인 상황을 설계하고 그런 상황을 통한 실제적인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
⇒ Gagne는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 내부(두뇌)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과정을 이해하고, 이 과정에 맞추어 수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
<참고문헌>
ㆍ 임규혁임웅(2008), 교육심리학, 학지사
ㆍ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2007), 교육학 특강, 원미사
ㆍ 이용남 외(2004), 신교육심리학, 학지사
ㆍ 신명희 외(2005),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ㆍ 문은식 외(2007), 교육심리학, 공동체
ㆍ 김용래(2000), 교육심리학, 문음사
⇒ 학습자에게 교수 목표를 제시하는 것은 여행자에게 여행의 목적지를 미리 설명해 주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대단히 중요.
셋째, 선행 지식의 재생 자극이다.
학습자가 이미 배워서 가지고 있는 선행 학습을 회상하게 하는 일은 교수 활동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것임. 새로운 학습은 대부분 아이디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구성 요소가 되는 아이디어들이 미리 학습되어야만 새로운 학습이 용이.
넷째, 자극 자료의 제시는 학습할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체로 교과서의 자료들을 제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다양한 보조 자료도 함께 제시할 수 있음.
다섯째, 학습 안내 제공이다.
수업에서 사고와 탐구를 자극하기 위해 수행되는 질문과 단서의 제시, 암시와 시사 등이 사용.
여섯째, 성취 수행의 유도이다.
이 단계는 학습이 이루어진 후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의 결과를 실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함. (예: “실제로 해 볼까?”와 같은 언어적 요청의 형태를 취함)
일곱째, 성취 수행의 정오에 대한 피드백 제공으로, 이 단계는 학습자의 수행을 보고 그것의 결과를 판단하는 일을 말함.
특히 학습 사건의 잔여 효과와 학습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가름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사건을 인지해야 함.
여덟째, 수행에 대한 평가로, 이것은 예상해 온 학습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아홉 번째, 기억의 조장과 전이의 촉진이다.
이것은 교사와 학습의 유지와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특히 개념, 원리, 문제 해결 등을 잘 파지하기 위한 수업설계는 몇 주 또는 수개월 간이라는 시간 간격을 두고 분산적으로 행하여지는 체계적인 복습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
전이를 높이는 방법은 실제적인 상황을 설계하고 그런 상황을 통한 실제적인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
⇒ Gagne는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 내부(두뇌)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과정을 이해하고, 이 과정에 맞추어 수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
<참고문헌>
ㆍ 임규혁임웅(2008), 교육심리학, 학지사
ㆍ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2007), 교육학 특강, 원미사
ㆍ 이용남 외(2004), 신교육심리학, 학지사
ㆍ 신명희 외(2005),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ㆍ 문은식 외(2007), 교육심리학, 공동체
ㆍ 김용래(2000), 교육심리학, 문음사
추천자료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교육심리학]인본주의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지도와 교육심리학의 적용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우리 아이들의 성격발달에 관한 고찰 PPT 교육심리학적 접근
학습자의 언어, 인지, 성격, 도덕성 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A+)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education심리학] 발달의 개념 및 발달 연구의 동향 (발달의 정의, 발달에 대한 주요 논...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 인지적 발달 (Piaget의 인간발...
[교육심리학]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行動主義) 이론의 원리 - 강화(정적 강화, 부적 강화, 프...
[교육심리학] 동기이론(動機理論) - 동기이론이란 무엇인가, 행동주의 동기이론, 인본주의 동...
손다이크(Thorndike)의 행동주의 이론 [교육심리학]
영유아기(출생~만5세) 자녀가 부모를 통해서 성취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내용을 3가지 기록하...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