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행동주의 학습이론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2) 손다이크의 연합주의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행동주의 학습이론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2) 손다이크의 연합주의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생활에서 이러한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규칙적인 반복, 강화와 처벌로서 적용된다. 그 예로 수업이 끝날 무렵 교사가 항상 그 수업과 관련된 돌발 퀴즈를 내고, 이 퀴즈를 제일 먼저 맞추는 학생 1명에게는 칭찬 스티커를 발부한다. 칭찬 스티커 10개를 모은 학생에게는 학급 청소 당번을 면제해주는 보상을 해줌으로써 교사는 학생들이 돌발 퀴즈를 맞히기 위해 수업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주로 보상보다는 처벌을 통한 자극을 더 많이 활용하는데, 복장이 불량하거나 지각을 하는 등의 잘못된 행동에 벌점을 매김으로써 그러한 행동을 제재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사례는 학교에서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가정 내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했을 때 엄마의 고맙다는 칭찬과 함께 평소보다 TV 시청을 30분 더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는 경험을 반복해서 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앞으로 이 아동은 엄마가 먼저 부탁하지 않아도 먼저 나서서 심부름하겠다고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혹은 아이가 반찬 투정을 하며 밥은 잘 먹지 않았을 때, 김치와 김만 반찬으로 차려주는 처벌을 보여줌으로써 나쁜 식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결론
나의 학창시절을 뒤돌아보니 나 역시 반복을 통한 습관을 통해 학습하고 보상이나 처벌에 의한 강화를 겪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긴장될 때마다 안정감을 주는 향을 반복해서 뿌리면서 그 냄새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험은 사소하지만, 우리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이던 것이다. 개인적으로 다양한 학습이론 중 행동주의 학습이론이 내가 가장 많이 경험하고 효과적이었던 학습이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내가 규칙적이고 정해진 틀을 벗어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성격 탓에 이러한 강화와 처벌의 원칙이 더 잘 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러한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비단 어린 학생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심리적 인과관계를 통한 것으로써 학교 교육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적절히 활용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학습심리학 교안
2. 교육심리학, 전용오, 여태철, 황매향(2020). 서울: 방송대 출판문화원.
3. 신종호, 박수원, 최재희.\"교직 과목 교육심리학의 운영 현황과 과제.\"교육심리연구25.3(2011):417-429.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사례는 학교에서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가정 내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했을 때 엄마의 고맙다는 칭찬과 함께 평소보다 TV 시청을 30분 더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는 경험을 반복해서 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앞으로 이 아동은 엄마가 먼저 부탁하지 않아도 먼저 나서서 심부름하겠다고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혹은 아이가 반찬 투정을 하며 밥은 잘 먹지 않았을 때, 김치와 김만 반찬으로 차려주는 처벌을 보여줌으로써 나쁜 식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결론
나의 학창시절을 뒤돌아보니 나 역시 반복을 통한 습관을 통해 학습하고 보상이나 처벌에 의한 강화를 겪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긴장될 때마다 안정감을 주는 향을 반복해서 뿌리면서 그 냄새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험은 사소하지만, 우리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이던 것이다. 개인적으로 다양한 학습이론 중 행동주의 학습이론이 내가 가장 많이 경험하고 효과적이었던 학습이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내가 규칙적이고 정해진 틀을 벗어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성격 탓에 이러한 강화와 처벌의 원칙이 더 잘 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러한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비단 어린 학생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심리적 인과관계를 통한 것으로써 학교 교육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적절히 활용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학습심리학 교안
2. 교육심리학, 전용오, 여태철, 황매향(2020). 서울: 방송대 출판문화원.
3. 신종호, 박수원, 최재희.\"교직 과목 교육심리학의 운영 현황과 과제.\"교육심리연구25.3(2011):417-429.
추천자료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및 분류, 필요성, 교수매체 선택모형
4)도덕-새끼 손가락 걸고-현명한 선택
[욕구위계이론]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욕구단계), 매슬로우 이론의 강약점, 매슬로우 욕구단계...
[교육심리학 2016]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 시사점 2 ...
[가정에서의 인간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다음(정신분석 인간중심 행동주의 형태주의 인지행동대상관계) 상담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상담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를 작성(합리정서행동치료의 등장...
임파워먼트 모델의 실천과정인 대화단계, 발견단계, 발전단계를 서술하시오
미디어심리학의이해 미4 <과제명> 교재 1장 심리적 처리에 영향을 주는 일곱 가지 메시지...
개인심리학자인 아들러이론의 주요 개념 열등감과 보상, 우월에 대한 추구, 가상의 목표,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