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화와상징체계_주몽 신화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신화와상징체계_주몽 신화에 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몽’에 관하여
2) 주몽 신화
3) 주몽 설화에 반영된 설화적 장치
4) 주몽 설화에 반영된 상징적 요소
5) 현대사회에서의 주몽 설화
6) 주몽 설화의 교육적 가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막에 \'아침의 나라\' 업데이트. (2023.10.19.).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07298.
, 주몽 설화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드라마 ‘주몽’이 드라마 산업에서 크게 흥행하며 그 가치를 어느정도 입증하였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6) 주몽 설화의 교육적 가치
같은 뿌리를 가진다는 것은 통일 교육에 있어 무엇보다 큰 의미를 가진다.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조사해 보면, 현재 북한과 남한의 이질성을 꼽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발표한 2020 통일의식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이제 거의 절반 가까이 줄었고, 통일이 되지 말아야 할 이유에는 1순위인 경제적 부담, 2순위인 통일 이후 생길 사회적 문제, 3순위인 정치 체제의 차이에 이어 4위에는 사회문화적 차이 젊은 계층 “통일 필요없다” 부정적 인식 커졌다. (2021.04.29.).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980.
가 그 이유로 꼽혔다. 결국 1순위를 제하면 나머지 2, 3, 4순위가 모두 이질성으로부터 비롯된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북한이 고구려 역사에 대해 바라보는 시선이 호의적이며, 우리와 문화적 동질성을 공유할 수 있는 설화인 만큼 이를 탈북자에 대한 교육을 넘어서 통일을 위한 교육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윤정. (2014).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9, 67-107.
Ⅲ. 결론
지금까지 주몽 설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현대사회에서 이 설화가 사용되는 새로운 의미와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필자는 그중에서도 주몽 설화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와 문화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고 싶다. 설화라고 하면 우리는 쉽게 낡은 것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본 글에서도 논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화는 다양한 IP로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세계화로 인해 문화적 주체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즘 그 가치가 지대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허준\'\'주몽\' 드라마 작가, 현재 교도소 수감 중 \'충격\'. (2022.05.20.).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579184.
연예 박탐희 \"\'주몽\'이 최고 시청률…前남편들 많이 다녀가\" (백반기행)[전일야화]. (2023.04.23.).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566634.
두산백과. 동명성왕. (2023.10.2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4156&cid=40942&categoryId=3337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난생설화. (2023.10.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2668&cid=46643&categoryId=46643.
한철호 외 7인. 미래엔 ‘한국사’ 교과서. 30
최태호. (1992). 북방계 설화 연구 - 주몽설화를 중심으로 -. 한문학논집, 10(0), 37-68.
송영대. (2018). 고려의 주몽·동명 인식과 동명성왕 관념 성립.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41(3), 163-190.
우리역사넷. 성왕. (2023.10.24.).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06_0030_0030_0010
[ESG 경영] 펄어비스, 게임으로 한국 문화 널리 알린다...검은사막에 \'아침의 나라\' 업데이트. (2023.10.19.).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07298.
젊은 계층 “통일 필요없다” 부정적 인식 커졌다. (2021.04.29.).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980.
이동철. (2005). 단군신화와 주몽신화의 교육적 접근-형성배경과 용신신앙을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11, 133-172.
최윤정. (2014).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9, 67-107.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5.03.06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