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문제행동 A-B-C 분석
(2) 치료전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문제행동 A-B-C 분석
(2) 치료전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네 번째 아동의 문제행동의 기능은 체육 시간 수업 회피로 보여진다. 아동이 체육수업이 싫은 이유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일단 교실이 아닌 다른 공간이 낯설어서 그럴 수있고, 체육수업에 흥미를 얻지 못하여 해당하는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아동에게 체육관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학생이 좋아하는 활동을 체육관에서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체육수업을 아동의 흥미를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 시 아동이 체육수업에서 빠지도록 하는 것은 아동에게 강화가 되므로 체육수업 상황에서 배제 시켜서는 안된다.
다섯 번째 아동의 문제행동 기능은 자기자극 및 놀이이다. 해당 아동은 쉬는 시간에 심심하고 활동을 할 것이 없어 성기를 만지는 것으로 보인다. 성기를 만지는 행동을 통해 놀이 기능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감각적 강화를 받고 있다. 이에 학생이 쉬는 시간에 성기를 만지는 행동 대신 학생이 선호하는 활동 강화제(예시: 스티커북, 사운드북, 공놀이 등)를 제공하여 학생이 다른 활동을 통해 강화를 얻고 성기를 만지는 행동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교사 및 치료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았을 때 그 행동에 맞는 중재전략 및 치료전략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성을 키워 다양한 전략을 학습하고 학생의 문제행동을 중재하여 해당 학생의 삶의 질 및 학업, 정서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부산시교육청,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가이드북”, 2014
2. 최진희, “장애학생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현장특수교육 제25권. 2018.
다섯 번째 아동의 문제행동 기능은 자기자극 및 놀이이다. 해당 아동은 쉬는 시간에 심심하고 활동을 할 것이 없어 성기를 만지는 것으로 보인다. 성기를 만지는 행동을 통해 놀이 기능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감각적 강화를 받고 있다. 이에 학생이 쉬는 시간에 성기를 만지는 행동 대신 학생이 선호하는 활동 강화제(예시: 스티커북, 사운드북, 공놀이 등)를 제공하여 학생이 다른 활동을 통해 강화를 얻고 성기를 만지는 행동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교사 및 치료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았을 때 그 행동에 맞는 중재전략 및 치료전략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성을 키워 다양한 전략을 학습하고 학생의 문제행동을 중재하여 해당 학생의 삶의 질 및 학업, 정서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부산시교육청,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가이드북”, 2014
2. 최진희, “장애학생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현장특수교육 제25권. 2018.
추천자료
아동문제와 행동수정
말더듬 이론과 치료
[행동수정][행동수정 기법][행동수정 이론][행동수정 실제][행동]행동수정 기법과 이론 및 실...
[행동수정 이론][행동수정 사례][행동수정][행동][문제행동][표적행동]행동수정 이론과 행동...
[행동수정] 행동수정이론의 원리와 사례 - 행동수정이론, 기법의 중요성, 이론의 유래, 기본...
행동수정 이론
[행동수정]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를 선정하여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
행동수정 )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를 선정하여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
행동수정 프로그램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하나를 선정하여 문제행동의 특징, 원인, 지도방법 등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