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양파의 특성과 효능
Ⅲ. 양파의 동향과 전망
1. 생산동향
2. 수급동향
3. 생산전망
4. 수급전망
Ⅳ. 양파 무름병 발생 부위와 피해 상황
1. 양파의 무름이 잘 나타난 부위 조사
2. 양파 산지별 무름병 발생 피해 상황
3. 생육 정도에 따른 무름병 발생율
Ⅴ. 양파무름병 예방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Ⅱ. 양파의 특성과 효능
Ⅲ. 양파의 동향과 전망
1. 생산동향
2. 수급동향
3. 생산전망
4. 수급전망
Ⅳ. 양파 무름병 발생 부위와 피해 상황
1. 양파의 무름이 잘 나타난 부위 조사
2. 양파 산지별 무름병 발생 피해 상황
3. 생육 정도에 따른 무름병 발생율
Ⅴ. 양파무름병 예방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게가 7080g의 작은 양파(소)의 무름병 발생율은 20%로 중·대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Ⅴ. 양파무름병 예방을 위한 제언
(1) 수확 후 양파에 무름병을 야기시키는 병원균은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로 동정되었다.
(2)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는 배추, 감자, 무, 당근 등의 작물 뿐만 아니라 치커리, 고추냉이와 같은 특용작물에도 무름병을 야기시키는 농, 경제적으로 매우 심각한 세균으로 판명되었다.
(3)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는 12시간 이내에 안정기에 이르는 매우 생장이 빠른 세균으로서, 최적 온도는 30℃ 전후이며, 넓은 산도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으로 관찰되었다.
(4) 가정에서 단기간 무름병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냉장고 야채상자보다는 냉장실 저온 상태(4℃)에서 양파를 보관하는 것이 가장 최상책이었다.
(5) 자루(그물망)속에 담아 시판되고 있는 양파를 가정에서 구입하여 보관하다가 무름병이 발생한 양파가 발견되면 즉시 그 양파를 신문지로 싸서 그 자루 속에 보관하여도 신선도가 유지되며 무름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6) 수확 후 양파 저온저장고에서 무름 증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저장시 양파를 신문지에 싸서 그물망에 넣은 후 유통시(현재 저장지에서 재포장함) 재포장 할 때 신문지를 벗겨서 재포장하면 무름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7) 저장 중 무름병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수확 후에 줄기를 잘라낸 상처 부위를 잘 말려서 저장해야 하며, 저장 중에 무름병이 발생한 양파는 빨리 선별하여 골라내고, 연작은 피하며, 수확시 무름병에 걸렸던 구나 상처가 생긴 구는 저장 중 빠른 속도로 부패되므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예상된다.
참고문헌
1. 김준성, 마늘과 양파생산의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전남 무안, 함평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 대학원
2. 김진성·박석호, 농산물 유통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 무안지역 마늘양파를 중심으로, 목표대학교 임해지역개발연구소
3. 나우현(1986), 마늘·파·양파, 오성출판사
4. 미야오 고헤이(1993), 양파와 건강, 국제문화출판공사
5. 박양균·노일환, 양파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6. 원홍익(1978), 고추·마늘·양파, 내외출판사
7. 조영·윤명선, 양파가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
Ⅴ. 양파무름병 예방을 위한 제언
(1) 수확 후 양파에 무름병을 야기시키는 병원균은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로 동정되었다.
(2)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는 배추, 감자, 무, 당근 등의 작물 뿐만 아니라 치커리, 고추냉이와 같은 특용작물에도 무름병을 야기시키는 농, 경제적으로 매우 심각한 세균으로 판명되었다.
(3)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는 12시간 이내에 안정기에 이르는 매우 생장이 빠른 세균으로서, 최적 온도는 30℃ 전후이며, 넓은 산도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으로 관찰되었다.
(4) 가정에서 단기간 무름병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냉장고 야채상자보다는 냉장실 저온 상태(4℃)에서 양파를 보관하는 것이 가장 최상책이었다.
(5) 자루(그물망)속에 담아 시판되고 있는 양파를 가정에서 구입하여 보관하다가 무름병이 발생한 양파가 발견되면 즉시 그 양파를 신문지로 싸서 그 자루 속에 보관하여도 신선도가 유지되며 무름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6) 수확 후 양파 저온저장고에서 무름 증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저장시 양파를 신문지에 싸서 그물망에 넣은 후 유통시(현재 저장지에서 재포장함) 재포장 할 때 신문지를 벗겨서 재포장하면 무름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7) 저장 중 무름병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수확 후에 줄기를 잘라낸 상처 부위를 잘 말려서 저장해야 하며, 저장 중에 무름병이 발생한 양파는 빨리 선별하여 골라내고, 연작은 피하며, 수확시 무름병에 걸렸던 구나 상처가 생긴 구는 저장 중 빠른 속도로 부패되므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예상된다.
참고문헌
1. 김준성, 마늘과 양파생산의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전남 무안, 함평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 대학원
2. 김진성·박석호, 농산물 유통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 무안지역 마늘양파를 중심으로, 목표대학교 임해지역개발연구소
3. 나우현(1986), 마늘·파·양파, 오성출판사
4. 미야오 고헤이(1993), 양파와 건강, 국제문화출판공사
5. 박양균·노일환, 양파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6. 원홍익(1978), 고추·마늘·양파, 내외출판사
7. 조영·윤명선, 양파가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