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요법 (Behavioral therap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Ⅱ. 본론

◎ 행동요법 (Behavioral therapy)

1. 행동요법과 관련된 이론

2. 행동요법의 유형과 치료적 접근

3. 행동요법의 적용

본문내용

모델링
대상자가 닮음을 배우는 것
자신이 두려워하는 행동을 남이 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배워나감
치료자가 대상자와 동행하면서 배우도록 함 / 정도 약한 것부터 강한 것으로 관찰하여 이행해 나감
주장훈련
자신의 판단에 대해 신뢰감과 자신감 갖게 하는 훈련
역할모델링, 둔감 및 양성강화의 기법 이용
대화하기, 시장보기, 직장구하기 등 사회생활에 뛰어들어 실제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소극성, 부끄러움 이기도록함
혐오자극법
유발자극이 올 때 약한 전류로 불쾌한 자극을 짝 지워줌으로써 충동이 억제되게 하는 방법
조작적 혐오법 :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처벌을 가하는 방법
노출치료
공포의 대상 또는 상황에 실제 노출시키되 대상자가 거기에 적응될 때까지 노출시킴
노출작업: 매일 공포대상에 접근하도록 함 / 폭발법: 장시간의 심한 불안과 동반된 상상을 하도록 함
3. 행동요법의 적용
불안장애
(anxiety disoder)
공포증 (phobias)
Wolpe(1955)
- 처음으로 체계적 둔감법 발표, 행동치료는 광장공포증이나 간단한 공포증에 집중적 사용
- 체계적 둔감법의 임상적용시 근육이완을 두려운 장면의 상상과 짝지워 주는데, 가장 두려움을 작게
일으키는 장면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두려움을 크게 일으키는 장면으로 진행
공황장애
(panic disoder)
노출요법 시행 - 인식연상(cogni-tions association)을 공황유도와 함께 신체적 감각에 노출
목적
- 신체변화와 관련된 두려움 감소, 대상자의 큰 재앙의 인지사정(cata-strophic cognitive apprasisal)
증상 수정하기 위함
불안장애
(anxiety disoder)
강박행동 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두려움의 현실검증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남
중요한 절차
- 감염될 수 없는 환경에 노출된 후 손씻는 것 같은 충동적 행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단계적 시도를 택하고 가장 가벼운 환경에서부터 어려운 것으로 진행
우울증
(depression)
문제해결과 함께 재강화부족을 높이는 적응기술(coping skill)을 가르침
자기 실패인식(self-defecation cognition)을 시험, 대상자가 인정하도록 가르침
식이장애
(eating disorder)
악성식욕부진 (anorexia nervosa)
목적 : 정상체중을 회복하는 것
방법 ① 칼로리 섭취 증가
② 작은 체중의 증가에도 재강화(긍정적 보상)
③ 매일 체중과 칼로리 섭취에 대한 정보 피드백
병적 식욕과다증(bulimia nervosa)
Fairburn(1981)의 인지행동치료
- 중요한 사람들에게 자기 폭로를 하므로 비밀스러운 식욕과다행동에 사회제재 증가
- 매일 적당한 3회의 식사를 하도록 재강화
- 많은 음식을 먹게 하고 구토하려는 강한 충동이 사라질 때가지 치료자와 함께 음식섭취에 관한 인식과 체형 밝히고 촉구
비 만 (obesity)
ㆍ경증에서 중증에 이르는 행동치료
① 자기 감시(self-morning)
② 활동수준을 증가시키는 재강화
③ 음식섭취를 천천히 하게하며, 관련된 자극 줄임
④ 저지방, 고섬유질, 건강식이, 재강화 및 자기 보상 등
반추성 구토
(ruminative vomiting)
방법 - 어린아이의 반추성 구토는 생명에 위협을 주므로 구토를 할 때 불유쾌한 부수사건 만듦
ex> 구토시마다 혓바닥에 레몬즙 떨어뜨림
정신생리 장애 (psychosomatic disorder)
- 본태성 고혈압, 긴장성 두통 혹은 편두통, 수면장애, 천식 위궤양 등 포함
- 근육이완, 명상, 최면술에 의한 이완, 바이오피드백 훈련 등 이완훈련으로 치료
본태성 고혈압 (essential hypertension)
이완효과는 교감신경활동을 억제 → 혈압 하강
바이오피드백의 효과 : 혈압을 자기 감시하므로 혈압 낮춤
두통 (headache)
이완훈련과 바이오피드백 둘 다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의 횟수와 강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
40% 정도의 무반응자도 있음
수면장애 (insomnia)
이완훈련 :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와 불안을 조절 (잠들기 어려운 수면장애 일때 사용)
자극조절치료 : 잠을 방해하는 책, TV, 라디오 등을 침실 제거 / 10분 이내에 잠이 들지 못하면 일어나서 있다가 졸릴 때 다시 침대에 눕도록 함
수면제의 장기사용은 부작용과 더불어 효과가 떨어지므로 약물 외의 다른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음
어린이 장애 (childrens disorder)
조작적 조건형성에 기초함 / 부적응 행동은 잘못 학습된 결과로써 재학습시킴으로써 가능함
▶자폐증(autism)
- 중추신경계의 장애
- 잘 다듬어진 신호단서를 사용하면 즉각적이고 실제적인 재강화자와 함께 원하는 행동이 점차적으로 수정
- 과다한 떼씀, 공격적 행동은 가벼운 벌을 주거나 무시함
행동장애
(conduct disorder)
Patterson (1971)
- 부모들은 아동의 행동문제 (공격적, 파괴적, 적대행동, 떼씀)를 조절하기 위해 강압적 행동으로 반응
→ 오히려 아동의 잘못된 행동을 강화
- 자녀들의 사회수용적 혹은 비뚤어진 행동에 대해 보상과 무시 사용하여 긍정적 재강화와 소거 시도
- 토큰경제는 토큰을 사용하여 지속적 재강화의 조직적 사용으로 아이들의 사회수용적 행동 획득
집중력 부족-과활동
과다행동 아동 : 주위산만, 충동성 → 심한 운동활동과 가정이나 학교에서 적응문제 유발
바람직한 행동을 위해 조건적 재강화 사용 (ex> 자유시간)
Goden(1985) : 행동요법이 학업능률을 향상
Gittlemanetal(1983) : 약물투여 없이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독서능력 향상
소아과 질환과 행동요법
Epstein et al(1981) : 어린이의 당뇨병에 대한 피드백과 재강화 등을 사용한 교육중재 발달
→ 뇨당치 감소, 혈액투석 대상자에게 도움
Melamed와 Siegel(1975) : 수술 전 환아에게 입원상황과 치료절차에 잘 적응하는 아동에 대한 필름을 보여줌으로써 Modeling이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표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