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화기계
1. 구강 oral cavity
2. 인두 pharynx
3. 식도 esophagus
4. 위 stomach
5. 소장 small intestine
1) 십이지장 duodenum
2) 공장 jejunum
3) 회장 ileum
6. 대장 large intestine
1) 맹장 cecum
2) 결장 colon
3) 직장 rectum
II. 소화선 digestive gland
1. 간 liver
2. 담낭 및 담도 gall bladder & biliary tract
3. 췌장 pancreas
Ⅲ. 호흡기계 respiratory system
1. 코 Nose
2. 인두 Pharynx
3. 후두 Larynx
4. 기관 Trachea과 기관지 Bronchi
5. 폐Lung
6.흉막 Pleura
7. 종격 Mediastinum
8. 호흡의 과정
Ⅳ. 비뇨기계 Urinary system
1. 신장 (kidney)
2. 요관 (ureter)
3. 방광 (urinary bladder)
4. 요도 (urethra)
1. 구강 oral cavity
2. 인두 pharynx
3. 식도 esophagus
4. 위 stomach
5. 소장 small intestine
1) 십이지장 duodenum
2) 공장 jejunum
3) 회장 ileum
6. 대장 large intestine
1) 맹장 cecum
2) 결장 colon
3) 직장 rectum
II. 소화선 digestive gland
1. 간 liver
2. 담낭 및 담도 gall bladder & biliary tract
3. 췌장 pancreas
Ⅲ. 호흡기계 respiratory system
1. 코 Nose
2. 인두 Pharynx
3. 후두 Larynx
4. 기관 Trachea과 기관지 Bronchi
5. 폐Lung
6.흉막 Pleura
7. 종격 Mediastinum
8. 호흡의 과정
Ⅳ. 비뇨기계 Urinary system
1. 신장 (kidney)
2. 요관 (ureter)
3. 방광 (urinary bladder)
4. 요도 (urethra)
본문내용
4cm
·페저Base : 횡격막 위에 얹혀있음
·폐의 표면 : 늑골면/ 횡격면/ 종격면
·우폐 : 620g, 상·중·하엽(3면)
·좌폐 : 560g, 상·하엽(2면)
1)폐의 구역 : 폐의 기능적 단위로 독자적인 구역 기관지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일 뿐 아니라 동맥과 정맥도 구역별로 분리, 우폐 3엽 10구역 / 좌폐 2엽 10구역
2)호흡막
-얇고 넓을수록 확산 유리,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벽
-중격세포: 계면활성제 분비
-진애세포: 페포의 대식세포 먼지나 이물질 제거
※ 호흡단위 :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폐포, 폐는 공기로 가득찬 수백만개의 폐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가스교환에 필요한 큰 표면적을 제공한다. 폐포와 모세혈관사이에 있는 호흡막을 통과하여 산소는 폐포에서 모세혈관으로, 이산화탄소는 모세혈관에서 폐포로 이동한다.
6.흉막 Pleura
- 장측흉막 : 폐실질 표면에 밀착
- 벽측흉막 : 흉강내벽에 밀착
- 흉막강 : 두 흉막사이의 좁은 간극, 좌 우 한쌍
- 흉막액 : 흉막강 안에 있음, 폐의 확장, 수축시 마찰방지, 휸활유 역할
7. 종격 Mediastinum
- 좌우 흉막강 사이에 있는 흉각의 중앙부 전체
- 종격상부 : 기관, 식도, 흉선, 대동맥, 상대정맥
- 종격전부 : 흉선, 내흉동 정맥
- 종격중부 : 심장
- 종격후부 : 식도, 미주신경, 대동맥, 흉관
8. 호흡의 과정
1) 외호흡
- 외부의 공기가 폐포내로 들어가는 과정
- 폐포막을 통하여 폐포에 분포된 혈관내에 이동하는 과정
- 혈액내에서 일반 조직으로 이동되는 과정
2) 내호흡
- 전신의 모세혈관과 각 조직의 세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Ⅳ. 비뇨기계 Urinary system
- 구성 :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 역할 : 혈액에서 urine 성분을 걸러내어 배설시키는 것으로 정상인의 1일 배뇨량은 약 1.5ℓ이다.
동맥내의 혈압의 차에 의해 혈액내에서의 혈구, 지방 및 분자량이 큰 단백질을 제외 한 물, 포도당, 염류 및 요소 등이 보우만 낭에서 일단 걸러지는 량은 1일 배뇨량의 10배 인 15ℓ 가량이며, 대부분 세뇨관에서 2차 filtration을 통해 90% 이상이 재 흡수되고, 물 과 약간의 염류, 요소만이 urine으로 배설된다.
신장에서 생성된 urine은 요관의 규칙적인 연동운동에 의해 방광으로 흘러들어 오며, 4층 의 구조를 가진 근육성 장기인 방광은 400∼500㎖ 정도의 urine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뇨시킨다.
1. 신장 (kidney)
신장은 후복막강 장기 (retroperitonium organ)이며, 1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게130g, 길이 10∼15cm, 직경 5cm, 두께 3cm정도의 완두콩 형태를 하고 있다.
상극 (upper pole)은 약간 내측과 후측으로 기울어져 있어 앙와위(supine position)에서 뒤쪽으로 치우친 신장의 후ㆍ상극을, 복위(prone position)에서 하ㆍ전극을 보다 잘 관찰 할 수 있다.
신장의 위치는 제1요추에서 제4요추 높이에 있으며 보통 제2요추 횡돌기의 좌ㆍ우측에 신문 (renal hilum)이 있고 호흡에 따라 상ㆍ하 이동 폭이 5cm정도이다.
신문은 신장의 출입문으로 혈관 (vessels), 신경 (nerves), 신우 (renal pelvis) 등이 지난다. 신장은 외측의 신실질부 (renal parenchyma)와 내측의 신동부 (renal sinus)로 구분되며, 신실질부는 다시 외측의 피질 (cortex)과 내측의 수질 (medulla)로 구성된다.
신동부는 신배 (renal calyces), 신우 (renal pelvis), 신경 (nerves), 지방 및 근육 등으로 구성된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요(urine)는 8∼18개의 선모양의 집합관인 신추체에서 수집되어 소신배 (minor calyx)를 지나 대신배(major calyx)로 모이고, 이것이 신우(renal pelvis)를 형성하여 요관 (ureter)으로 이어진다.
2. 요관 (ureter)
요관은 신장에서 생성된 요 (urine)를 방광으로 이행시키는 관의 형태로 길이는 25∼30cm이다. 점막층, 근층, 섬유층의 벽 구조를 하고 있으며, 요의 배설시 연동운동에 의해 배출시킨다. 요관은 3군데의 생리적 협착부 (phygiological constriction)가 있다. 즉, 신우와 요관이 이행하는 부위의 좁은부분을 요관신우 이행부 (UPJ)라고 하고, 좌ㆍ우 총장골정맥의 주행과 요관의 주행이 교차하는 부위의 좁은 부분을 요관총장골정맥 교차부 (bifurcation of the iliac vessels), 라고 하며, 요관에서 방광으로 진입하는 부분의 좁은 부위를 요관방관저 이행부 (UVJ), 라고 한다. 이들 부위에 신결석 (renal stone)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으로 수신증 (hydronephrosis)이 호발한다.
3. 방광 (urinary bladder)
방광은 요 (urine)를 저장하고 배출키는 장기로 용량은 500ml이며, 보통 250∼300ml가 차면 요의를 느낀다.
벽 구조는 점막 (mucosal layer), 점막하층 (submucosal layer). 근층 (muscular layer), 장막층 (serosa)으로 되어 있고 근층의 발달로 수축과 이완성이 뛰어나다.
방광의 위치는 여성의 경우 자궁 (uterus)의 전방에 있고 남성은 직장의 전방, 전립선 (prostate)의 상부에 있다. 따라서 방광 조영 검사는 자궁과 전립선의 이상소견을 반영한다.
4. 요도 (urethra)
요도는 괄약근 형태의 좁은 근점막관이며 방광의 요 (urine)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한다. 여성은 3∼4cm, 남성은 15∼20cm로 여성의 경우 요도의 길이가 짧아 방광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 참고 문헌 -
성인간호학 Ⅰ,Ⅱ, 이향련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실습, 손정태 외, 현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상 하, 김명자 외(2001), 현문사
기본간호의 실제, 송경애 외(2001), 현문사
·페저Base : 횡격막 위에 얹혀있음
·폐의 표면 : 늑골면/ 횡격면/ 종격면
·우폐 : 620g, 상·중·하엽(3면)
·좌폐 : 560g, 상·하엽(2면)
1)폐의 구역 : 폐의 기능적 단위로 독자적인 구역 기관지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일 뿐 아니라 동맥과 정맥도 구역별로 분리, 우폐 3엽 10구역 / 좌폐 2엽 10구역
2)호흡막
-얇고 넓을수록 확산 유리,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벽
-중격세포: 계면활성제 분비
-진애세포: 페포의 대식세포 먼지나 이물질 제거
※ 호흡단위 :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폐포, 폐는 공기로 가득찬 수백만개의 폐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가스교환에 필요한 큰 표면적을 제공한다. 폐포와 모세혈관사이에 있는 호흡막을 통과하여 산소는 폐포에서 모세혈관으로, 이산화탄소는 모세혈관에서 폐포로 이동한다.
6.흉막 Pleura
- 장측흉막 : 폐실질 표면에 밀착
- 벽측흉막 : 흉강내벽에 밀착
- 흉막강 : 두 흉막사이의 좁은 간극, 좌 우 한쌍
- 흉막액 : 흉막강 안에 있음, 폐의 확장, 수축시 마찰방지, 휸활유 역할
7. 종격 Mediastinum
- 좌우 흉막강 사이에 있는 흉각의 중앙부 전체
- 종격상부 : 기관, 식도, 흉선, 대동맥, 상대정맥
- 종격전부 : 흉선, 내흉동 정맥
- 종격중부 : 심장
- 종격후부 : 식도, 미주신경, 대동맥, 흉관
8. 호흡의 과정
1) 외호흡
- 외부의 공기가 폐포내로 들어가는 과정
- 폐포막을 통하여 폐포에 분포된 혈관내에 이동하는 과정
- 혈액내에서 일반 조직으로 이동되는 과정
2) 내호흡
- 전신의 모세혈관과 각 조직의 세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Ⅳ. 비뇨기계 Urinary system
- 구성 :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 역할 : 혈액에서 urine 성분을 걸러내어 배설시키는 것으로 정상인의 1일 배뇨량은 약 1.5ℓ이다.
동맥내의 혈압의 차에 의해 혈액내에서의 혈구, 지방 및 분자량이 큰 단백질을 제외 한 물, 포도당, 염류 및 요소 등이 보우만 낭에서 일단 걸러지는 량은 1일 배뇨량의 10배 인 15ℓ 가량이며, 대부분 세뇨관에서 2차 filtration을 통해 90% 이상이 재 흡수되고, 물 과 약간의 염류, 요소만이 urine으로 배설된다.
신장에서 생성된 urine은 요관의 규칙적인 연동운동에 의해 방광으로 흘러들어 오며, 4층 의 구조를 가진 근육성 장기인 방광은 400∼500㎖ 정도의 urine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뇨시킨다.
1. 신장 (kidney)
신장은 후복막강 장기 (retroperitonium organ)이며, 1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게130g, 길이 10∼15cm, 직경 5cm, 두께 3cm정도의 완두콩 형태를 하고 있다.
상극 (upper pole)은 약간 내측과 후측으로 기울어져 있어 앙와위(supine position)에서 뒤쪽으로 치우친 신장의 후ㆍ상극을, 복위(prone position)에서 하ㆍ전극을 보다 잘 관찰 할 수 있다.
신장의 위치는 제1요추에서 제4요추 높이에 있으며 보통 제2요추 횡돌기의 좌ㆍ우측에 신문 (renal hilum)이 있고 호흡에 따라 상ㆍ하 이동 폭이 5cm정도이다.
신문은 신장의 출입문으로 혈관 (vessels), 신경 (nerves), 신우 (renal pelvis) 등이 지난다. 신장은 외측의 신실질부 (renal parenchyma)와 내측의 신동부 (renal sinus)로 구분되며, 신실질부는 다시 외측의 피질 (cortex)과 내측의 수질 (medulla)로 구성된다.
신동부는 신배 (renal calyces), 신우 (renal pelvis), 신경 (nerves), 지방 및 근육 등으로 구성된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요(urine)는 8∼18개의 선모양의 집합관인 신추체에서 수집되어 소신배 (minor calyx)를 지나 대신배(major calyx)로 모이고, 이것이 신우(renal pelvis)를 형성하여 요관 (ureter)으로 이어진다.
2. 요관 (ureter)
요관은 신장에서 생성된 요 (urine)를 방광으로 이행시키는 관의 형태로 길이는 25∼30cm이다. 점막층, 근층, 섬유층의 벽 구조를 하고 있으며, 요의 배설시 연동운동에 의해 배출시킨다. 요관은 3군데의 생리적 협착부 (phygiological constriction)가 있다. 즉, 신우와 요관이 이행하는 부위의 좁은부분을 요관신우 이행부 (UPJ)라고 하고, 좌ㆍ우 총장골정맥의 주행과 요관의 주행이 교차하는 부위의 좁은 부분을 요관총장골정맥 교차부 (bifurcation of the iliac vessels), 라고 하며, 요관에서 방광으로 진입하는 부분의 좁은 부위를 요관방관저 이행부 (UVJ), 라고 한다. 이들 부위에 신결석 (renal stone)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으로 수신증 (hydronephrosis)이 호발한다.
3. 방광 (urinary bladder)
방광은 요 (urine)를 저장하고 배출키는 장기로 용량은 500ml이며, 보통 250∼300ml가 차면 요의를 느낀다.
벽 구조는 점막 (mucosal layer), 점막하층 (submucosal layer). 근층 (muscular layer), 장막층 (serosa)으로 되어 있고 근층의 발달로 수축과 이완성이 뛰어나다.
방광의 위치는 여성의 경우 자궁 (uterus)의 전방에 있고 남성은 직장의 전방, 전립선 (prostate)의 상부에 있다. 따라서 방광 조영 검사는 자궁과 전립선의 이상소견을 반영한다.
4. 요도 (urethra)
요도는 괄약근 형태의 좁은 근점막관이며 방광의 요 (urine)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한다. 여성은 3∼4cm, 남성은 15∼20cm로 여성의 경우 요도의 길이가 짧아 방광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 참고 문헌 -
성인간호학 Ⅰ,Ⅱ, 이향련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실습, 손정태 외, 현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상 하, 김명자 외(2001), 현문사
기본간호의 실제, 송경애 외(2001), 현문사
추천자료
운동생리학 - 에너지 시스템의 분류 및 이용
간,담도,췌장의 구조 기능 생리
인체기관 - AVF
운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외부환경온도변화에 따른 항온성 동물 생체내의 행동적, 생리적 변화와 체온조절 기작
[남성][여성][남성과 여성 비교][성욕차이][성생리차이][피임방법][성반응][성심리양상]남성...
해부학 정리-심혈관,림프계,소화계
골격계와 근육계의 이해 (뼈의 생리적인작용, 뼈의기본적인구조, 뼈의발생과성장, 골격근의 ...
인체 관절계
해부학실습 - 흰쥐[Rat해부] 해부
[신경해부학, 신경로, 뇌, 외상성뇌손상, 척수병변, 해부학, 신경, 신경해부]신경해부학과 신...
THRA PPT Anatomy 와 관련질환 수술방법
[동물비교해부학실험] 연체동물(대합, 오징어)의 해부 (예비레포트)
<성인간호학>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및 병태생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