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산주의
2. 사회주의
3. 사회민주주의
4. 칼 맑스
5. 엥겔스
6. 레닌
7. 카우츠키
8. 그람시와 헤게모니
9. 알튀세르의 억압적 국가기구,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10. 토대와 상부구조
11. 사적 유물론
12. 잉여가치
2. 사회주의
3. 사회민주주의
4. 칼 맑스
5. 엥겔스
6. 레닌
7. 카우츠키
8. 그람시와 헤게모니
9. 알튀세르의 억압적 국가기구,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10. 토대와 상부구조
11. 사적 유물론
12. 잉여가치
본문내용
로 의식된 때 잉여가치를 이윤이라고 한다. 이윤은 이 잉여가치가 전화(轉化)된 현상(現想)상태이다. 산업자본가가 얻는 산업이윤, 상업자본가가 얻는 상업이윤, 대부자본가가 얻는 이자, 지주가 얻는 지대는 이 잉여가치를 원천으로 하여, 이것이 분할된 것이라 볼 수밖에 없다.
자본제적(資本制的) 생산의 규정적 목적은 잉여가치의 생산인데, 이 잉여가치는 산업자본가에게 고용된 노동자의 노동에 의해 생산과정에서 생산되는 것이다. K.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경제적 사회구조를 구별하는 것은 이 잉여노동이 직접생산자·노동자로부터 착취되는 형태 바로 그것이다’ 라고 정의하고, ‘고대 노예제 사회에서 근대자본주의 사회에 이르는 각 사회에서의 잉여노동은 각기 그 사회에 속하는 생산수단의 소유자에게 취득되었다’고 하였다.
자본제적(資本制的) 생산의 규정적 목적은 잉여가치의 생산인데, 이 잉여가치는 산업자본가에게 고용된 노동자의 노동에 의해 생산과정에서 생산되는 것이다. K.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경제적 사회구조를 구별하는 것은 이 잉여노동이 직접생산자·노동자로부터 착취되는 형태 바로 그것이다’ 라고 정의하고, ‘고대 노예제 사회에서 근대자본주의 사회에 이르는 각 사회에서의 잉여노동은 각기 그 사회에 속하는 생산수단의 소유자에게 취득되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