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견 배변훈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용변 가리기

2.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시기

3. 배변 훈련의 기본 규칙

4. 집중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시기

5. 규칙적인 식사 습관들이기

6. 실외 배변 훈련

7. 실내 배변 훈련

8. 배변 훈련의 문제점과 해결법

본문내용

러워진 종이 중의 한 장을 남겨 새 종이 위에 다시 깔아놓는다. 배설물 냄새가 개를 같은 장소로 유인할 것이다. 개가 종이에다 배설하는 법을 배우자마자, 개가 식사를 마치면 약간 떨어진 곳에 데려다 놓고 “이리 온” 하고 부르면서 신문지가 있는 곳으로 유도한다. 익숙해지면 종이를 까는 공간의 크기를 줄이기 시작한다. 개가 한 번이라도 종이를 깔아놓은 장소가 아닌 곳에서 배설한다면 훈련 과정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3) 상자 훈련법
작은 개에게 실내 화장실 훈련 대신 고양이처럼 작은 상자에 배설하도록 훈련시키는 것 역시 실용적인 방법이다. 신문지 조각이나 흡수성 있는 물질로 상자를 채워 사용하는 편이 배설물로 더러워진 종이 더미가 부엌 바닥을 굴러다니는 것 보다 미관상 훨씬 낫다. 화장실 상자로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것은 비누와 뜨거운 물로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무거운 플라스틱으로 만든 상자이다.
상자 훈련법은 실외 배변 훈련과 같다. 그러나 집 밖으로 데려가지 않고 상자로 데리고 가서 배설하게 한다. 실외 배변 훈련과 마찬가지로 계획에 맞춰 상자로 데려가 준다.
개가 상자를 사용하도록 유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개의 배변이 묻은 신문지 조각을 넣어주거나 소량의 배설물을 남겨두는 것이다. 처음 몇 번은 개를 우리에서 꺼내 화장실 상자로 들고 와서 몇 분 동안 놔둔다. 냄새를 맡게 하면서 상자로 유인한다. 개가 가만히 있으면 우리에 10~15분 정도 가둬둔 다음 다시 화장실로 데려간다. 그래도 배설하지 않으면 또다시 15분간 우리에 가둔다. 배설하지 않는다고 10분 이상 화장실 상자 속에 개를 놔두면 안 된다.
개가 배설 욕구를 느낄 때마다 화장실로 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개가 처음에 상자에 배설하지 못하면 개의 직장에 젖먹이용 글리세린 좌약을 삽입해서 약효가 있을 때까지 몇 분 간 개를 화장실 위에 두어도 좋다. (젖먹이용 좌약은 개에게 해롭지 않다.) 몇 번만 좌약을 사용하면 개가 화장실 상자와 배설 작용을 연관 지을 것이다. 냄새를 없애려면 딱딱한 배설물은 즉시 없애야 한다.(신문지 대신 흙으로 상자를 채웠다면 배설물을 즉시 퍼내서 변기에 내려 보내라.) 일주일에 한 번씩 상자를 깔끔하게 문질러 닦으면 좋다. 개는 배설물 냄새로 유도되기도 하지만, 배설물 범벅이 된 종이나 상자 바닥을 걷거나 불쾌할 정도로 더러운 상자 안에는 들어가려 하지 않을 것이다.
8. 배변 훈련의 문제점과 해결법
1) 질병
① 원인
㉠ 집안에 배뇨와 배변을 둘 다 할 경우는 신경원성 실금(incontinence)외에 다른 질병은 원인이 되기 힘들다.
㉡ 종종 빈뇨증(pollakiuria)을 일으키는 방광염과 기타 질병이 있을 때 집안에서 배뇨한다.
㉢ 위장관계의 이상(예, 설사)이 있을 때 집안에 배변하게 된다.
② 치료와 관리
㉠ 부적절한 배뇨에 대해 뇨분석, 뇨배양, ± 방사선 촬영
㉡ 배변 문제에 대해 변검사
2) 공포로 인한 배설
① 원인
:동물은 공포를 유발하는 자극에 반응하여 자주 배설을 할 수도 있다.
② 치료와 관리
㉠ 불안의 원인 제거와 둔감화 전환훈련
㉡ 불안억제약품도 도움이 될 수 있다.
3) 길들이기 미숙
① 원인
:집에 길들여지지 않은 개는 일반적으로 집안에서 오줌이나 똥을 참지 못한다.
현상으로는 종종 강아지 때부터 집안에 배설을 하고 보통 주인이 부재여부와 관련 없다. 배설은 개가 알맞은 장소에 마지막으로 배설한 후부터의 시간과 관련이 있다. 뇨와 변은 한곳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고 한 번에 많은 양의 오줌을 눈다.
② 치료와 관리
㉠ 개를 관찰하고 있다가 개가 배설할 것처럼 보일 때마다 적합한 장소로 데리고 간다.
㉡ 개를 관찰할 수 없으면 작은 면적에 제한시켜 둔다.
㉢ 실외 훈련 시는 자주 산책시켜서 밖에서 배설하기를 좋아하게 만들 충분한 기회를 준다.
㉣ 개가 아무 곳에나 배설하는 것을 보면 즉시 벌(예, 크게 소리치기)을 주는 것이 좋다. 일초라도 늦게 벌을 주는 것은 비효과적이다. 물리적 벌은 불필요하다.
㉤ 개가 적합한 장소에 배설했을 때 칭찬해주거나 맛있는 음식을 조금씩 주어 보상한다.
㉥ 집안의 특정한 장소에 배설하는 경우는 먹이를 그 장소에 두거나 싫어하는 냄새를 뿌려서 개의 접근을 막는다.
4) 격리 불안
① 원인
:주인과 떨어져 있을 때 불안을 느끼는 개들은 혼자만 남겨 두면 종종 배설을 하게 된다.
② 치료와 관리
㉠ 개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서 점점 혼자 있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해야 한다.
㉡ 점점 혼자 있는 시간은 늘리면서 불안하게 하지 않는다.
㉢ 불안억제제는 치료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5) 영역 표시행위
① 원인
:보통 성숙한 수컷이 종 특이적으로 다리를 드는 자세로 수직인 물체에 대고 하는 배뇨는 밖이나 때로는 집에서 자주 볼 수 있다.
② 치료와 관리
㉠ 거세는 나이나 문제기간에 상관없이 이 행습을 줄이는 데 50%의 효과가 있다.
㉡ 개가 뇨로 영역표시를 시작하려고 할 때 꾸준하고 즉각적인 벌을 주면 주인이 있을 때 는 그 행습을 막을 수 있다.
㉢ 뇨로 한 장소나 서너 장소에만 영역표시를 할 경우는 그 장소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거나 그 장소에 영역표시하기를 싫어하게 만든다(예, 먹이 주는 곳으로 바꿈).
6) 복종성 배뇨
① 원인
:이것은 강아지나 나이 어린 성견에서 사람과 개가 인사할 때, 또는 주인이 지배적 신호(예, 응시하기, 심하게 꾸짖을 때)시에 자주 나타난다. 배뇨는 개의 복종성 정상적인 현상이다.
② 치료와 관리
㉠ 유발하는 자극을 알아내서 피한다(예, 집에 들어가자마자 아는 척하거나 손을 뻗지 않는다.) 예전에 그 행습을 유발했던 상황에서 배뇨를 하지 못하게 기립자세로 전환훈련을 시킨다.
㉡ 개가 인사하는 행습을 장난으로 전환시킨다(예, 들어서자마자 개에게 공을 던진다).
㉢ 벌은 금기사항이다.
7) 흥분성 배뇨
① 원인
:어떤 개들은 흥분할 때(인사하거나 장난할 때) 보통 오줌을 몇 방울씩 흘린다.
② 치료와 관리
㉠ 흥분을 유발하는 자극을 알아내어 가능한 피한다.
㉡ 흥분을 유발하는 자극에 대한 반응을 전환훈련 시켜서 습관화시킨다.
㉢ 벌이나 포상은 효과가 없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4.0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