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리학적 심리학
2. 실험 심리학
3. 형이상학적 심리학
4. Giuseppe sergi (주세페 세르기)
5. 교육과 교수 (Educazione ed Instruzione)
6. 교육인류학
7. 개인조사표 (biographical chart)
8. 인체측정학
9. 교육위생학
10. Lombroso (롬브로소)
11. De Giovanni (드 조반니)
12. 범죄인류학
2. 실험 심리학
3. 형이상학적 심리학
4. Giuseppe sergi (주세페 세르기)
5. 교육과 교수 (Educazione ed Instruzione)
6. 교육인류학
7. 개인조사표 (biographical chart)
8. 인체측정학
9. 교육위생학
10. Lombroso (롬브로소)
11. De Giovanni (드 조반니)
12. 범죄인류학
본문내용
인류학 교수로서 생물학적 근거에 신뢰를 갖고 인체 해부학적인 자료를 통한 여러 가지 해부학적 신체적 특징으로 범죄를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와 같이 롬브로소는 범죄자들에게는 그들의 독특한 신체적 특성과 정신적 특성이 있으며 태어날 때부터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선천적 범죄성향이 내재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이들의 범죄사실에 초점을 두어 처벌하기 보다는 범죄예방 차원에서 사회개혁과 환경개선을 통해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롬브로소의 강의를 통해 몬테소리는 이간이해의 기초로서 생물학적 근거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그녀의 최초의 저서인 <교육학적 인류학> 안에서 종종 인용되고 있는 롬브로소는 몬테소리 교육사상에 있어서 ‘정상’과 ‘이상’의 개념과 환경에 의한 ‘정상화’라고 하는 교육학적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11. De Giovanni (드 조반니)
이탈리아 학자로 의학적 인류학의 선구자이다.
12. 범죄인류학
범죄인을 인류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탈리아의 정신의학자인 C.롬브로소(근대 형법이론의 창시자)가 ‘생래적 범죄인’의 이론을 주장하여 그 기초를 세웠고 페리, 가로팔로 등이 이에 동조하였는데 이탈리아학파 라고도 한다. 롬브로소의 생래적 범죄인설은 오늘날 부인되고 있으나 형벌개별화의 기초가 되었고, 범죄생물학적 연구의 선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13. 의학적 인류학
의학적 인류학이란 질병에 대한 관념 및 원인, 진단과 치유 등 의료와 관련된 신앙, 지식, 논리, 기술, 사회지식 등을 문화나 사회의 전체적 맥락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인류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이와 같이 롬브로소는 범죄자들에게는 그들의 독특한 신체적 특성과 정신적 특성이 있으며 태어날 때부터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선천적 범죄성향이 내재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이들의 범죄사실에 초점을 두어 처벌하기 보다는 범죄예방 차원에서 사회개혁과 환경개선을 통해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롬브로소의 강의를 통해 몬테소리는 이간이해의 기초로서 생물학적 근거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그녀의 최초의 저서인 <교육학적 인류학> 안에서 종종 인용되고 있는 롬브로소는 몬테소리 교육사상에 있어서 ‘정상’과 ‘이상’의 개념과 환경에 의한 ‘정상화’라고 하는 교육학적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11. De Giovanni (드 조반니)
이탈리아 학자로 의학적 인류학의 선구자이다.
12. 범죄인류학
범죄인을 인류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탈리아의 정신의학자인 C.롬브로소(근대 형법이론의 창시자)가 ‘생래적 범죄인’의 이론을 주장하여 그 기초를 세웠고 페리, 가로팔로 등이 이에 동조하였는데 이탈리아학파 라고도 한다. 롬브로소의 생래적 범죄인설은 오늘날 부인되고 있으나 형벌개별화의 기초가 되었고, 범죄생물학적 연구의 선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13. 의학적 인류학
의학적 인류학이란 질병에 대한 관념 및 원인, 진단과 치유 등 의료와 관련된 신앙, 지식, 논리, 기술, 사회지식 등을 문화나 사회의 전체적 맥락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인류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추천자료
[문화인류학의 이해 감상문] 헤르만헤세의 인도여행을 읽고...
[인류학졸업논문]현대 한국인의 민간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점`을 중심으로)
[문화인류학]사회통제와 정치조직
[문화인류학과 졸업논문]무속신앙에 나타난 여성의 지위와 상징성
[지구촌문화인류학] 에펠탑의 의미 변화
블레이드러너 인류학적으로
[문화인류학] 문화상대주의에 관한 경험 사례
[문화인류학] 티위사람들 - 티위사람들 요약
[문화인류학] 간디 자서전 - 진짜 ‘사람’이 되자
[선교문화인류학] Ⅸ. 연구조사방법
[선교문화인류학] Ⅷ. 교차문화 & Ⅷ. 교차문화 전달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 의례, 계급, 공동체 -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가문과 사회적 연망
[문화인류학 서평] 사라진 순수함 - 티위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