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통적 인사고과와 현대적 인사고과
Ⅱ. BARS의 의의 및 특징
Ⅲ. BARS의 개발단계
Ⅳ. BARS의 기대효과
Ⅴ. 행위기준고과법의 장.단점
Ⅵ. 새로운 대안으로 행위관찰고과법(BOS)
Ⅱ. BARS의 의의 및 특징
Ⅲ. BARS의 개발단계
Ⅳ. BARS의 기대효과
Ⅴ. 행위기준고과법의 장.단점
Ⅵ. 새로운 대안으로 행위관찰고과법(BOS)
본문내용
.
BOS는 고과자에게 평가의 기준점으로 제시된 구체적인 행위에 대해서 피고과자가 수행한 빈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BARS와 차이
BARS는 피고과자의 행위가 바람직한지 아닌지에 대해 혹은 열등한 업적인지 아니면 우수한 업적인지를 결정, 점수화하였으나 BOS는 각 행동문안에 대해 피고과자의 행위빈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있다.
(EX: 그렇지 않다 1 2 3 4 5 항상 그렇다)
3. 장단점
1) 장점
가) 관리자들의 고과에 대해 호의적이고 만족도가 높다.
(인적특성에 대한 시비거리가 줄어들고 특정항목의 낮은 점수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가질 수 있다.)
나) 고과결과의 피드백이 향상된다.
2) 단점
개발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여전히 평가의 신뢰성 문제소지를 안고 있다.
BOS는 고과자에게 평가의 기준점으로 제시된 구체적인 행위에 대해서 피고과자가 수행한 빈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BARS와 차이
BARS는 피고과자의 행위가 바람직한지 아닌지에 대해 혹은 열등한 업적인지 아니면 우수한 업적인지를 결정, 점수화하였으나 BOS는 각 행동문안에 대해 피고과자의 행위빈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있다.
(EX: 그렇지 않다 1 2 3 4 5 항상 그렇다)
3. 장단점
1) 장점
가) 관리자들의 고과에 대해 호의적이고 만족도가 높다.
(인적특성에 대한 시비거리가 줄어들고 특정항목의 낮은 점수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가질 수 있다.)
나) 고과결과의 피드백이 향상된다.
2) 단점
개발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여전히 평가의 신뢰성 문제소지를 안고 있다.
추천자료
[인사행정][인사행정개혁]인사행정제도의 변천, 인사행정제도의 정의, 인사행정제도의 특징, ...
근로관계 종료 후 근로자 보호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금지에 대한 검토
근로시간 보호 규정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사용자 개념의 확대 문제를 중심으로 한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개념에 대한 연구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산재보상과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민사 손해배상 등과의 관계에 대한 법적 검토
쟁의행위와 제3자에 대한 책임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취업규칙 전반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공정거래법A형)2001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시장지배적사업자의 지위남용행위에 대한 판례와...
비만의 판정 -적합한 비만판정 기준에 대한 견해(체지방 측정법, BMI 등)
쟁의행위의 목적의 정당성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행정행위의 부관에 대한 연구 (행정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