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해의 의의
2. 화해의 창설적 효력
3. 화해와 착오의 관계
4. 화해와 후발손해와의 관계
2. 화해의 창설적 효력
3. 화해와 착오의 관계
4. 화해와 후발손해와의 관계
본문내용
실하게 파악되지 않는 상황 아래에서 조급하게 적은 금액을 받고 그와 같은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피해자가 포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은 그 당시에 예측이 가능한 손해에 대한 것뿐이지 예상할 수 없었던 치료비나 후유증이 그 후에 생긴 경우의 그 손해에 대하여서까지 배상청구권을 포기했다고 해석할 것은 아니다(동지, 대판 2000.3.23. 99다63176).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법상 탈북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국가의 영화정책에 따른 한국영화산업의 변화에 관한 연구
행정상 신뢰보호원칙의 효력에 관한 사례 조사
호주제에 관한 법률적 정당성 고찰
[민법]실종선고(失踪宣告)제도에 대한 검토
여성과 법에 관한 고찰
[물권법]공시의 원칙과 공신의 원칙에 대한 검토
의무교육에 관한 모든 내용 정리
노동관계법상 연봉계약기간과 근로계약의 기간과의 관계 검토
무역계약에 관한 클레임 사례
전쟁과 평화에 대한 기억의 차이와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
노동법상 부당해고에 대한 노동위원회와 법원의 구제 검토
노조법상 노동위원회를 통한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