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주기&자궁내막주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난소주기 정의

- 병태생리
(그림참조)

- 난소주기, 자궁주기와 호르몬에 관한 cycle (그림 참조)
(난포기-배란-황체기, 그리고 거기에따른 기초체온의 변화)

- 자궁내막주기 정의

- 월경후기 - 증식기 - 분비기 - 월경전기 - 월경기

-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 각각에 따른 설명 그리고 그림참고

본문내용

된다. 선조직은 넓고 굴곡이 심해져서 주름이 형성된 듯이 보이며 간질은 부종이 심하고 내막의 혈관들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자궁내막은 치밀층, 스폰지층 및 기저층의 3층으로 구별된다
월경전기의 내궁내막
7. 월경전기에 볼 수 있는 자궁내막의 3층 구조
월경전기의 자궁내막은 다음과 같이 3층으로 구별된다.
1. 자궁내막의 상 1/3층은 모양이 치밀해 보이고 간질세포는 비대한 반면 선조직은 좁은 목을 보인다. 이 부분을 치밀층(compact layer)이라고 부른다.
2. 자궁내막의 중 1/3층은 분비선이 확장되고 굴곡이 심한 반면 이들 선조직 사이 의 간질은 매우 빈약하다. 이 부분을 스폰지층(spongy layer)이라고 부른다.
3. 자궁내막의 하 1/3층은 분비선이 자라는 기저부이며 간질이 치밀하게 있는 부위이다. 이 부분을 기저층(basal layer)이라고 부른다.
- 월경 시에는 윗 부분의 2/3, 즉 치밀층과 스폰지층이 탈락하는데 이 두 층을 합하여 기능층(functional zone)이라고 부른다.
8. 월경기(Menstrual phase)
자궁내막에 수정난이 착상하지 않으면 황체의 기능은 쇠퇴해지고 따라서 황체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내막 조직의 30-50%가 퇴축하고 자궁내막에서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하여 자궁내막의 나선 소동맥(spiral arteriole)은 수축을 일으킨다.
자궁내막의 혈관수축으로 인하여 혈관의 정체가 생기고 조직에는 빈혈이 생긴다. 따라서 조직은 괴사하고 나선 소동맥의 혈관은 파열되어 내막조직의 소실과 출혈이 나타난다. 이것이 월경의 시작이다
월경 첫날에는 조직의 손상은 소량이며 단편적으로 나타나지만 점차적으로 자궁내막은 전체적이고 동시성이고 그리고 조직적으로 치밀층과 스폰지층이 모두 탈락된다.
월경혈은 섬유소용해에 의하여 즉시 액화되기 때문에 자궁 밖으로 나온 월경혈은 응고되지 않는다.
자궁내막의 나선동맥
9. 월경시작후 월경이 멈추는 기전과 자궁내막의 복구
일단 출혈과 조직탈락이 일어나면, 자궁내막에는 지혈과 내막의 복구가 뒤따른다. 이때 월경 출혈을 지혈시키는 기전은 다음과 같다.
1. 자궁내막의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한 혈관수축 작용
2. 표면 상피(surface epithelium)의 재생: 표면 상피의 재생은 선조직의 단절된 끝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간질세포가 표피 세포로의 화생(metaplasia)에 의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11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