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치의 종류
2. 김치의 재료
3. 김치의 숙성
4. 김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2. 김치의 재료
3. 김치의 숙성
4. 김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본문내용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주식인 쌀밥과 김치를 함께 섭취할 경우 서양 식단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칼슘과 인의 결핍이 우리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고추, 파, 배추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는 케로틴은 신체 내에서 비타민 A로 작용하며, 고추, 무, 배추, 파에는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김치를 통해 섭취하는 케로틴과 비타민 C는 상당량이 된다.
-젓갈의 역할
: 해산물을 원료로 해서 한차례 숙성의 과정을 거친 젓갈은 김치의 숙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한편,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또한 활발하게 해주어 김치의 감칠맛을 향상시키고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준다.
-김치의 비타민 성분
: 김치의 숙성에 따른 비타민 함량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 결과, 김치는 담근 직후보다 숙성의 완숙기에 이르렀을 때 가장 높은 비타민 함량을 보였다고 한다. 비타민 B1과 B2의 함량은 김치를 담근 직후에는 날 것의 채소보다 약간 감소되었다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김치 맛이 가장 좋은 3주째에는 처음 함량의 2배까지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경우도 역시 숙성 초기에는 약간 감소 추세를 보인 후 다시 증가하여 숙성 2주째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고 한다.
-김치 유산균의 효능
: 정장작용 ; 김치 전체의 정장 작용은 원래 김치 속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물질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김치의 유산균은 김치 발효 중에 아세칠 콜린의 생합성에 관여하고 이 성분이 유산과 함께 장내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시키면서 미생물의 분포를 정상화시키게 된다.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덱스트란 역시 식이섬유소로서 장내 소화물질의 이동을 도와서 장내 청소를 해주는 것이다.
항균작용 ; 김치의 유산균은 다른 바람직하기 않은 균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작용은 먼저 발효에 의해서 생성된 유산에 의해서 병원균등의 생육을 억제한다고 할 수 있고 또 하나는 유산균이 분비하는 박테리오신이 라는 것이 항균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이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활발하여 앞으로 크게 기대된다.
-장염, 결장염 예방
: 김치 원료가 되는 채소는 자체에 다량의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이나, 결장염 같은 질병을 예방해 준다.
-산중독증 예방
: 김치는 육류나 산성식품 과잉 섭취 시 혈액의 산성화로 발생되는 산중독증을 예방해주는 알칼리성 식품공급원이다.
-항동맥경화 및 항산화 항노화
: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김치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키고 Fibrin을 분해하는 활성을 가져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흰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김치 섭취는 간의 지방질 농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Phenolic 화합물, 클로로필 등의 활성성분에 의해항산화작용을 거치므로 노화를 억제하는데, 특히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김치의 항암효과
: 김치의 주재료로 쓰이는 배추 등의 채소는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고, 마늘은 위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마늘은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음식의 재료로 쓰이는데 특히, 김치에서 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재료이다.
-생리대사 활성화 효과
: 김치의 주 부재료인 고춧가루에는 캡사이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작용을 도와주며 비타민 A와 C의 함유량도 많아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마늘에 들어있는 스코리지닌은 스테미너 증진효과가 있으며 알리신 성분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촉진하여 생리대사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함유되어있는 진저롤은 식욕증진 및 혈액순환에 좋은 효과가 있다.
-젓갈의 역할
: 해산물을 원료로 해서 한차례 숙성의 과정을 거친 젓갈은 김치의 숙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한편,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또한 활발하게 해주어 김치의 감칠맛을 향상시키고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준다.
-김치의 비타민 성분
: 김치의 숙성에 따른 비타민 함량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 결과, 김치는 담근 직후보다 숙성의 완숙기에 이르렀을 때 가장 높은 비타민 함량을 보였다고 한다. 비타민 B1과 B2의 함량은 김치를 담근 직후에는 날 것의 채소보다 약간 감소되었다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김치 맛이 가장 좋은 3주째에는 처음 함량의 2배까지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경우도 역시 숙성 초기에는 약간 감소 추세를 보인 후 다시 증가하여 숙성 2주째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고 한다.
-김치 유산균의 효능
: 정장작용 ; 김치 전체의 정장 작용은 원래 김치 속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물질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김치의 유산균은 김치 발효 중에 아세칠 콜린의 생합성에 관여하고 이 성분이 유산과 함께 장내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시키면서 미생물의 분포를 정상화시키게 된다.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덱스트란 역시 식이섬유소로서 장내 소화물질의 이동을 도와서 장내 청소를 해주는 것이다.
항균작용 ; 김치의 유산균은 다른 바람직하기 않은 균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작용은 먼저 발효에 의해서 생성된 유산에 의해서 병원균등의 생육을 억제한다고 할 수 있고 또 하나는 유산균이 분비하는 박테리오신이 라는 것이 항균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이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활발하여 앞으로 크게 기대된다.
-장염, 결장염 예방
: 김치 원료가 되는 채소는 자체에 다량의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이나, 결장염 같은 질병을 예방해 준다.
-산중독증 예방
: 김치는 육류나 산성식품 과잉 섭취 시 혈액의 산성화로 발생되는 산중독증을 예방해주는 알칼리성 식품공급원이다.
-항동맥경화 및 항산화 항노화
: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김치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키고 Fibrin을 분해하는 활성을 가져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흰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김치 섭취는 간의 지방질 농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치는 비타민 C, β-carotene, Phenolic 화합물, 클로로필 등의 활성성분에 의해항산화작용을 거치므로 노화를 억제하는데, 특히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김치의 항암효과
: 김치의 주재료로 쓰이는 배추 등의 채소는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고, 마늘은 위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마늘은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음식의 재료로 쓰이는데 특히, 김치에서 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재료이다.
-생리대사 활성화 효과
: 김치의 주 부재료인 고춧가루에는 캡사이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작용을 도와주며 비타민 A와 C의 함유량도 많아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마늘에 들어있는 스코리지닌은 스테미너 증진효과가 있으며 알리신 성분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촉진하여 생리대사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함유되어있는 진저롤은 식욕증진 및 혈액순환에 좋은 효과가 있다.
추천자료
세계적인 음식 김치
중국 시장에서 우리 김치의 마케팅 전략
마케팅 원론- 종갓집 김치 성공 사례 분석
[식품과영양]우리나라 김치의 섭취실태 및 기호도 조사
기술경영 사례 보고서 - 김치냉장고 “딤채”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의 식품학적 가치 및 기능성에 대한 고찰
(식생활과문화 A형)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의 식품학적 가치 및 기능성에 대하여
[공학법제] 국내개발품의 특허 사례(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 방법)
한∙중∙일 삼국의 ≪김치분쟁≫에 관한 고찰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의 식품학적 가치 및 기능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시오
독일 뮌헨 맥주 축제와 광주 김치대축제
위니아딤채,딤채마케팅,김치냉장고,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전통 발효식품의 의의와 발전방향 [김치]
[신제품 마케팅 성공사례] 위니아 “딤채” 김치냉장고의 마케팅 성공사례와 나아갈 방향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