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는 무엇을 먹고살았나
미생물의 신비 - 된장
1. 한민족 역사와 함께한 된장
2. 전통 된장의 종류와 특징
3. 된장의 건강 기능성
4. 청국장
5. 한국된장 VS 일본된장(미소)
6. 전통된장 VS 개량된장
7. 감상문
미생물의 신비 - 된장
1. 한민족 역사와 함께한 된장
2. 전통 된장의 종류와 특징
3. 된장의 건강 기능성
4. 청국장
5. 한국된장 VS 일본된장(미소)
6. 전통된장 VS 개량된장
7. 감상문
본문내용
어난 효능들이 가장 크게 발휘되는 음식이 바로 우리의 된장이라니 앞으로 더 자주, 더 맛있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아침마다 자주 먹는 된장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참 기쁩니다.
그런데 맛과 영양면에서 세계 어느 음식보다도 뛰어난 우리 된장을 일본보다 먼저 세계화하지 못한 것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게다가 일본장을 수입하여 먹게되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맛과 정서까지 바뀔까봐 크게 염려됩니다. 장문화의 본토인 우리나라도 어서 된장, 청국장등을 활용한 다양한 건강식약품을 많이 개발하고, 세계화된 마케팅을 펼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장음식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도시사회에서는 장을 직접 담가먹는 장문화가 거의 단절되어있다는 것 또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젊은세대들은 장 담그는 방법을 모릅니다. 공장에서 만든 된장보다 맛과 영양면에서 훨씬 뛰어난 재래식 된장의 소중함을 모르는 젊은 세대들이 많아 걱정이 됩니다. 우리나라 전통 된장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느낄 수있는 기회들이 많이 생겨서, 전통 재래식장문화가 후대에도 계속해서 이어 질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맛과 영양면에서 세계 어느 음식보다도 뛰어난 우리 된장을 일본보다 먼저 세계화하지 못한 것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게다가 일본장을 수입하여 먹게되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맛과 정서까지 바뀔까봐 크게 염려됩니다. 장문화의 본토인 우리나라도 어서 된장, 청국장등을 활용한 다양한 건강식약품을 많이 개발하고, 세계화된 마케팅을 펼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장음식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도시사회에서는 장을 직접 담가먹는 장문화가 거의 단절되어있다는 것 또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젊은세대들은 장 담그는 방법을 모릅니다. 공장에서 만든 된장보다 맛과 영양면에서 훨씬 뛰어난 재래식 된장의 소중함을 모르는 젊은 세대들이 많아 걱정이 됩니다. 우리나라 전통 된장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느낄 수있는 기회들이 많이 생겨서, 전통 재래식장문화가 후대에도 계속해서 이어 질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