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의 정의, 기원, 경기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의 정의, 기원, 경기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배드민턴의 정의

2.우리나라 배드민턴의 기원

3.배드민턴의 경기 방법

4. 배드민턴 그립
(1) 이스턴 그립(Eastern Grip)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5. 서비스
(1) 포핸드 서비스 (Forehand service)
(2) 백핸드 서비스 (Backhand service)
(3) 서비스 폴트

6. 스트록
(1) 클리어(Clear)
(2) 헤어핀 (Hairpin)
(3) 드롭 샷 (Drop shot)
(4) 드라이브 (Drive)
(5) 스매시 (Smash)
(6) 푸시 (Push)

본문내용

거리, 라켓면의 각도, 자세 등을 순간적으로 판단해서 타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네트를 직각으로 넘기는 헤어핀과 상대편의 위치가 한쪽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 빠르게 대각선상의 사이드라인 근처에 떨어뜨리는 크로스 헤어핀, 셔틀콕의 코르크 부분을 순간적으로 끊어쳐서 셔틀콕의 움직임을 불규칙하게 하여 리시브를 어렵게 하는 스핀헤어핀이 있다.
기본자세
《헤어핀》
팔꿈치와 손목에 힘을 빼고 엄지와 검지에 의존하여 라켓을 가볍게 쥐고, 셔틀콕 아래로 밀어 넣듯이 가볍게 타구한다.
손목의 스냅을 사용하지 않고 팔 전체를 고정한 채로 오른발과 오른팔의 전진하는 속도에 의해서만 타구한다.
낙하하는 셔틀콕을 타구하기 위해 손목 스냅을 사용하여 라켓을 들어 올리면서 타구하면 안 되며, 타구시점은 오른발이 바닥에 닿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라켓면의 각도는 바닥과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라켓에 실어 나른다는 듯한 느낌으로 가능한 네트 높이에서 타구하도록 한다.
높은 타점의 공격형 헤어핀은 상대에게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기 때문에 득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확률을 높을 수 있다.
타구시 왼팔은 균형 유지를 위해 오른팔과 반대방향으로 뻗어준다.
《크로스 헤어핀》
포/백핸드 크로스 헤어핀은 포핸드 헤어핀 자세에서 타구시 자신의 코 방향으로 샷을 한다는 느낌으로 순간적으로 손목에 스냅을 주면서 타구한다.
라켓을 자신의 코 방향 즉, 네트와 수평방향으로 스윙하는 것은 셔틀콕을 가능한 네트에 가깝게 붙여서 보내기 위함이다.
《스핀 헤어핀》
헤어핀 자세에서 순간적으로 손목 스냅을 사용하여 코르크에 스핀을 걸어 타구한다.
안쪽으로 깍아치듯이 회전을 주는 방법과 바깥쪽으로 밀어치듯이 회전을 주는 방법이 있다.
(3) 드롭 샷 (Drop shot)
정의와 특징
드롭 샷은 상대방이 후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네트 방향으로 끌어들임으로써 페이스에 변화를 주기 위한 타법이다. 드롭샷에는 셔틀콕이 라켓 면에 닿는 순간 힘을 두어 스피드 있게 낙하시키는 커트와 타구시 순간적으로 힘을 빼서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게 하는 드롭 샷, 그리고 타구시 라켓을 인사이드 또는 리버스 방향으로 깎아치는 슬라이스 타법이 있다.
기본자세
오른발과 오른팔을 뒤로 당기고 체중은 오른발에 둔다.
타구 전까지는 클리어와 같은 기본자세를 유지한다.
가능한 높은 타점에서 타구하며, 클리어 타점보다 몸 앞쪽에서 타구한다.
타구하는 순간에 팔에 힘을 빼고, 셔틀콕을 만지듯이 가볍게 타구하며, 순간적으로 라켓을 멈추는 듯한 기분으로 타구한다.
팔과 손목을 사용하여 각도에 변화를 주며, 타구 후 라켓은 그래도 셔틀콕을 따라간다.
다른 타법에 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역습을 당하기 쉬우므로 정확하게 타구해야 한다.
(4) 드라이브 (Drive)
정의와 특징
드라이브는 어깨에서 허리까지 높이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받아치는 것으로서, 가능한 네트 높이로 바닥과 수평으로 하여 셔틀콕을 보내는 타법이다. 상대방이 미치지 못하는 지점(포사이드, 백사이드, 몸쪽)에 빠른 속도로 셔틀콕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며, 테이크백과 스윙동작은 작고 날카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기본자세
《포핸드 드라이브》
오른팔을 뒤로하고 팔꿈치는 어깨높이를 유지한다.
왼쪽 어깨가 네트와 직각이 되도록 회전시키며, 왼손도 어깨높이로 들고 몸 앞에 위치시킨다.
오른발을 내딛으며 팔꿈치로 리드하면서 타구 전까지 손목의 코킹을 유지한다.
팔꿈치를 펴면서 손목 스냅을 사용하여 몸 앞쪽 높은 위치에서 타구한다.
팔로드로우는 짧게 하고 라켓이 떨어지지 않도록 팔꿈치를 올려 조절한다.
타구는 오른발 착지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오른발 끝은 사이드를 향해야 한다.
《백핸드 드라이브》
팔꿈치를 어깨높이 정도로 들어 테이크 백을 하면서 오른발을 왼쪽으로 내딛는다.
팔꿈치를 펴면서 손목 스냅을 사용하여 셔틀콕을 짧게 끊어 친다.
오른발이 바닥에 닿는 것과 동시에 타구되어야 하며, 타점은 측면 전방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손목을 원활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켓헤드가 손목보다 위에 위치되어야 한다.
타구 후 준비자세로의 빠른 전환이 중요하다.
(5) 스매시 (Smash)
정의와 특징
스매시는 머리 위의 높은 위치에서 빠른 스피드로 상대방 코트로 셔틀콕을 때리는 가장 공격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타점이 놓고, 네트와 가까울수록 위력적인 스매시를 구사할 수 있으며, 강력한 스매시를 위해서는 체중의 이동, 높은 타점, 빠른 순발력 등이 요구된다.
기본자세
타구 전까지의 자세는 클리어 기본자세와 동일하다.
팔꿈치가 리드하면서 몸을 회전시키고 셔틀콕 타구하려는 곳을 향해 팔을 똑바로 편다.
타구 순간 라켓 면은 클리어보다 조금 앞으로 숙여져 타구되어야 한다.
테이크 백 시에 상체는 충분히 뒤로 젖히며, 타구하는 순간에 충분한 스냅을 주어 네트 가까이에 거의 직각으로 떨어지도록 라켓을 셔틀 위로부터 덮어씌우듯이 해서 강타한다.
타구 순간 허리, 어깨, 손목의 힘이 동시에 작용되어야 한다.
(6) 푸시 (Push)
정의와 특징
푸시기술은 네트 킬이라고도 하며, 네트 위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빠르고 강하게 상대방 코트에 밀어 넣듯이 보내는 타구로서 스매시보다 아주 공격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속도는 스매시보다 떨어지지만 타구 중에서 성공확률이 가장 높으며, 순간적인 판단력과 순발력이 요구되는 어려운 스트록 중의 하나이다.
기본자세
《포핸드 푸시》
셔틀콕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원스텝 점프하면서 타구한다.
타구 직후에는 발의 착지 형태가 앞꿈치부터 지면에 닿아야 한다.
타구 순간에는 팔꿈치부터 손목까지 힘을 실어준다.
드라이브보다 더 높은 타점에서 셔틀콕을 아래로 눌러 타구한다.
타구순간 그립을 보다 세게 쥐고 상대 타구의 속도를 고려하여 타구한다.
《백핸드 푸시》
셔틀콕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오른발을 내딛는다.
오른발 뒤꿈치가 지면에 닿는 것과 동시에 타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손목 뿐만 아니라 팔 전체를 이용하여 짧고 강하게 타구한다.
타구순간 그립을 보다 세게 쥐고 상대 타구의 속도를 고려하여 타구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5.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