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배드민턴에 대한 개관
1. 배드민턴의 역사
2. 배드민턴 용구
1) 셔틀콕
2) 라켓
3) 라켓을 쥐는 방법
1. 이스턴 그립
1. 포핸드 그립
2. 백핸드 그립
2. 셰이크 핸드 그립
1. 포핸드 그립
2. 백핸드 그립
3. 그 외의 그립(웨스턴 그립)
3. 배드민턴 경기장
1) 배드민턴 코트
2) 네트와 장소
4. 경기방법
1. 경기의 종류
2. 시합 승부 정하는 법
3. 체인지 엔드
4. 득점
5. 반칙(폴트)
1. 서비스에 관한 반칙
1. 오버 웨스트
2. 오버 핸드
3. 라인 크로스
4. 풋폴트
5. 아웃
6. 보오크
7. 더블스의 리시이브 경우
8. 서버가 코트를 잘못 잡아 서비스하거나 더블스에서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한 경우로,
3. 더블스에서 리시이브쪽이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를 리시이브한 경우
2. 그 외의 반칙
6. 싱글스의 경기 방법
7. 더블스의 경기 방법
5.경기 기술
1) 플라이트
2) 스트로크
3). 풋워크
1. 풋워크의 요점
2.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4). 서브
1. 셔틀의 잡는 법
2. 서브의 종류
3. 서비스 종합 정리
1. 배드민턴의 역사
2. 배드민턴 용구
1) 셔틀콕
2) 라켓
3) 라켓을 쥐는 방법
1. 이스턴 그립
1. 포핸드 그립
2. 백핸드 그립
2. 셰이크 핸드 그립
1. 포핸드 그립
2. 백핸드 그립
3. 그 외의 그립(웨스턴 그립)
3. 배드민턴 경기장
1) 배드민턴 코트
2) 네트와 장소
4. 경기방법
1. 경기의 종류
2. 시합 승부 정하는 법
3. 체인지 엔드
4. 득점
5. 반칙(폴트)
1. 서비스에 관한 반칙
1. 오버 웨스트
2. 오버 핸드
3. 라인 크로스
4. 풋폴트
5. 아웃
6. 보오크
7. 더블스의 리시이브 경우
8. 서버가 코트를 잘못 잡아 서비스하거나 더블스에서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한 경우로,
3. 더블스에서 리시이브쪽이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를 리시이브한 경우
2. 그 외의 반칙
6. 싱글스의 경기 방법
7. 더블스의 경기 방법
5.경기 기술
1) 플라이트
2) 스트로크
3). 풋워크
1. 풋워크의 요점
2.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4). 서브
1. 셔틀의 잡는 법
2. 서브의 종류
3. 서비스 종합 정리
본문내용
으로 낙하하는 듯한 풀라이트이다.
b. 드리븐 클리어 - 셔틀이 상대의 라켓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상당한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 깊숙히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이다.
2. 스매시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둣 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스피드를 감속하여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3. 드라이브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듯한 높이로 가능한 바닥면에 평행하게 상당한 스피드로 날으는 플라이트이다.
4. 네트 숏
네트 가까이에 떨어뜨린 셔틀이 천천히 스피드를 감속하여 다시 네트 가까이 스칠 듯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되는 플라이트로 다음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
a. 헤어핀 숏 - 셔틀이 네트와 직교하는 듯한 각도로 넘는 플라이트이다.
b. 크로스코트 네트숏 - 셔틀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 상대의 반대쪽 사이드 라인 가까이에 낙하되는 플라이트이다.
.
2) 스트로크
스트로크는 라켓으로 치는 법을 말한다. 실제 게임에서는 상대로부터 반구되는 셔틀콕의 높이, 방향, 스피드등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만 기본적인 스트로크로써 다음과 같이 나누어 질 수 있다.
--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좌우에 따른 분류
* 포핸드 스트로크(Forehand stroke) : 라켓을 쥐고있는 손과 같은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 백핸드 스트로크(Backhand stroke) : 라켓을 쥐고 있는 손과 반대되는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높이에 따른 분류
* 오버 헤드 스트로크(Overhead stroke) : 셔틀콕을 머리 위 높은 위치에서 치는 스트로크.
* 사이드 암 스트로크(Side arm stroke) : 셔틀콕을 대강 어깨에서 허리의 높이 정도까지 위 치에서 몸 옆에서 치는 스트로크.
* 언더 핸드 스트로크(Under hand stroke) : 셔틀콕을 낮은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치는 스트 로크.
*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High backhand stroke) :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서 치는 백핸드 스 트로크.
* 라운드 더 헤드 스트로크(Round the head stroke) : 오버 헤드 스트로크의 변형으로 몸의 좌측에서 머리 위에 날아온 셔틀콕을 포핸드로 치는 방법.
3). 풋워크
풋워크란 좋은 스트록을 위한 발놀림이며, 스트록의 기반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트록과 풋워트가 조화되어 비로서 좋은 플레이를 전개할 수 있다.
1. 풋워크의 요점
1. 풋워크의 요점
a. 상대로부터 날아온 셔틀의 낙하 지점을 빨리 예측하여
b. 낭비없는 경쾌한 발놀림으로 가능한 빨리 정확한 스트록을 실시하는 데 가장 좋은 위치에 도달한다.
c. 밸런스 잡힌 안정된 자세로 셔틀을 잡는다.
d. 셔틀을 친 후에 낭비없는 동작으로 가능한 빨리 홈포지션(코트 중앙부의 수비 위치) 으로 돌아간다.
2. 풋워크의 유의점
a. 재빠르게 스타트할 수 있도록 항상 양 뒤꿈치를 가볍게 떼어 둔다.
b. 플레이할 때는 거의 정지하는 일 없이 코트 안을 이동하므로 스트록할 때 이외는 전신을 릴렉스 시켜 재빠르게 다음 동닺이 가능하도록 한다.
c. 항상 셔틀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d. 보폭의 크기는 각자의 신장의 대소나 연습 버릇 등에 의해 다르지만 가장 적절한 것은 항상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3. 풋워크의 효용
좋은 풋워크를 하는 것에 의해
a. 보다 빨리 보다 높이 보다 앞으로 셔틀을 잡을 수 있다.
b. 낭비없는 동작에 의해 체력의 소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c. 항상 정확한 스트록이 가능하다.
2.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1. 기본 스텝(발 움직이는 법)
1. 런닝스텝 - 보통 뛰는 경우와 같이 좌우의 발을 번갈아 내딛는 발 움직임법
2. 슬라이드 스켑 - 두 발을 좌우 또는 앞뒤로 벌린 상태에서 오른발에 왼발을 붙인 뒤, 오른발을 내디디는(또는 그 반대로 왼발에 오른발을 붙인 다음 왼발을 내디딘다) 발 움직임법
3. 홈스텝 - 같은 한발로 계속해서 가볍게 뛰는 발의 움직임법
4. 피봇 - 한쪽 발 끝을 축으로 하여 상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리는(신체 방향을 바꾼다) 동작.
4). 서브
배드민턴의 서브는 허리보다 아래의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위로 타구하는, 소위 방어적인 것이며, 서브로 직접 득점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어중간한 서브를 보내면 상대로부터 스매시 등의 강렬한 공격을 받아 모처럼의 득점 찬스를 잃으므로, 신중하고 유효한 서브를 실시해야 한다.
1. 셔틀의 잡는 법
서브 때 셔틀 잡는 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셔틀의 대를 앞으로 향해 다소 기울어지게 하고, 엄지와 다은 4개의 손가락으로 셔틀을 감싸듯이 하여 가볍게 든다.
2. 셔틀의 대를 엄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3. 셔틀 깃털의 선단을 약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이상의 셔틀 잡는 법 중 1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서브의 종류
서비스는 보통 포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고 , 플라이트의 성질에 의해 롱서브, 숏서브, 드리븐써브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서브를 백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는 경우 이것을 백핸드 서브라고 한다.
3. 서비스 종합 정리
배드민턴의 서비스는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방어적인 자세이다. 서비스는 서비스측만이 득점의 찬스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로부터 직접 스매시 등의 공격적인 반구를 받아서 모처럼의 득점 찬스를 잃는 일이 없도록 신중히 해야한다. 서비스에는 롱 서비스, 쇼오트 서비스, 드리븐 서비스, 백 핸드 서비스가 있다.
제 1세트는 토스로 서비스를 결정하고 제 2세트는 제 1세트의 승자가, 제 3세트는 제 2세트의 승자가 서비스 한다. 서버의 득점이 0 또는 짝수의 경우에는 오른쪽 코트에서 서비스 하고, 홀수인 경우에는 왼쪽 코트에서 서비스를 행한다. 이때 리시버는 그 대각선상의 리시브 코트에 위치하여 리시브 한다. 세팅의 경우는 세팅까지의 득점에 세팅 후의 득점을 더한 합계점이 짝수일 때는 우측 서비스 코트에서, 홀수일 때는 좌측 서비스 코트에서 서비스 한다.
b. 드리븐 클리어 - 셔틀이 상대의 라켓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상당한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 깊숙히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이다.
2. 스매시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둣 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스피드를 감속하여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3. 드라이브
셔틀이 네트 위를 스칠 듯한 높이로 가능한 바닥면에 평행하게 상당한 스피드로 날으는 플라이트이다.
4. 네트 숏
네트 가까이에 떨어뜨린 셔틀이 천천히 스피드를 감속하여 다시 네트 가까이 스칠 듯한 높이로 네트를 넘는 것과 동시에 네트를 따라 상대 코트에 낙하되는 플라이트로 다음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
a. 헤어핀 숏 - 셔틀이 네트와 직교하는 듯한 각도로 넘는 플라이트이다.
b. 크로스코트 네트숏 - 셔틀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 상대의 반대쪽 사이드 라인 가까이에 낙하되는 플라이트이다.
.
2) 스트로크
스트로크는 라켓으로 치는 법을 말한다. 실제 게임에서는 상대로부터 반구되는 셔틀콕의 높이, 방향, 스피드등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만 기본적인 스트로크로써 다음과 같이 나누어 질 수 있다.
--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좌우에 따른 분류
* 포핸드 스트로크(Forehand stroke) : 라켓을 쥐고있는 손과 같은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 백핸드 스트로크(Backhand stroke) : 라켓을 쥐고 있는 손과 반대되는 몸쪽에서 셔틀콕을 치는 스트로크.
-- 셔틀콕을 치는 위치의 높이에 따른 분류
* 오버 헤드 스트로크(Overhead stroke) : 셔틀콕을 머리 위 높은 위치에서 치는 스트로크.
* 사이드 암 스트로크(Side arm stroke) : 셔틀콕을 대강 어깨에서 허리의 높이 정도까지 위 치에서 몸 옆에서 치는 스트로크.
* 언더 핸드 스트로크(Under hand stroke) : 셔틀콕을 낮은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치는 스트 로크.
*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High backhand stroke) :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서 치는 백핸드 스 트로크.
* 라운드 더 헤드 스트로크(Round the head stroke) : 오버 헤드 스트로크의 변형으로 몸의 좌측에서 머리 위에 날아온 셔틀콕을 포핸드로 치는 방법.
3). 풋워크
풋워크란 좋은 스트록을 위한 발놀림이며, 스트록의 기반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트록과 풋워트가 조화되어 비로서 좋은 플레이를 전개할 수 있다.
1. 풋워크의 요점
1. 풋워크의 요점
a. 상대로부터 날아온 셔틀의 낙하 지점을 빨리 예측하여
b. 낭비없는 경쾌한 발놀림으로 가능한 빨리 정확한 스트록을 실시하는 데 가장 좋은 위치에 도달한다.
c. 밸런스 잡힌 안정된 자세로 셔틀을 잡는다.
d. 셔틀을 친 후에 낭비없는 동작으로 가능한 빨리 홈포지션(코트 중앙부의 수비 위치) 으로 돌아간다.
2. 풋워크의 유의점
a. 재빠르게 스타트할 수 있도록 항상 양 뒤꿈치를 가볍게 떼어 둔다.
b. 플레이할 때는 거의 정지하는 일 없이 코트 안을 이동하므로 스트록할 때 이외는 전신을 릴렉스 시켜 재빠르게 다음 동닺이 가능하도록 한다.
c. 항상 셔틀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d. 보폭의 크기는 각자의 신장의 대소나 연습 버릇 등에 의해 다르지만 가장 적절한 것은 항상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3. 풋워크의 효용
좋은 풋워크를 하는 것에 의해
a. 보다 빨리 보다 높이 보다 앞으로 셔틀을 잡을 수 있다.
b. 낭비없는 동작에 의해 체력의 소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c. 항상 정확한 스트록이 가능하다.
2.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1. 기본 스텝(발 움직이는 법)
1. 런닝스텝 - 보통 뛰는 경우와 같이 좌우의 발을 번갈아 내딛는 발 움직임법
2. 슬라이드 스켑 - 두 발을 좌우 또는 앞뒤로 벌린 상태에서 오른발에 왼발을 붙인 뒤, 오른발을 내디디는(또는 그 반대로 왼발에 오른발을 붙인 다음 왼발을 내디딘다) 발 움직임법
3. 홈스텝 - 같은 한발로 계속해서 가볍게 뛰는 발의 움직임법
4. 피봇 - 한쪽 발 끝을 축으로 하여 상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리는(신체 방향을 바꾼다) 동작.
4). 서브
배드민턴의 서브는 허리보다 아래의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위로 타구하는, 소위 방어적인 것이며, 서브로 직접 득점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어중간한 서브를 보내면 상대로부터 스매시 등의 강렬한 공격을 받아 모처럼의 득점 찬스를 잃으므로, 신중하고 유효한 서브를 실시해야 한다.
1. 셔틀의 잡는 법
서브 때 셔틀 잡는 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셔틀의 대를 앞으로 향해 다소 기울어지게 하고, 엄지와 다은 4개의 손가락으로 셔틀을 감싸듯이 하여 가볍게 든다.
2. 셔틀의 대를 엄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3. 셔틀 깃털의 선단을 약지와 인지로 잡듯이 가볍게 든다.
이상의 셔틀 잡는 법 중 1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서브의 종류
서비스는 보통 포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고 , 플라이트의 성질에 의해 롱서브, 숏서브, 드리븐써브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서브를 백핸드 스트록으로 실시하는 경우 이것을 백핸드 서브라고 한다.
3. 서비스 종합 정리
배드민턴의 서비스는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방어적인 자세이다. 서비스는 서비스측만이 득점의 찬스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로부터 직접 스매시 등의 공격적인 반구를 받아서 모처럼의 득점 찬스를 잃는 일이 없도록 신중히 해야한다. 서비스에는 롱 서비스, 쇼오트 서비스, 드리븐 서비스, 백 핸드 서비스가 있다.
제 1세트는 토스로 서비스를 결정하고 제 2세트는 제 1세트의 승자가, 제 3세트는 제 2세트의 승자가 서비스 한다. 서버의 득점이 0 또는 짝수의 경우에는 오른쪽 코트에서 서비스 하고, 홀수인 경우에는 왼쪽 코트에서 서비스를 행한다. 이때 리시버는 그 대각선상의 리시브 코트에 위치하여 리시브 한다. 세팅의 경우는 세팅까지의 득점에 세팅 후의 득점을 더한 합계점이 짝수일 때는 우측 서비스 코트에서, 홀수일 때는 좌측 서비스 코트에서 서비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