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규칙과 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 규칙과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기장 규격
1. 배드민턴 코트의 정식 규격과 명칭
2. 배드민턴 네트의 정식 규격

배드민턴 도구
1. 셔틀콕
2. 라켓

게임 규칙
1. 득점
2. 서비스
3. 단식규칙
4. 복식규칙
5. 서비스코트 에러
6. 폴트
7. 렛(무효)

배드민턴 기술
1. 클리어
2. 스매시
3. 백핸드 스트로크

본문내용

에러 정정으로 다시 행해진 결과로 바뀐다.
⑤ 서비스코트 에러가 정정되지 않은 경우에, 그 게임의 경기는 새롭게 경기자의 서비스코트 (관련되는 경우, 서비스의 순서 또한)를 바꾸지 않고 진행된다.
6. 폴트
① 서비스가 바르지 않은 경우.
② 경기 중에, 셔틀콕이 아래와 같게 될 때
- 코트의 경계 밖에 착지한 경우.
- 네트의 밑과 사이를 통과한 경우.
- 네트를 넘어가지 않은 경우.
- 지붕, 천정과 옆의 벽에 접촉한 경우.
- 사람이나 경기자의 의복에 접촉한 경우.
- 코트의 바로 외측 사람이나 그 이외의 것에 접촉한 경우; (필요하면, 빌딩의 구조를 고려해, 지역배드민턴협회는, 그 나라 협회의 권한으로, 셔틀콕이 방해되어 접촉하는 경 우에 대해 규칙을 따라 처리할 수 있다)
③ 경기 중에 있어서, (라켓과) 셔틀콕과의 최초 접촉점이, 네트 의 친 쪽의 사이드가 아닌 경우. (그러나, 친 쪽은 친 후의 단계에서 라켓이 네트를 넘어가 셔틀콕을 따라 가는 것은 용 인된다)
④ 셔틀콕이 경기중에, 경기자가 아래와 같게 되었을 때
- 네트와 포스트에, 라켓, 사람 혹은 의복으로 접촉한 경우.
- 13.3항에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라켓과 사람이 네 트를 넘어가 상대측의 코트에 침입한 경우.
- 네트의 아래 쪽에서, 상대를 방해하거나, 당혹시켜, 라켓 과 사람으로 상대측의 코트에 침입한 경우.
- 상대측으로의 방해, 즉, 네트를 넘어간 셔틀콕을 따라 오 는 것과 같은 상대측의 정당한 stroke의 방해.
⑤ 경기중에 경기자가 고의로 고함치거나, 몸짓(gesture)같은 동작으로 상대를 당혹시키는 경우.
⑥ 경기중에 셔틀콕이 아래와 같게 되었을 때
- stroke의 실행중에 라켓에 꽂히거나, 그 상태에서 내던져 진 경우.
- 같은 경기자가 두 번의 stroke로 계속해서 두 번 친 경우 (한 명의 경기자가 한 번의 stroke로 두 번 치는 것은 폴트 가 아니다. )
- 경기자와 경기자의 파트너에 의해 계속되어 쳐진 경우.
- 경기자의 라켓에 접촉하고, 계속 그 player 코트의 뒤로 향해 간 경우.
⑦ player가, 16항의 규정에 대해 위반을 반복하고, 연속적으 로 범한 경우.
⑧ 서비스로 셔틀콕이 네트에 걸리거나, 상단에 얹히고, 네트를 넘어간 뒤 네트에 걸린 경우.
7. 렛(무효)
① "렛"는 심판에 의해서, 혹은 (심판이 없는 경우에는) 경기자에 의해 경기를 정지하기 위해 선언된다.
② "렛"는 예측할 수 없는 우발적인 사항이 일어난 경우에 대해 주어진다.
③ 만약,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가고서 네트에 걸리거나 한 경우에는, 서 비스 중일 때를 제외하고, "렛"(다시 하기 )이 된다.
④ 서비스중에, 리시버와 서버 양자가 동시에 폴트를 범한 경우등은 "렛 "이 된다.
⑤ 서버가 리시버가 준비되기 전에 서비스를 한 경우에는 "렛"이 된다.
⑥ 경기 중에 셔틀콕이 부서져 베이스와 기타의 부분이 완전하게 떨어져 나갈 때에는, "렛"이 된다.
⑦ 선심이 보이지 않거나, 심판이 판정을 할 수 없었던 경우는, "렛"이 된다.
⑧ 서비스코트 에러 뒤, "렛" 이 되는 경우가 있다.
⑨ 렛이 된 경우, 14조가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마지막 서비스는 카운트하지 않고, 경기자는 서브를 다시 한번 하게 된다.
배드민턴 기술
1. 클리어
상대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 보내는 샷으로 셔틀콕의 비행 궤적에 따라서 공격적 혹은 수비적 클리어가 될 수 있다.
● 클리어 방법
◎ 디펜시브 클리어(defensive clear) - 배드민턴의 어떠한 샷보다 높고 멀리 보내는 것으로, 이 샷의 목표는 상대가 셔틀콕을 치기 전에 베이스 포지션으로 이동하는데 있다.
◎ 어택킹 클리어(attacking clear) - ‘offensive clear’와 같은 의미이며, 수비성 클리어보다 낮게 수평에 가까운 궤적으로 셔틀콕을 쳐서 상대의 후방에 빨리 도달하기 위한 목적에서 구사한다.
◎ 하이 클리어(high clear) - 셔틀콕을 상대 코트의 후방에 수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아주 높고 멀리 보낼 때 사용하는 타법.
◎ 드리븐 클리어(driven clear) - 셔틀콕이 상대가 뻗은 라켓 위를 닿을 듯 말 듯한 높이로 날아가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 깊게 떨어지도록 하는 타구 방법. 스피드가 있어서 상대가 되돌아서 받아치기 곤란하다.
2. 스매시
머리 위로 높게 날아오는 셔틀콕을 네트 너머에 강하게 예각으로 떨어지도록 꺾어 내리치는 기술로 배드민턴의 가장 주된 공격 방법이다. 손목의 스냅을 사용해야 하며 스피드가 있어야 한다.
◎ 파워 스매시(power smash) - 셔틀콕을 최대의 힘으로 치는 것으로 타격할 때, 라켓 면이 셔틀콕과 수직을 이룬다.
◎ 하프 스매시(half smash) - 예리한 각도로 아래로 향하도록 머리 위에서 내려치는 샷인데, 힘은 거의 들이지 않고 셔틀콕을 가격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스매시를 예상하고 있는 상대를 속여서 코트 전방에 셔틀콕을 떨어뜨리기 위함이다.
◎ 체크 스매시(check smash) - 경기자가 스매시 자세를 취한 후 라켓 머리의 속도를 갑자기 줄여서 셔틀콕을 코트 전방에 부드럽게 떨어뜨리는 것. 이것은 수비수를 속여서 셔틀콕이 늦게 도달하도록 할 때에 행한다.
◎ 점프 스매시(jump smash) - 더욱 강력하고 예리한 각도로 스매시하기 위하여 두 발을 마루에서 띄운 상태에서 스매시하는 진보된 기술.
3. 백핸드 스트로크
라켓을 잡은 손에서 먼 쪽에서 오는 셔틀콕을 받아치는 타구법. 즉, 오른손잡이 선수의 경우 신체의 왼쪽으로 오는 셔틀콕을 처리하는 스트로크를 말한다.
◎ 백핸드 그립(backhand grip) - 라켓을 잡지 않은 손쪽으로 오는 셔틀콕을 치기 위해서 취하는 라켓 잡기 방법. 마치 악수하듯이 혹은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듯 라켓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를 라켓 손잡이의 좌상단에 올려놓고 수도로 가격하듯이 스윙을 한다
참고문헌
임완기 외, 퍼팩트 배드민턴
오성기 외, 코우칭 배드민턴
오성기, 배드민턴 핸드북
제주시 배드민턴 연합회
http://www.jejusi-shuttlecock.org/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