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배드민턴 경기규칙과 기초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배드민턴 경기규칙과 기초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기의 규칙
● 단식경기의 규칙
● 복식경기의 규칙
● 배드민턴 반칙 사항

배드민턴 기초기술
●실전 단식편(TECHNICAL LESSON)

본문내용

는 얕은 볼이나 낮은 볼은 금물이다. 높고 깊게 보내서 간단히 받아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서브도 하이보다 쇼트를 많이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헤어핀을 잘한다.
헤어핀을 잘하는 선수는 어찌하든지 네트 근처에서의 싸움으로 가져가려 하기 마련. 그런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것이 포인트이다. 하이 클리어나 로빙이 등 볼의 거리가 긴 플라이트로 승부를 내야한다.
-드라이브에 강하다.
복식에서 좋은 전력을 남기고 있는 선수는 대개 단식에서 드라이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항 수단으로서는 클리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브를 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키의 차이를 이용한 작전
키가 크고 다리의 길이가 긴 선수는 좌우로 강한 반면 전후의 동요에는 약하고, 키가 작은 선수는 그 반대인 경우가 많다. 이 같이 상대의 체격이 다른 경우에는 그에 맞는 작전을 수립할 수도 있다.
▶ 서비스
-사이드 코너를 노릴까? 센터를 노릴까?
단식에서의 서브는 롱 하이 서브가 주종. 노리는 장소는 엔드라인 가까이의 양코너인데, 좌우의 어디를 노릴까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상대가 지친 듯한 때는 더욱 달리게 만들 셈으로 사이드 코너를 노리는 것이 최고다. 그러나 상대가 강력한 스매시를 갖고 있다면 사이드코너는 맹렬한 반격의 요인이다. 스매시에 대해서는 센터라인 근처를 노린 서브 쪽이 대처하기 쉽다.
-쇼트 서비스는 타이밍
쇼트 서브를 칠 경우에는 얼마나 상대의 타이밍을 빗나가게 만드는가가 승패의 열쇠가 된다. 좌우에 흐트러뜨리거나 상대가 푸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을 때에는 곧바로 롱 하이 서브로 전환하는 것 등도 필요하다. 때로는 롱 하이의 자세에서 쇼트로 쳐서 페인트를 거는 일도 효과적이다.
-집중력을 유지하라.
코트에 일순간의 정숙이 찾아오는 서브는 플레이어의 심리상태가 잘 나타나는 장면이기도하다. 약하게 보이는 것은 절대 금물. 늘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자신을 갖고 서브하자. 약한 서브는 공격당하기 쉽지만 반면에 강하게 마음먹고 치면 상대의 리시브은 약해지는 법이다.
-서브 후의 포지션 이동에 머리를 써라.
서브 후 그 장소에 가만히 서 있는 선수는 없다. 상대의 리시브에 대처하기 위한 포지션 이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예상'.서브의 플라이트 그 자체나 상대의 장기(長技) 기술에 의해 변화되는 리시브의 플라이트를 예상하여 가장 적합한 포지션 이동을 할 수 있는 선수가 되어야 한다.
*낮아졌다면: 롱하이 서브가 낮아지고 말았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상대의 공격은 스매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낮다'고 생각한 순간 곧장 후방으로 포지션 이동을 하는 것이다.
*상대의 장기에 맞춘다.:상대가 잘하는 기술을 예상한 포지션 이동. 예를 들면 크로스를 잘하는 상대라면 서브 후 곧 크로스사이드로 움직인다. 때로는 모험을 걸어보는 것도 좋다.
*나의 장기에 맞춘다.:상대가 아닌 '나'의 장기를 살린 포지션 이동도 생각할 수 있다. 전방의 셔틀처리를 잘하는 사람은 서브 후 뒤쪽으로 이동하고, 후방이 자신 있는 사람은 앞쪽으로 이동하는 식이다. 잘 못하는 쪽에 수비의 줌점을 두는 것이다.
*이등변 삼각형의 원칙: 좌우의 코너를 노렸을 때는 노린 방향으로 포지션 이동을 하는 것도 익혀두자. 코너에서의 반구는 크로스보다 스트레이트 쪽이 빠르다. 이것을 이등변삼각형의 원칙이라고 하는데, 코너의 가까운 쪽으로 이동하여 스트레이트에 대비해야 한다.
▶ 리시브
-리시브야말로 제 1차 공격이다.
규제가 많은 서브에 대해 서브 리턴은 자유롭게 테크닉을 수사할 수 있다. 자세는 충분히 그리고 셔틀이 날아올 수 있는 영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강력한 공격이 가능하다. 날카로운 리턴으로 게임의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
-스매시로
서브의 리턴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는 뭐니뭐니해도 스매시이다. 충분히 자세를 살려서 계속 적극적으로 스매시를 하기 바란다. 타깃으로 삼는 것은 좌우의 사이드라인과 상대의 보디 등 3코스이다.
-그것을 반구하는 기술은
서브를 스매시당했을 경우에는 어찌하든지 반구하는 것이 우선.스매시를 간파하여 자세에
여유가 있을 때라면 크로스 스매시는 스트레이트로, 스트레이트는 크로스로 반구하여, 러싱해오는 상대를 달리게 만드는 작전을 취해야 한다.
-드롭과 커트로
드롭과 커트로 네트 근처에 떨어뜨리는 리턴도 효과적이다. 노리는 것은 좌우의 사이드라인 근처, 컨트롤에 자신이 있으면 이 드롭과 커트로 네트 근처의 승부에 나설 수가 있다.
-그것을 반구하는 기술은
서브 리턴에 드롭과 커트로 반구당했을 경우 상대는 네트 승부를 바라고 있다고 생각할 것에 틀림없다. 걸어오는 승부를 받아들여도 좋지만, 언더핸드로 되받을 때는 후방으로 도망치는 것이 상책이다.
-하이 클리어로
하이 클리어도 서브 리턴에서는 훌륭한 공격 플라이트가 된다. 특히 서버가 드롭과 커트를 예상하여 러싱의 조짐을 보였을 때는 완전히 허를 찌를 수가 있다.
-그것을 반구하는 기술은
하이 클리어로 리턴당했을 때는 후방으로 달려가지 않을 수 없다. 허를 찔렸다면 마찬가지로 하이클리어로 도망치는 것이 상책. 간파했을 때는 날카로운 커트나 스매시로 먼저 공격한다.
▶ 스매시
-스매시의 목표는 3방향 6패턴
스매시의 코스는 앞 페이지에서 말했듯이 양 사이드 라인과 상대의 보디 등 3가지. 각각 포어 쪽과 백 쪽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6패턴이 있는 셈이다. 모두 체중을 실은 무거운 볼로 각도 있는 스매시를 치는 것이 원칙인데, 언제나 전력을 다하고 있다가는 상대가 타이밍을 외워 버리고 만다. 야구의 속구 투수가 가끔 체인지업을 섞어서 타자의 타이밍을 빗나가게 만들 듯이 80% 정도의 힘으로 치는 하프스매시(half smash)도 적용해야 한다.(특히 크로스 쪽으로 치면 유리)
-스트레이트는 거리가 긴 볼도 효과적이다.
스매시는 네트에서 코트 중앙까지의 범위에 날카롭게 꽂히는 것이 가장 좋지만 스트레이트 스매시만은 각도가 얕고 볼의 거리가 긴 플라이트도 이용해야 한다. 드라이브 비슷하게 길게 날아오는 스매시는 리시버 입장에서는 의외로 받아들이기 힘든 법.그러나 반구 타이밍이 늦어져 에이스가 되는 경우도 많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9.0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