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량활동-시장놀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도표로 나타내 본 재량 시간 계획하기

Ⅰ. 시장놀이를 하기 앞서
1. 시장이란?
2. 시장의 발생
3. 시장의 형성 조건
4. 시장의 종류
5. 시장의 기능

Ⅱ. 시장 놀이
1. 주제
2. 목표
3. 활동자료
4. 시청각 자료를 제공
5. 준비 과정
6. 시장놀이 하기
7. 토의하기

Ⅲ. 시장 놀이를 하고 난 후...
1. 시장놀이를 하고 난 후 느낀 점
2. 시장 놀이를 통한 지적인 능력

* 참고 자료

본문내용

대해서 느낄 수 있다.
③ 물건을 구매하기 전에 계획을 세우고, 매매를 직접 경험해 봄으로써 자립심을 기를 수 있다.
④ 물건을 사고 팔 때의 예절을 익힐 수 있다.
⑤ 영수증과 남은 돈으로 다시 한번 계산을 하는 과정에서 가계부를 쓰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2. 시장 놀이를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① 물건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산과 소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② 물건 값을 계산하고 거스름돈을 내어 주는 과정에서 사칙연산을 익힐 수 있다.
③ 돈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물건의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 수 있다.
* 다음은 물건이 생산되어 소비되기까지의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수업 내용이다.
◈ 학습목표
물건이 만들어져서 우리 손에 오기까지의 과정을 조사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학습자료
생활에 필요한 물건이 그려진 삽화
생활에 필요한 물건이 그려진 그림 카드
◈ 동기유발(도입 활용 자료)
* 학습 과제로 만들어 온 여러 물건이 그려진 그림 카드를 보면서 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과 생활을 편리하고 즐겁게 하는 데 필요한 물건들에 대하여 이야기하게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들은 무엇인가?
생활을 편리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 필요한 물건들은 어떤 것이 있나?
* 그중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가지고 수업을 전개하도록 한다.
<< 생활에 필요한 물건이 나는 곳 >>
고장에 따라 여러 가지 물건이 난다.
- 농촌 : 곡식, 채소, 과일 등
- 산촌 : 나무, 산나물, 버섯 등
- 도시 : 옷, 신발, 학용품 등
☞ 교통 기관을 이용하여 시장으로 운반
* 물건을 구하는 곳
도시 : 시장이나 가게, 백화점
촌락 : 물건을 스스로 만들어 내거나, 시장이나 사다 쓴다.
◈ 문제 파악
*도입 활용 자료를 이용하여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 학습 문제 확인
우리 생활에 필요한 것은 어디에서 나며, 어떻게 우리 손에 오는지 알아보자,
◈ 문제 탐색 및 탐구
*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이 그려진 그림 카드 분류하기
각자 그려 온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 나타나 있는 그림 카드를 조별로 늘어놓고 살펴보면서 이런 물건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이야기해 보고, 물건들이 나는 곳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전지에다 붙여 본다.
생산자 -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은 어디에서 나는가? (생산)
- 농촌 : 곡식, 채소, 과일, 고기, 알, 우유, 꽃 등
- 산촌 : 나무, 산나물, 버섯, 약초, 꿀 석탄 등
- 어촌 : 생선, 젓갈, 조개, 김, 미역, 소금 등
- 도시 : 옷, 신발, 가방, 학용품, 가전 제품, 가구 등
우리 고장에서 이러한 물건을 어떻게 구하나? (소비)
- 촌락 : 곡식, 채소, 생산 등은 자연에서 얻고, 옷, 신발, 학용품, 전자 제품 등은 시장에서 사다 쓴다.
- 도시 : 주로 시장이나 가게, 백화점에서 사다 쓴다.
* 물건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의 과정 알아보기
※ 가정에서 필요한 물건들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하게 한다.
여러 재료를 이용하여 물건을 만들거나 자연에서 물자를 얻는다.
자동차, 기차, 배 등이 여러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물건을 시장이나 가게, 백화 점으로 운반한다.
시장이나 가게, 백화점에서 우리 손으로 온다.
* 예를 하나 들어보자!!
- 학습장이 우리 손에 들어오기까지의 과정
산에서 나무를 잘라 목재를 얻음 → 목재를 기차나 자동차, 배에 실어 종이 공장으로 나름 → 학습장 공장으로 가져가 인쇄포장 → 문구 도매상 (1차 소비자) → 문구점 (2차 소비자) → 필요한 학습장을 문구점에서 산다. (3차 소비자)
* 생각해 보기
똑같은 물건이라도 가게나 시장에 따라 물건값이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첫째로 큰 가게나 도매 시장이 물건값이 더 싼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게들은 생산지에서 직접 물건을 가져오기 때문에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는다. 그래서 가격이 그만큼 싸다.
또한, 가게마다 주인의 생각에 다라 같은 물건에 대한 가격이 달라지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똑같은 물건이라도 나온 시기에 따라 값이 달라지기도 한다. 과일을 예를 들어 보자. 제철에 나는 과일, 여름엔 수박 같은 것이 싸지만 겨울에 시장에서 수박을 사려고 하면 무척 비싼 값을 치러야 한다.
※ 참고 자료
http://www.primekid.co.kr/yearedu.homl
http://www.kidsfoto.com/babaelast/5post/post1.htm
http://guhwon-e.ed.seoul.kr/dataroom/3학년/3-6.htm
http://www.puka.co.kr/hansol/living/living_06.htm
http://www.wowkid.co.kr/serch/view.asp?content_nam=00000000001250&content_name=아나바다%20시장%20놀이
http://kohung-vhs.ed.chonnam.kr/~bakwun/jidoan/utong/ut4-d.htm
http://www.maegoe-gch.ed.chngbuk.kr/teacher/gohy/학습자료/상업경제/~
http://www.okku-e.ed.chonbuk.kr/%EC%AC%ED%9A%8C5-1%EC%82%AC%ED%94%8C5-1-(3).htm
http://www.edunet4u.net/child/index.html
http://my.netian.com/~dungji21/me1-sijang.htm
http://www.mirawon.com/hanam/album/index.htm
http://www.fgic.or.kr/sungsan/fgks.htm
http://www.kungjun.or.kr/course/market/market.html
http://www.lilaa.co.kr/4.htm
최병준, 『보육교재교구 자료집』, 경기도 : 강남대학교 출판부, 1999
문승임, 『유아의 수놀이』, 서울 : 보육사, 1980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재』, 서울 : 창지사, 1990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6.0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